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633년 출생]][[분류:1687년 사망]][[분류:광산 김씨]][[분류:조선의 국구]][[분류:조선 보사공신]][[분류:조선의 문관]][[분류:서인]][[분류:노론]] [include(틀:조선의 부원군(국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11208, #7e2f22 20%, #7e2f22 80%, #511208)" '''{{{#ffd400 김만기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조선 보사공신)] ---- [include(틀:종묘 배향공신)] ---- [Include(틀:서인)] ---- [Include(틀:노론)]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11208, #7e2f22 20%, #7e2f22 80%, #511208)" '''[[숙종(조선)|{{{#ffd400 조선 숙종의 장인}}}]] | [[인경왕후|{{{#ffd400 인경왕후의 부친}}}]][br]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문충공(文忠公)[br]{{{+1 김만기}}}[br]金萬基'''}}}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만기초상화.jpg|width=100%]]}}} || || '''출생''' ||[[1633년]] [[3월 2일]][br](음력 [[인조]] 11년 1월 23일)|| || '''사망''' ||[[1687년]] [[4월 26일]] (향년 54세)[br](음력 [[숙종(조선)|숙종]] 13년 3월 15일)[* [[세는나이]] 55세.]|| || '''[[봉호|{{{#ffd400 봉호}}}]]'''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 '''[[시호|{{{#ffd400 시호}}}]]''' ||문충(文忠)|| || '''[[본관|{{{#ffd400 본관}}}]]''' ||[[광산 김씨]]|| || '''[[자(이름)|{{{#ffd400 자}}}]]''' ||영숙(永叔)|| || '''[[아호|{{{#ffd400 호}}}]]''' ||서석(瑞石), 정관재(靜觀齋)|| || '''부모''' ||부친 - 김익겸(金益兼, {{{-3 1614 ~ 1637}}})[br]모친 - [[해평 윤씨]]({{{-3 1617 ~ 1689}}})[* 윤지(尹墀)의 딸로 [[정혜옹주(선조)|정혜옹주]]의 손녀.]|| || '''형제자매''' ||남동생 - [[김만중]]|| || '''부인''' ||서원부부인(西原府夫人) [[청주 한씨]]({{{-3 ? ~ 1720}}})|| || '''자녀''' ||'''슬하 4남 3녀'''[br]장남 - 김진구(金鎭龜, {{{-3 1651 ~ 1704}}})[br]차남 - 김진규(金鎭圭, {{{-3 1658 ~ 1716}}})[br]장녀 - '''[[인경왕후]]'''[br]3남 - 김진서(金鎭瑞, {{{-3 1663 ~ ?}}})[br]차녀 - 김한혜(金漢惠, {{{-3 1668 ~ ?}}})[br]3녀 - 김복혜(金福惠, {{{-3 1673 ~ ?}}})[br]4남 - 김진부(金鎭符, {{{-3 1676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효종(조선)|효종]], [[현종(조선)|현종]], [[숙종(조선)|숙종]] 때 [[문관]]이자 [[외척]]이다. == 생애 == 예학의 대가인 사계 [[김장생]]의 증손자이며, 조부는 허주 김반이므로[* 잠곡 [[김육]]의 절친이다.] [[김집]]의 종손자이다. 그리고 아버지는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순절한 김익겸으로 김만기는, 사씨남정기와 구운몽으로 유명한, 서포 [[김만중]]의 형이다. 숙부로 대사성, 대제학을 역임한 김익희와 [[병마절도사]]를 지내고 [[김석주]]와 같이 [[남인]]을 숙청 공작을 실행했다가 [[기사환국]] 때 죽은 김익훈이 있다. 