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김동진}}}[br]金東鎭'''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동진(야인시대 실존인물).png|width=100%]]}}} || ||<|2> '''출생''' ||[[1929년]] [[12월 21일]]|| ||[[함경도]]|| ||<|2> '''사망''' ||[[2003년]] ~ [[2010년]] (향년 73~81세)[* 무풍지대 방영 당시 살아있었다는 증언이 있었으며, 가명으로 대체되어 등장하였기에 2003년~2010년 사망으로 보인다.] || ||[[대한민국]] 일대|| || '''직업''' ||조직폭력배, 정당인, 기업인 || || '''학력'''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2 (수료)}}}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절 [[이정재(조직폭력배)|이정재]]의 동대문파에 소속되어 있던 [[조직폭력배]]. == 생애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C%A6%9D%EC%96%B8%ED%95%98%EB%8A%94_%EA%B9%80%EB%8F%99%EC%A7%84.jpg]] 사진 좌측의 인물, 우측의 흰색의 옷은 [[이정재(조직폭력배)|이정재]]다. [[1929년]] [[12월 21일]] [[함경도]]에서 태어났다. [[8.15 광복]] 후 월남해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을지로4가]] 249번지에 [[http://library.nec.go.kr/neweps/ezpdfwebviewe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2F6570646174612F455030362F45434D323030362F30312F45434D303132303036303030312F45434D303132303036303030315F30313633532E706466|본적을 두었다]]. 이후 [[대한청년단]] 총본부 감찰부장, [[국민회]] 중앙총본부 상무집행위원 등을 역임하면서 한때 정계에 투신했다. [[6.25 전쟁]] 때 국군 소위로 포로로 잡혀 처형될 뻔 했지만 [[이석재(조직폭력배)|이석재]]와 함께 탈출하여 영등포파를 이끌다가 이정재에게 가담했다고 한다. 그 뒤 [[이정재(조직폭력배)|이정재]]로부터 [[신익희]]·[[조병옥]] 등 야당([[민주국민당]], 호헌동지회) 요인 32명에 대한 테러 지령을 받자 이를 언론에 폭로하면서 잠적했다. 이후 영화를 보기 위해 [[단성사]]로 갔다가 [[단성사 저격 사건|이석재에게 저격당하기도 했으며]], 이 때문에 [[백병원]]에서 1년간 입원 치료를 받았다. 야인시대에서는 이 사건 이후 공부를 하고 제대로 권력을 쓰겠다고 다짐하면서 퇴장했다. 1960년 [[5.16 군사정변]] 이후 반혁명사건으로 서대문교도소에 투옥돼 3개월간 수감되었다가 풀려났으며, 김동진 본인은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까지 수료하고 중동통신사 이사장을 지냈다. 이후 대한경비견협회 이사장, 서울양유협동조합 이사, 한국경영진단사협회 전문위원 등을 역임하면서 실업계에 종사했다. 이때 느낀 것이 있었는지 1967년 [[민중당(1967년)|민중당]]에 입당하면서 정치계에 복귀했다. 입당 후 중앙당 상무위원, 중앙당 농어민부장, 경기도 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 경기도 평택군 지구당 위원장 등에 취임했고, 같은 해 치러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야당인 민중당 후보로 [[경기도]] [[평택시|평택군]] [[지역구]]에 출마했다. 이때 상대 후보에게 [[깡패]] 출신이라고 공격을 당하자 연설 단상에서 직접 손가락을 절단했다.[* 이후로 자신의 각오를 다지기 위해 이 손가락을 알코올에 담아서 늘 가지고 다녔다고 한다.] 그러나 깡패였다는 과거 때문에 [[민주공화당]] [[이윤용]]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대신 경제인으로서 성공했다고 야인시대의 내레이션이 밝혔는데 1968년 동아일보 기사에 '''경제 깡패로 활동하다''' 검거되었다는 기사가 나온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807030020920300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8-07-03&officeId=00020&pageNo=3&printNo=14376&publishType=00020|참조]] [[주총꾼]]의 반대판으로 사측에게서 [[커미션]]을 받고 민간 주주의 정당한 발언을 폭력으로 막고 주총이 일사천리로 빨리 끝나게 하는 범행을 했다. 범죄조직명은 한국증권투자인협회로 동대문상인연합 따위하고는 비교도 안되는 거창한 이름이다. 1980년 신문 기사를 보면 [[일본]]으로 도피했다고 나오지만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0090800329206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0-09-08&officeId=00032&pageNo=6&printNo=10752&publishType=00020|신문기사]] 이후 행적은 불명이며, 생존 여부조차 알 수 없다. 야인시대 방영 당시 아직 살아있던 거물급 주먹들의 경우 작고시 소식이 언론을 통해 알려졌다는 것을 생각하면 미스테리한 부분이다. == 기타 == 야인시대에서 김동진을 연기한 배우 [[이일재]]는 2019년에 암으로 사망했다. 만약 실존인물 김동진이 아직 살아있다면 아이러니하게도 자신보다 31살정도 젊은 재연배우가 먼저 사망한 셈이다. 실존인물 김동진이 이일재보다 먼저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사망시기가 1989년 이후라면 재연배우보다는 장수한 것이다.[* 1989년에 그는 환갑이었고 2019년에는 생존했을 때 90세가 된다. 1989년 당시 환갑을 맞이한 비율은 약 62% 정도이나, 2019년 당시 90세를 맞이한 비율은 11.5% 정도이며, 그들의 수명이 60대 후반~80대 초반 정도 되니 1996~2010년 사이에 많이 별세했을 것으로 보인다. 무풍지대까지 생존한 것을 보아 2003~2010년 사이 별세로 추정.] 실제로, 위에서 상술했듯 무풍지대나 야인시대가 방영할 당시까지도 살아있었다는 증언이 일부 있었다. 대략 2000년대 중~후반(2003~2010년 사이)에 사망했을 것으로 보이며 만에 하나 살아있을 경우, 2022년 93세(1929년) 기준 약 6.9%의 확률로 살아있는 셈이다.[* 남성의 경우, 약 4.2%만 생존해 있다.] 야인시대의 대표 노안으로 꼽히는 [[김두한]] 역의 배우 [[김영철(배우)|김영철]]은 실존 인물보다 35살 어리지만, 김동진 역의 [[이일재]]는 실존 인물과 30~31살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어찌보면 김두한보다 훨씬 더 노안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 셈이다. 다만, 이일재가 워낙 동안이라서 그렇게까지 노안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참고로 실존인물 [[염동진]]과 배우 [[이대로]]는 37살 차이, 실존인물 시라소니([[이성순]])와 배우 [[조상구]]는 38살 차이가 난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평택군) || [include(틀:민중당(1967년))] || 979표 (1.46%) || 낙선 (6위) ||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동진, version=98)] [[분류:1929년 출생]][[분류:잠적한 인물]][[분류:몰년 미상]][[분류:대한민국의 의문사한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기업인 출신 정치인]][[분류:일제강점기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