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김두환}}}'''[br]'''金斗煥'''}}}}}} || || '''이명''' ||김종태(金鍾泰) || || '''호''' ||용연(龍淵) || || '''본관''' ||[[영광 김씨]][* 문경공파(文敬公派)-우수공(愚叟公) 원등파(元登派) 20세 환(煥) 항렬.] || ||<|2> '''출생''' ||[[1909년]][* [[http://www.laborsbook.org/dic/view.php?dic_part=dic02&idx=3326|1908년생이라는 자료도 있다]].] [[7월 15일]][* 영광김씨문경공파보 권1 93쪽에는 7월 5일생으로 등재되어 있다.] || ||[[전라남도]] [[장흥군]] 남하면 원등리[br](現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 덕암리 원등마을 123번지) || ||<|2> '''사망''' ||[[1956년]] [[8월 23일]][* 음력 7월 18일.] (향년 47세)|| ||[[전라남도]] [[장흥군]]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338호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김두환은 1909년 7월 15일 전라남도 장흥군 남하면 원등리(現 장흥군 용산면 덕암리 원등마을 123번지)에서 아버지 김공식(金恭植, 1887. 4. 17 ~ 1938. 1. 30)과 어머니 [[경주 이씨]](1890 ~ 1914. 5. 29)[* 이병종(李秉鍾)의 딸이다.] 사이의 3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우수공(愚叟公) 김상범(金尙範, 1583 ~ 1643. 12. 5)의 10대 주손인 김동식(金東植, 1880. 9. 5 ~ 1900. 8. 6)에 입양되었으며, 덕암리 132번지[* [[https://theme.archives.go.kr/next/acreage/viewCadastreDetail.do?packid=0000220376&docid=0007874344&mngno=BJCA496527&type=12&want=1&arch_tp_id=12&formType=old&rtURL=%2facreage%2flistOldnameSearch.do%3fdepth1%3d%25EC%25A0%2584%25EB%259D%25BC%25EB%2582%25A8%25EB%258F%2584%5edepth2%3d%25EC%259E%25A5%25ED%259D%25A5%25EA%25B5%25B0%5edepth3%3d%25EB%2582%25A8%25ED%2595%2598%25EB%25A9%25B4%5earch_tp_id%3d12%5edepth4%3d%25EB%258D%2595%25EC%2595%2594%25EB%25A6%25AC%5eserviceCode%3d1-1-3%5eformType%3dold|1915년 작성된 지적원도]]에 따르면, 1915년 당시 이 지번은 김두환과 10촌 지간의 족조(族祖)인 김한충(金漢忠, 1856. 5. 2 ~ 1926. 9. 20)의 소유였다. 이후 1979년 5월 10일 김두환의 7촌 재종숙(再從叔) 김중식(金仲植, 1913. 10. 9 ~ 1981. 12. 7)에게 소유권이 이전되었고, 이어 1995년 6월 13일 김중식의 장남이자 김두환의 8촌 삼종제(三從弟)인 김가환(金加煥, 이명 김묘환金卯煥, 1947. 2. 1 ~ )에게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2016년 12월 29일 현재 김두환의 9촌 삼종질(三從姪)이자 김가환의 장남 김양구(金亮求, 1972. 5. 20 ~ ), 차남 김재석(金在石, 1979. 7. 1 ~ ), 장녀 김수진(金修辰, 1974. 9. 23 ~ ), 차녀 김연진(金連珍, 1977. 3. 19 ~ )의 공동소유로 남아 있다.]로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7070&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7733&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거주하기도 했고]], 덕암리 133번지[* [[https://theme.archives.go.kr/next/acreage/viewCadastreDetail.do?packid=0000220376&docid=0007874344&mngno=BJCA496527&type=12&want=1&arch_tp_id=12&formType=old&rtURL=%2facreage%2flistOldnameSearch.do%3fdepth1%3d%25EC%25A0%2584%25EB%259D%25BC%25EB%2582%25A8%25EB%258F%2584%5edepth2%3d%25EC%259E%25A5%25ED%259D%25A5%25EA%25B5%25B0%5edepth3%3d%25EB%2582%25A8%25ED%2595%2598%25EB%25A9%25B4%5earch_tp_id%3d12%5edepth4%3d%25EB%258D%2595%25EC%2595%2594%25EB%25A6%25AC%5eserviceCode%3d1-1-3%5eformType%3dold|1915년 작성된 지적원도]]에 따르면 1915년 당시에는 김후립(金厚立)의 소유였다가 1967년 8월 24일 김두환과 11촌 지간의 족숙(族叔)인 김대식(金大植, 1913. 9. 16 ~ 1977. 2. 19) 외 5명의 공동소유로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이후 1984년 9월 13일 김두환과 11촌 지간의 다른 족숙인 김봉식(金奉植, 1925. 9. 4 ~ )에게 소유권이 이전되었고, 1991년 1월 25일 김대식의 차남 김부환(金夫煥, 1948. 2. 