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시인]][[분류: 안동 김씨(선)]][[분류:증평군 출신 인물]][[분류:1604년 출생]][[분류:1684년 사망]] [목차] == 개요 == 조선 중기의 시인. 다독가이자 노력가로 잘 알려져 있다. 한마디로 정의하면 '''[[노력하는 범재|노력하는 사람]]의 표본'''. 생몰년도는 [[1604년]]([[선조(조선)|선조]] 37)~[[1684년]]([[숙종(조선)|숙종]] 10) [[9월 6일]]. 본관은 [[안동 김씨|안동]](安東). 자는 자공(子公)이며, 호는 백곡(栢谷)·백곡노인(栢谷老人)·백옹(栢甕)·귀석산인(龜石山人) 등이다. '''할아버지가 [[진주 대첩]]의 명장 진주목사 [[김시민]]'''이며, 아버지는 경상도관찰사를 지낸 김치(金緻)다. 다만 김치는 본래 김시민의 형인 김시회의 아들인데 생후 김시민의 [[양자(가족)|양자]]로 [[입양]]되어 가문을 이었다. 1604년 [[충청도]] 청안현 삼성당(현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내성리 삼성당)에서 태어났다.[[http://m.cailbo.com/40853|#]] == 설명 == 어렸을 때 [[천연두]]를 앓았으나 다행히 살아남았는데, 그때 [[뇌]] 손상을 입었는지 심하게 아둔했다고 전해진다. 10살이 돼서야 글을 깨우쳤고 그 기억력이 뒤돌아서면 모두 잊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아버지의 독려와 가르침[* 일설에 따르면 득신이 태어날 즈음에 부친이 자기 집에 [[노자]]가 다시 태어나는 꿈을 꾸었다고 했다. 때문에 아버지는 노자의 환생이니 무엇이든 큰 인물이 될 것이라 생각하여 아둔함에 혀를 차면서도 아들을 격려했다고. 이러한 끈기 있는 학업 덕에 김득신은 만년에 시인으로 이름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이다.]으로 극복하여 20세에는 처음으로 글을 지었고, 1642년([[인조]] 20) 39세의 나이에 식년시 진사시에 3등 51위로 합격하였다.[[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b_1642_011102|#]] 그리고 1662년([[현종(조선)|현종]] 3) 59세의 늦은 나이에 증광시 문과에 병과 19위로 급제했다.[[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b_1662_006437|#]] 1669년(현종 10) [[사헌부]]장령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하였다. 이후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오르고 안풍군(安豐君)에 봉해졌는데, 얼마 뒤 사직하고 충청도 괴산군 능촌리(현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에 독서재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300610000&pageNo=1_1_1_0|취묵당]](醉墨堂)을 짓고 시(詩)를 지으며 살았다. 여기서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일반적인 극복이랄 때는 책을 몇 번 더 읽는 수준]]이겠지만, 득신은 읽는 횟수가 상상을 초월했다. 특히 [[사마천]]의 사기열전(史記列傳) 백이열전(伯夷列傳) 부분을 '''1억 1만 3천번''' 읽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심지어 부인이 먼저 죽어 장례를 치르는데 곡은커녕 백이열전 읽는데 여념이 없었다고 했다.[* 그래서 그의 서재 이름은 억만재(億萬齋)였다. 물론 이 숫자가 안 좋은 기억력만으로 나온 숫자는 아니다. 좋은 글은 몇 번 더 읽는 독서광들에게서 자주 볼 수 있는 습관이 겹쳤기 때문이다.][* 그밖에도 [[한유]]의 <사설>은 13,000번, <악어문>은 14,000번, <노자전>은 20,000번, <능허대기>는 25,000번을 읽었다. 