[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前 롯데 자이언츠 감독, rd1=김명성(1946))] ||
'''김명성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롯데 자이언츠 1차 지명선수)] ---- ||
'''김명성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auto&height=70]][br]'''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야구 종목[br]{{{#d4af37 금메달}}}''' || || '''[[조범현호|{{{#ffffff 2010}}}]]''' || ---- ||<-5>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fff 등번호 27번}}}''' || || [[최기문]][br](1999~2010) || {{{+1 →}}} || '''김명성[br](2011~2012.6.16.)''' || {{{+1 →}}} || [[용덕한]][br](2012.6.17.~2014) || ||<-5> '''[[두산 베어스|{{{#fff 두산 베어스}}}]] {{{#fff 등번호 27번}}}''' || || [[용덕한]][br](2012~2012.6.16.) || {{{+1 →}}} || '''김명성[br](2012.6.17.~2012)''' || {{{+1 →}}} || [[김태영(야구선수)|김상현]][br](2013) || ||<-5> '''[[두산 베어스|{{{#fff 두산 베어스}}}]] {{{#fff 등번호 28번}}}''' || || [[최현진(야구)|최현진]][br](2011) || {{{+1 →}}} || '''김명성[br](2013~2014)''' || {{{+1 →}}} || [[장원준]][br](2015~2023) || ||<-5> '''[[두산 베어스|{{{#fff 두산 베어스}}}]] {{{#fff 등번호 27번}}}''' || || [[성영훈]][br](2014) || {{{+1 →}}} || '''김명성[br](2015~2016.8.)''' || {{{+1 →}}} || [[홍상삼]][br](2016.9.4.~2016) || ||<-5> '''[[두산 베어스|{{{#fff 두산 베어스}}}]] {{{#fff 등번호 112번}}}''' || || 결번 || {{{+1 →}}} || '''김명성[br](2016.8.~2016)''' || {{{+1 →}}} || [[서두원(1990)|서두원]][br](2018) || }}} || ---- || '''{{{#FFFFFF A대표팀 참가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조범현호/2010 아시안 게임 엔트리)]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istimglink/6/2013081820261822950_1.jpg|width=100%]]}}} || ||<-2> '''{{{+2 김명성}}}[br]金明成[* 前 [[롯데 자이언츠]] 감독을 역임했던 [[김명성(1946)|김명성]]과 '''한자까지 동일하다.'''] | Kim Myeong-Seong''' || ||<|2> '''출생''' ||[[1988년]] [[4월 8일]] ([age(1988-04-08)]세)|| ||[[서울특별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서울중대초등학교|중대초]] - [[이수중학교|이수중]] - [[장충고등학교 야구부|장충고]] - [[중앙대학교 야구부|중앙대]]|| || '''포지션''' ||[[투수]]|| || '''투타''' ||[[우투우타]]||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11년/신인드래프트#s-3|2011년 1라운드]] (전체 5번, [[롯데 자이언츠|롯데]])|| ||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2011~2012)[br][[두산 베어스]] (2012~2016)|| || '''병역''' ||[[예술체육요원]][br]{{{-2 ([[조범현호|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부문 {{{#ffa500 '''금메달'''}}})}}} || || '''등장곡''' ||[[MC 스나이퍼]] - 《[[Better Than Yesterday]]》||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롯데 자이언츠]], [[두산 베어스]]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원래 [[장충고등학교 야구부|장충고]] 시절에는 [[3루수]]였으나 프로 지명을 받지 못하고 대학에 진학하자마자 투수로 전향한 케이스. 만일 프로 지명을 받았다고 해도 투수를 하기 위해 대학 진학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고 한다. 