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무산군 출신 인물]][[분류:1898년 출생]][[분류:1967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국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운동가|{{{#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br] {{{#ffffff '''{{{+1 김만와}}}'''[br]'''金晩窩'''}}}}}} || ||<-2> [[파일:8415.jpg|width=100%]] || ||<|2> '''출생''' ||[[1898년]] [[2월 1일]] || ||[[함경북도]] [[무산군]] || ||<|2> '''사망''' ||[[1967년]] [[12월 24일]] || ||[[경상남도]] [[진해]]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 || '''직업''' ||독립운동가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제강점기 당시 철혈광복단, 고려혁명당 등에서 군자금을 조달하던 독립운동가.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 생애 == 1898년 함경북도 무산군에서 태어났다. 1919년에 철혈광복단에 입단한 후 그는 통신과 연락 등을 담당하였으며 1922년에는 대한독립단에 입단하여 군자금 조달활동에 참여하였다. 1926년에는 고려혁명당에 입단하여 결사단원으로 활동하면서 1929년 10월 이병무(李炳武)·손성우(孫聖宇)·김해룡(金海龍)·최기호(崔基浩)등과 같이 하얼빈 외국사도가에 있는 이규은에게 군자금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이규은의 밀고로 일경에 체포되어 1932년 4월 30일 신의주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을 선고받고 수감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