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김맹도리}}}'''[br]'''金孟道里'''}}}}}}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맹도리.jpg|width=100%]]}}} || || '''이명''' ||김찬두(金讚斗) || ||<|2> '''출생''' ||[[1876년]] [[2월 16일]] || ||[[전라도]] [[남원시|남원도호부]] 흑송방 백평리[br](현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신평리 백평마을) || ||<|2> '''사망''' ||[[1959년]] [[5월 5일]] (향년 83세) || ||[[전라북도]] [[남원시|남원군]]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340호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김맹도리는 1876년 2월 16일 전라도 남원도호부 흑송방 백평리(현 전라북도 남원시 송동면 신평리 백평마을)에서 태어났다. 이후 남원도호부 기지면 고룡리(현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 고룡마을)로 이주하였다. 그는 1906년 [[양한규]] 의병진에 입대하였으며, 그해 12월 30일경 양한규 의병장의 휘하 의병 120여명과 함께 총기와 탄약 등을 구하기 위하여 각자 [[화승총]]과 [[죽창]]으로 무장하고 양한규의 지휘에 따라 그날 새벽 남원 [[진위대]]를 습격하여 보관중인 총기 및 탄약 약간을 탈취한 후 본부에 돌아가던 중 체포되었다. 이로 인해 1909년 10월 8일 광주지방재판소 전주지부에서 소위 강도 혐의로 징역 7년형을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297&evntId=0034989614&evntdowngbn=Y&indpnId=0000020771&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선고받았으나]], 1912년 9월 13일 소위 [[특사]]로 형집행이 면제되어 출옥하였다. 이후 고향에 은거하다가 [[8.15 광복]]을 맞았으며, 1959년 5월 5일 별세하였다. 1986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이 추서되었으며,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1994년 11월 18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에 이장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남원시 출신 인물]][[분류:1876년 출생]][[분류:1959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국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