제64회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에서 30이닝을 던져 3승 평균자책점 1.20에 삼진 21개를 기록하며 평균자책점과 다승 1위, 탈삼진 2위 차지하며 이름을 알렸다. 그리고 그 성적을 바탕으로 제25회 아시아 야구선수권 대회에도 참가하여 태극마크를 달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poktannews/2010/11/16/201011160826778577_1.jpg|width=100%]]}}}|| 대학 졸업 후 다시 참가한 신인 드래프트에서 [[롯데 자이언츠]]의 지명을 받았으며, 이후에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 유일한 아마추어(대학생) 신분으로 참여하여 B조 예전 3차전에서 최약체팀인 [[파키스탄]]을 상대로 선발 등판, 2⅓이닝 1피안타 3삼진으로 활약하였다. 그리고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한국 대표팀이 금메달을 차지함에 따라 병역 면제혜택을 받았다.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대표팀의 투수코치로 합류한 [[김시진]] [[넥센 히어로즈]] 감독으로부터 150km까지는 던질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칭찬과 함께 조련을 받았다.[[http://osen.mt.co.kr/article/G1011040279|관련기사]] 롯데에 오면서 [[양상문]]의 손을 타지 않은 것과 동시에 투수 조련에 일가견이 있는 김시진 감독으로부터 조련을 받았기에 많은 롯데팬들이 활약을 기대했다. 하지만 김시진과 2~3일 동안 맨투맨 훈련을 했음에도 결국 '투수의 기본이 되어 있지 않다'는 말이 나왔다는 에피소드가 있다. 부정적인 다른 에피소드로 김시진 감독이 시즌 중 김명성을 만났을 때 '왜 알려준 대로 던지지 않느냐?'고 묻자 김명성이 ''''다 잊어버렸는데요''''라고 대답했다는 말이 있다. 역시 군먹튀 선수답다고나 해야 할까... === [[롯데 자이언츠]] === ==== 2011 시즌 ==== 시범경기에서의 부진 등이 겹쳐 2군에서 11시즌을 시작하게 되었다.[[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104080100078510004929&servicedate=20110407|참고자료]] 5월 8일 두산과의 경기에 나와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지만 투구내용 자체는 전혀 좋지 못했다. 직구 구속이 140이 안 된 데다가 제구도 높게만 형성되고 변화구는 스트라이크존을 벗어나기 일쑤인 등 1군에서 버티기 힘든 수준. 6월 18일 임시 선발로 나왔지만 역시나 털려버렸다. 6월 20일 기준 3경기 0승 1패 0홀드 0블론세이브 ERA 6.75 WHIP 1.95을 기록 중. === [[두산 베어스]] === ==== 2012 시즌 ==== 6월 17일 뜬금없이 두산 포수인 [[용덕한]]과 맞트레이드되었다. 이로써 롯데의 1라운드 픽 실패전설에 한 줄을 보태게 되었다. 두산 팬들은 [[정명원]] 투수코치가 그를 각성시켜 주기를 바라고 있으며 롯데 팬들은 신체조건도 안 좋고[* 180cm 초반으로 아예 안 좋은 건 아니나 평균에 좀 못 미치는 정도] 구속도 안 나오는 투수가 터질 가능성은 없다며 별로 아쉬워하지도 않는 분위기. 두산 베어스에 트레이드된 직후 '축 두산 베어스 입단'이라는 문구가 새겨진 수건을 선수단에 돌렸다. 사실 롯데에 입단할 때도 돌렸다고. [[KBO 준플레이오프/2012년|준플레이오프]]에 접어들면서 [[용덕한]]이 맹활약하자 롯데 팬덤에서 아주 숨은 [[MVP]] 대접을 받고 있는 처지... ==== 2013 시즌 ==== 7월 27일 [[잠실 야구장]]에서 열린 [[LG 트윈스]]전에서 드디어 2이닝 무실점 1볼넷 1삼진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두산에서의 1군 데뷔전을 치렀다. 선발인 [[데릭 핸킨스]]가 6이닝을 먹고도 5실점, 9회초에 올라온 [[이정호(1992)|이정호]]가 ⅔이닝 동안 4실점한 것과 대조되는 활약을 펼쳐 [[두산 베어스 갤러리]]에선 '갓쯔아', '플루톤갑'이라며 재조명되는 상황. [[2013년 한국시리즈]] [[두산 베어스]] 엔트리에 [[최주환]]을 대신하여 등록되었다. [[삼성 라이온즈]]와의 2013년 한국시리즈에서 1경기에 나와 한 타자를 상대하여 볼넷을 허용하였지만 실점은 없었고, 팀은 시리즈 전적 3승 4패로 준우승에 그쳤다. ==== 2014~2016 시즌 ==== 2014년 9월 12일까지 6경기 6이닝 방어율 0의 성적을 기록했다가 10월 12일 LG전에서 [[최승준]]에게 투런을 맞으며 방어율이 2점대로 올랐다. 2015년 8월 23일 KT전에서 구원투수로 나와 1⅓이닝 2탈삼진으로 무실점 투구를 보였고 팀이 역전을 한 덕분에 프로 데뷔 첫 승을 거두었다. 2016년에는 [[이원재(1988)|이원재]]와 함께 2군 등판기록이 없다. 설상가상으로 등번호였던 27번마저 시즌 중에 군 전역한 [[홍상삼]]에게 넘어간 데 이어 아예 구단 홈페이지에서 사라졌다. 