그렇게 많이 아니 셀 수 없을 수록 읽었는데 좋지 않은 기억력 때문에 이게 무슨 책이지 라고 생각 한 적도 있었다고 한다. 또한 여든까지 살아 아내와 딸을 먼저 보냈는데, 장례식장에서도 하라는 곡은 안 하고 책에 푹빠져 읽고 있었다고 했다.] 참고로 당시에는 '1억'이 지금의 1억(10,000의 1만 배)이 아닌 지금의 10만을 나타내는 단위였다. 곧 현대 기준으로 '''11만 3천 번''' 읽은 것. 특히 글을 잘 지었다고 했다. 그가 본격적으로 이름을 떨치게 된 계기는 한문(漢文)의 4대가 중 한명인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극찬 덕분이었을 정도다. 그의 시를 접한 이식은 김득신에게 "당대 최고의 시인"이라고 평했다. 1684년(숙종 10) 9월 6일 도적의 무리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45973&cid=46622&categoryId=46622|명화적]]에게 살해되어 80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https://sillok.history.go.kr/id/ksa_11009006_003|#]] 저서는 《백곡집》 등이 있다. 굉장히 오래 살았는데,[* 70대 시기에 '''그 악몽같던 [[경신대기근]] 시기를 겪었음에도 생존하였다.''' 이 시기에 조선 인구의 10%가 사망했을 정도이니 가히 천운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만 마지막에는 재물을 노린 화적떼 손에 피살당했다. 전해오는 이야기로 그 화적떼가 사실 집안의 노비로 평소 김득신에 앙심을 품고 일부러 계획했다고 한다. 이 비보를 들은 숙종은 충격을 받고 토포사로 하여금 화적떼를 토벌하라는 어명을 내렸다. 묘소는 증평군에 있으며 증평군에서 김득신 [[백일장]]과 김득신 기념관 등 그를 기념하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 이야기 == 아버지 김치가 생전 점을 잘쳤고, 민담에서 [[염라대왕]]이 됐다는 설화가 있어 김득신도 아버지 관련 설화에 잘 등장하고, 본인도 천연두 후유증으로 [[건망증]]이 생겨 그에 대한 이런저런 에피소드가 굉장히 많다. * 늙은 마부가 이제 나이들어 은퇴하게 퇴직금으로 먹고 살 전답을 달라고 청했다. 그러나 김득신은 그 자리에서 가멸차게 거절하고 마부는 실망해 뒤돌아가려던 찰나, 백곡이 다시 불러 퇴직시켜주고 전답을 내려주었다. 주위 사람들이 왜 아까는 안주고 이제야 주냐는 질문에 백곡 왈, 늘 마부가 말을 끌어 뒤통수만 보다보니 정면 얼굴은 잊어버렸다고. * 역시 마부에 관한 이야기. 말을 타고 집에 돌아가던 중 시를 읆는데 마지막 문구가 도통 생각나지 않더란다. 그런데 마부가 뒤이어 구절을 읊자 득신은 감탄하면서 "야 니가 말에 타라"며 자기가 고삐를 쥐고 마부를 말에 태우는데 마부가 득신이 늘 읊던 당시(唐詩)가 아니냐며 웃자 이마를 탁 쳤다고 한다. 하인조차 질리게 들어 외울 정도면 반복 학습의 끝판왕이다. * 어느 날 굉장한 명시를 하나 우연히 읽게 되었다. 백곡은 그 시를 암송하기 위해 되풀이하며 읽었는데, 친구가 와서 그 시를 지은 사람은 바로 백곡이라고 가르쳐 주었다. 자신이 쓴 글도 잊어버린 것이다. * 친구의 집에서 시회가 열려 백곡은 말을 타고 친구의 집으로 향했다. 그러나 시제를 생각하느라 말을 모는 것을 깜빡 잊었고 말은 집 문 앞에서 서성거리기만 했다. 마침 백곡의 집에 다니러 온 처조카가 말을 몰고 집으로 들어오자 백곡은 부인과 눈이 딱 마주쳤다. 의아해진 백곡은 "아니, 부인이 왜 이집에 와 계시오?"라고 물었고 부인은 "여긴 영감 집이외다."라고 대답해 주었다. 그러자 백곡은 "내가 언제 시회를 끝내고 돌아왔지?"라며 황망해했다. 이처럼 그는 노력하는 사람이자 다독가의 표본으로서 천재교육 기준 중등 국어 2-1와 5-2 국어 나 교과서에 그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