24 ~ )에게 소유권이 이전된 뒤 현재도 김부환의 소유이다.]에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587&evntId=0034985519&evntdowngbn=Y&indpnId=0000016978&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거주하기도 했다]]. 그는 11살 되던 1919년 [[3.1 운동]]에 참여했고, 12살까지 한문을 수학하고 1920년 장흥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해 1926년 졸업했다. 1927년 [[신간회]] 장흥지회가 조직되자 가입하여 1929년 12월 11일 회계위원 및 재무부장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9121700239203005&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9-12-17&officeId=00023&pageNo=3&printNo=3212&publishType=00020|선출되었고]], 1931년 5월 이후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105070023920602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1-05-07&officeId=00023&pageNo=6&printNo=3718&publishType=00020|해소되기 전]]까지 활동했는데, 이 사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군자금을 송금하기도 했다. 또한 장흥군 남상면·남하면 일대의 뜻 있는 청년들을 모아 1929년 1월 13일 남흥청년동맹(南興靑年同盟) 기성회를 조직하고 당일 7촌 재종숙(再從叔) 김미식(金美植, 1907. 8. 7 ~ 1978. 2. 22)[* 김두환과 함께 전남운동협의회에 가입해 활동하다가 목포형무소에서 1년간 옥고를 치른 뒤 1934년 9월 15일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기소유예]]로 [[불기소처분]]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7070&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7781&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받고]] 석방된 기록이 있다. [[8.15 광복]] 후에는 초대 용산면장, 초대 [[https://db.history.go.kr/search/searchResultList.do?sort=&dir=&limit=20&page=1&pre_page=1&setId=1&totalCount=1&kristalProtocol=&itemId=jw&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9%87%91%E7%BE%8E%E6%A4%8D&brokerPagingInfo=SnUpYrZZuHIxMzHLMdPQRSi0k0mUUpCDsHuCGHyKLMNd0f0h&selectedTypes=&selectedSujectClass=&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9%87%91%E7%BE%8E%E6%A4%8D&searchKeywordConjunction=AND|용산면의회 의장]], [[농협중앙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유재성·[[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4640|정진수]](丁瑨壽)과 함께 기성회 위원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2901180023920403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9-01-18&officeId=00023&pageNo=4&printNo=2879&publishType=00020|선출되었다]]. 1930년 3월 25일 장흥청년동맹 상무·집행위원장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003300023920302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0-03-30&officeId=00023&pageNo=3&printNo=3315&publishType=00020|임명되어]] 활동했다. 그 뒤 1932년 12월 장흥야학회 사건으로 일본 경찰에 [[http://www.laborsbook.org/dic/view.php?dic_part=dic02&idx=3326|검거되었다가]] 석방되었다. 1933년 8월 장흥 적색농민조합건설준비위원회 결성에 참여했고, 1933년 10월에는 장흥군 용산면 덕암리에서 동지들과 함께 사회주의 비밀결사 전남운동협의회를 결성한 뒤 장흥군에서 동지규합 및 조직 확대를 위해 활동했다. 또한 일제로부터 해방되고 독립하기 위해서는 농민들의 계몽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장흥군 관내 각 마을에 농민야학을 설치하기도 했다. 이후 장흥군에서 세포반을 조직하며 조직 확대에 힘쓰던 중 1934년 2월 일본 경찰에 조직이 발각되어 체포되었다. 당초에는 1934년 9월 15일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기소유예]]로 [[불기소처분]]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7070&e2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7733&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받아]] 석방되었다. 