그리고 10월 19일 조인식 기자의 트윗을 통해 [[오장훈]], [[김강]], [[최영진]]과 함께 [[웨이버 공시]]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은퇴한 이유가 놀라운데, 투구할 때마다 손이 무뎌지는 증상 때문이라고 한다. 그 동안 1군은커녕 2군에도 올라오지 못한 이유가 있었던 것. 사실이라면 말초신경계병으로 의심되는 증상이다. 은퇴 후에는 지도자를 준비한다고 했다. == 은퇴 이후 == 의왕에서 [[조경환(야구)|조경환]]이 운영하고 있는 야구레슨장에서 코치로 일하고 있다. == 플레이 스타일 == 140km대 중반의 속구와 슬라이더를 구사하는 우완 정통파 [[투수]]이다.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파키스탄전에서 던진 구질은 포심 패스트볼, 투심 패스트볼, 스플리터, 슬라이더 4종류로 파키스탄이 최약체팀이었음을 감안해도 상당한 수준의 [[제구(야구)|제구]]를 보여주었다. 그런데 시즌 시작 이후 2군에서도 10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고 있으며 직관 갔던 사람 말로는 직구가 유일하다고 한다. 당시 상대하던 [[경찰 야구단]]에서도 변화구는 버리고 직구만 노렸다고... 어쨌든 아마추어 때에 비해 직구의 스피드 자체가 더 떨어져 2012년 시범경기 기준 142km 정도를 던졌다. 직구를 던질 때 [[박찬호]]가 한때 그랬던 것처럼 소리를 지르며 던질 때가 종종 있어서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에서의 별명이 '''김쯔아''' 혹은 '''김쯔ㅏ'''가 되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fff 역대 기록}}} || || 연도 || 팀 || 출장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ERA+ || FIP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WHIP || sWAR || || 2011 ||<|2> [[롯데 자이언츠|롯데]] || 4 || 7⅔ || 0 || 1 || 0 || 0 || 9.39 || 44.7 || 8.28 || 14 || 3 || 2 || 3 || 2.09 || -0.21 || || 2012 ||<-15> 1군 기록 없음 || || 연도 || 팀 || 출장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ERA+ || FIP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WHIP || sWAR || || 2013 ||<|4> [[두산 베어스|두산]] || 8 || 11 || 0 || 0 || 0 || 0 || 4.09 || 104.0 || 3.62 || 7 || 0 || 7 || 9 || 1.27 || 0.24 || || 2014 || 8 || 7⅔ || 0 || 0 || 0 || 0 || 2.35 || 210.6 || 5.55 || 4 || 1 || 2 || 3 || 0.78 || 0.18 || || 2015 || 17 || 17⅓ || 1 || 0 || 0 || 0 || 7.79 || 60.2 || 6.04 || 27 || 2 || 12 || 10 || 2.19 || -0.13 || || 2016 ||<-15>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br](4시즌) || 37 || 43⅔ || 1 || 1 || 0 || 0 || 6.18 || 73.4 || 5.74 || 52 || 6 || 23 || 25 || 1.70 || 0.08 || == 여담 == * [[롯데 자이언츠]]에 지명됐을 당시에 [[영 좋지 않은]] 표정을 지어서 말이 많았다. 이 때 신인드래프트를 보던 [[조성환(1976)|조성환]]이 저 표정을 보고 빡돌아서 "도대체 쟤 누구냐?"고 주변에 물어보고 다녔다는 말이 있다.[* 자신의 소속팀에 지명된 선수가 저런 표정을 지으며 싫다는 티를 내면 누구여도 빡칠 만하다.][* 이후 8년 뒤인 2019년에 [[치바 롯데 마린즈]]에 지명된 [[사사키 로키]]가 동일한 표정을 지었다. 그러나 사사키는 롯데가 딱히 싫었던 건 아니라 그냥 의미없는 표정이었다고 인터뷰하며 공식적으로 부인했다.][br][[파일:/image/109/2010/08/16/201008161654773739_1.jpg|width=300]] * 우연의 일치로 [[김명성(1946)|김명성]] 前 감독과 한자까지 동일한 [[동명이인]]이다. * [[최희섭]]과 닮았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88년 출생]][[분류:2011년 데뷔]][[분류:2016년 은퇴]][[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장충고등학교 출신]][[분류:중앙대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병역특례자/야구]][[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