북헌 [[김춘택]]의 조부이기도 하다.[* 첫째 아들 [[김진구]]의 아들이다.] 숙종의 첫 번째 왕후인 [[인경왕후]]의 아버지로 광성부원군에 올랐고, 숙종의 외숙부이자 공작정치로 유명한 [[김석주]]하고도 친인척 관계를 형성했다.[* [[김석주]]는 조부 김반과 친했던 [[김육]]의 손자이기도 하다.] 종조부 김집의 제자인 [[송시열]]의 문하로 들어가 수학했다. 더불어, 모친은 [[윤두수]]의 고손녀이다. 현종의 묘정에 [[배향공신#s-2.1.2|배향]]되었다. == 붕당 == 골수 [[서인]]이었으며, 또한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분당한 뒤에는 골수 노론이기도 했다. 또 [[민유중]],[* [[송시열]]의 문인이자 [[숙종(조선)|숙종]]의 두 번째 장인이다.] [[김석주]] 등과 함께 삼척으로도 불렸다. [[송시열]]의 문인이며, [[기해예송]]과 [[갑인예송]]에서 송시열의 뜻을 따르면서 서인의 과격파로서 [[남인]]의 의견에 강하게 맞섰다. 그의 딸이 [[인경왕후|세자빈]]이 된 뒤에는 병조참판과 예조참판을 지냈고 병조판서와 예조판서, 그리고 대제학을 지냈으며 [[숙종(조선)|숙종]] 즉위 이후 국구가 되면서 영돈녕부사로 임명되었고 훈련대장, 호위대장, 오위도총부도총관으로 군권까지 쥐었다. [[경신환국]] 때 서인으로서 김석주, 김익훈, 이사명 등과 더불어서 옥사를 일으켜서 남인들을 많이 숙청했다. == 사후 == 죽은 뒤 경기도 시흥군 대야미리(현 군포시 대야미동) 산 1-12번지에 안장되었다. 경모재(敬慕齋)에 제향되었고, 1719년(숙종 45) 현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묘비명과 신도비문은 1687년 스승인 우암 [[송시열]]이 지었고, 글씨는 김진규가 썼다. 그밖에 [[숙종(조선)|숙종]]이 직접 써 준 어필비문(御筆碑)이 1699년(숙종 25)에 묘소 근처에 세워졌다. 사후 증직으로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겸 홍문관 예문관 춘추관 성균관 관상감사에 추증되었다. 1992년 6월 5일 그의 묘소와 비석, 신도비는 경기도 기념물 제131호로 지정되었다. == 저서 == 《서석문집》 18권 == 가족 관계 == * 증조부 : 김장생(金長生) * 종조부 : 김집(金集) *조부 : 김반(金槃) * 백부 : 김익희(金益熙) * 숙부 : 김익훈(金益勳) * 부 : 광원군(光原君) 김익겸(金益兼) * 모 : [[해평 윤씨]](海平 尹氏) - 윤지[* [[정혜옹주(선조)|정혜옹주]]의 장남](尹墀)의 딸 * 동생 : 서포 [[김만중]](金萬重) - [[구운몽]]의 저자 * 제수 : [[연안 이씨]] - 이은상[* 이단상의 종형](李殷相)의 딸 * 부인 : 서원부부인 [[청주 한씨]](西原府夫人 淸州 韓氏) - 한유량(韓有良)의 딸 * 장남 : 광은군(光恩君) 김진구(金鎭龜, 1651년 ∼ 1704년) *며느리 : 이광직(李光溭)의 딸 * 손자 : 김춘택(金春澤) * 손자 : 김보택(金普澤) * 손자 : 김운택(金雲澤) * 손자 : 김민택(金民澤) * 손자 : 김조택(金祖澤) * 손자 : 김복택(金福澤) * 손자 : 김정택(金廷澤) * 손자 : 김연택(金延澤) * 차남 : 김진규(金鎭圭, 1658년 ~ 1716년) * 손자 : 김성택(金星澤) * 손자 : 김양택(金陽澤) * 장녀 : [[인경왕후]] 김씨 - 조선 제 19대 왕 [[숙종(조선)|숙종]]의 정비 * 3남 : 김진서(金鎭瑞, 1663 ~ ?) * 차녀 : 김한혜(金漢惠, 1668 ~ ?) - 정형진(鄭滎振)에게 출가 * 3녀 : 김복혜(金福惠, 1673 ~ ?) - [[연안 이씨]] 이주신(李舟臣)에게 출가 * 외손자 : 영의정 이천보 * 외손녀 : 심사주[* [[숙명공주]]의 남편 심익현(沈益顯)의 손자](沈師周)에게 출가 * 4남 : 김진부(金鎭符, 1676 ~ ?) * 손자 : 김연택(金延澤) - 생부 김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