이후 재차 체포되었지만 1936년 1월 28일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무죄]]를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7179&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8887&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선고받았다]]. 그러나 검사 측에서 공소를 제기했고, 1936년 3월 2일 같은 혐의에 대해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투옥되었다. 그 뒤 1936년 12월 28일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 형사부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무죄]]를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441&evntId=0034992635&evntdowngbn=Y&indpnId=0000023614&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선고받았다]]. 그러나 검사 측의 공소로 1937년 7월 19일 대구복심법원 형사제2부에서 2심이 열렸고, 이날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징역 1년 6개월형(원심 미결 구류일수 중 365일 본형에 산입)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587&evntId=0034985519&evntdowngbn=Y&indpnId=0000016978&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선고받고]] 결국 목포형무소,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1941년부터 1945년 [[8.15 광복]] 전까지는 임산물을 판매하는 상회를 경영하며 조용히 지냈다. 광복 후 [[조선건국준비위원회]]에 가입해 장흥지부 총무부장 등 임원을 역임했고, 장흥청년단 간부를 역임했다. 1946년 1월 [[조선인민당]] 장흥지부 부위원장에 취임했으나, [[미소공동위원회]] 결렬로 당이 분열되자 탈당하고 [[대한독립촉성국민회]]에 입당해 임원을 역임했다. 그 밖에 임시대책위원회 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이후 [[1952년 지방선거]]에서 초대 [[전라남도의회]] 의원에 [[https://db.history.go.kr/search/searchResultList.do?sort=&dir=&limit=20&page=3&pre_page=2&setId=45&totalCount=45&kristalProtocol=&itemId=jw&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9%87%91%E6%96%97%E7%85%A5&brokerPagingInfo=SnUpYrZZuHIxMzHLMdPQRSiSSZWnXXEBsAAvIJyNaIMNeQRSTj0l0n&selectedTypes=&selectedSujectClass=&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9%87%91%E6%96%97%E7%85%A5&searchKeywordConjunction=AND|당선되어]] 1956년까지 역임했고, 1956년 8월 23일 장흥군에서 별세했다. 199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1994년 11월 18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에 이장되었다. == 여담 == *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 모산리 12번지에 김두환의 5대조 김상철(金尙澈, 1776. 11. 1 ~ 1859. 10. 3)이 영광 김씨 종중과 의논해 1824년([[순조]] 4) 후손의 교육을 위해 창건한 [[https://www.kculture.or.kr/oldHome/view/menu/426?kmCode=jnjh0008|월산재]](月山齋)가 있는데, 1984년 2월 2일 [[문화재자료|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3호로 지정되었다. 이 재실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 당시 불타 없어질 뻔 했는데, 당시 장흥군 지역의 선거투표함을 수송하던 차량이 월산재 앞 대밭 곁에 있던 도로를 지나갈 때 쯤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반대하던 좌익 세력이 숨어있다가 수송차량을 공격해 장흥경찰서 소속 경찰들과 한바탕 총격전이 벌어졌다고 한다. 이때 격분한 장흥경찰서장 남정수 [[총경]][* 재임기간 : 1948. 3. 17 ~ 1948. 6. 24.]이 월산재 일대를 모두 불태워버리라는 명령을 하달했다. 이에 김두환과 그의 7촌 재종숙 김미식은 평소 안면이 있던 장흥경찰서장에게 유적의 중요성을 간청해 재실을 불태워 없애는 대신 재실 앞에 있는 대나무밭을 채벌하기로 해 위기를 [[https://live112.tistory.com/5206|모면했다고 한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장흥군 출신 인물]][[분류:영광 김씨]][[분류:1909년 출생]][[분류:1956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