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80009 0%, #580009 20%, #580009 80%, #580009)" '''[[대한민국 국회부의장|{{{#CFA547 대한민국 초대 국회부의장}}}]][br]{{{#CFA547 {{{+1 김동원}}}[* 일제강점기 당시 창씨명은 가네오카 히가시모토 ([ruby(金岡東元, ruby=がねおかひがしもと)])][br]金東元 | Kim Dong-w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rokps.or.kr/8.jpg|width=100%]]}}} || ||<|2> '''출생''' ||[[1884년]] [[2월 1일]]|| ||[[평안도]] [[평양시|평양부]] 인흥부 대흥부 창석동[* [[http://db.history.go.kr/id/ia_0637_0473|#]]][br](現 [[평양시]] [[중구역]] 만수동)[* [[이북 5도]] 상 [[평안남도]] [[평양시]] 상수동 48.] || || '''사망''' ||[[1951년]] [[3월 20일]] (향년 67세)|| || '''묘소''' ||[[재북인사릉]] || || '''본관''' ||[[전주 김씨]]|| ||<|2> '''재임기간''' ||초대 국회부의장|| ||[[1948년]] [[5월 31일]] ~ [[1950년]] [[5월 30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김대윤 || || '''형제자매''' ||이복동생 [[김동인]] || || '''학력''' ||평양외국어학교 {{{-2 (일어학과 / 졸업)}}}[br]도쿄 이쿠분칸 중학교 {{{-2 (졸업)}}}[br]메이지대학 전문부 {{{-2 (법과 / 중퇴)}}}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헌 국회의원|'''1''']] || || '''약력''' ||제헌 국회의원 (용산구)[br]초대 국회부의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독립운동가]]였다가 [[친일반민족행위자]]가 된 전 [[정치인]]. 소설가 [[김동인]]의 이복형이다. == 생애 == 1884년, [[평안도]] [[평양시|평양부]] 인흥부 대흥부 창석동(현 평양시 중구역 만수동)에서 평양 대부호 김대윤(金大潤)[* 1899년 4월 [[운산군|운산]]전보사 주사에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6_04A_24A_00070_2005_180_XML|임명되었고]], 동년 8월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6_08A_02A_00070_2005_181_XML|사직하였다]]. 동년 9월 6일 [[남포시|삼화]]전보사 주사에 [[http://db.history.go.kr/id/mk_028_0050_0360|임명되었다]]. 동년 12월 3일 운산전보사 주사에 다시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6_12A_03A_00100_2005_183_XML|임명되었고]], 12월 8일 평양전보사 주사에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6_12A_08A_00050_2005_183_XML|임명되는 등]] 구한말 관료로 재직했다. 그후 1915년 2월, 지방비 토목비에 금 30원을 기부한 것에 대한 포상으로 조선총독으로부터 목배(木杯) 한 개를 [[http://db.history.go.kr/id/gb_1915_02_06_a07520_0140|하사받은 바 있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려서 [[한문]]을 수학했고, 1900년 평양외국어학교 일본어학과에 들어가 1903년 졸업했다. 졸업 후, 평양외국어학교 일본어학과 조교수로 있었다. 1905년 [[일본]]에 유학해 도쿄 이쿠분칸(郁文館) 중학교를 졸업하고, 1906년 [[메이지대학]] 전문부 법과에 입학했으나 1907년 중퇴했다.[[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9000|#]] 1911년, [[조선총독부]]가 조작한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징역형을 선고받고 복역하다가 1913년 석방되었다. 그후 평양의 [[숭실대학교|숭실학교]]·[[대성학교]](大成學校)에서 교사로 재직하였으며, 이때 [[안창호]]와 교유하며 민족문제를 협의하였다. 1920년대에 이르러서는 [[조만식]] 등과 [[물산장려운동]]을 추진하는 한편, 실업계에 투신하여 목재상·평양고무공장 등을 경영하면서 숭인학교(崇仁學校)·[[숭의여자고등학교|숭의여학교]]·숭실학교 및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의 이사 또는 이사장으로 민족교육육성에 진력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동원(정치인)-1937년.png|width=100%]]}}} || || {{{#cfa547 '''△ 1937년 11월 11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촬영된 사진'''}}} || 이후 수양동우회에서 활동하다가 1937년 6월 [[수양동우회 사건]]이 일어나자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검거되어 같은 해 11월 1일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고, 기소되었다가 1939년 7월 28일 [[보석(법)|보석]]으로 [[http://db.history.go.kr/id/ia_0637_0473|출옥하였다]]. 투옥 직후부터 친일파로 전향하였고 1937년 7월 31일 평양에서 열린 애국단체시국간담회(愛國團體時局懇談會)[* 이 간담회에는 [[주요한]]·[[주요섭]] 형제의 아버지 주공삼(朱孔三) 목사도 참석하였다.][* 이 간담회에서 결정한 주요사업이 ① 민중의 시국인식 보급과 국방에 관한 국민적 의무완수에 노력할 것. ② 실행방법으로 강연회 기타 개최와 호별방문, 물질적·정신적으로 보국케 하도록 노력함 등등. 이라고 한다. 친일 간담회 빼박이다.] 조직 발기에 [[http://db.history.go.kr/id/pj_004_0010_0080|중심인물로 참석하였다]]. 출옥 후에는 [[태평양 전쟁]]을 위한 항공기 헌납 운동 및 학병 권유 논설 작성 등의 친일 활동을 하였으며, 평양상공회의소 회두(會頭)로 재임하면서 평양 지방의 유력자로서 특히 친일 협력적 활동을 [[http://db.history.go.kr/id/pj_004_0010_0030_0010|전개했다]]. 1948년 민족정경연구소(民族政經硏究所)에서 펴낸 《친일파군상(親日派群像)》에서는 그의 일제 말 친일 행적의 유형을 [[윤치호]]를 함께 거론하며 '자진적으로 나서서 성심으로 활동한 자'면서 '친일과 전쟁협력이 옳지 않음을 알면서도 자기의 재산, 또는 지위의 보전, 신변의 안전 등을 위하여 행한 자'로 [[http://db.history.go.kr/id/pj_004_0010_0010_0020|분류하였다]]. 또한 그를 "平壤 유수한 자산가로서 (중략) 전시에는 그 자산, 지위, 신변안전 등을 위하여 협력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한다"며 친일의 동기를 [[http://db.history.go.kr/id/pj_004_0010_0030_0010|해석하기도 했다]]. [[8.15 광복]] 후에 [[평안남도]] 평양부에서 조만식과 함께 [[조선건국준비위원회]] 평안남도준비위원회를 조직했다. 그러나 [[소련군]]이 북한에 입성하자 [[월남]]하였다. 이후 [[미군정]] 장관의 행정고문에, [[신탁통치]] 반대 국민총동원위원회 위원, 한국민주당 상임위원을 및 기획부장 등을 역임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용산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용산구(선거구)|용산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후보직에서 사퇴하였다. 그러던 중 [[6.25 전쟁]]이 일어나자 [[납북]]되었다. == [[제헌 국회]] 활동 == * 1948년 5월 31일 101표를 받으며 부의장에 당선되어다. * 1948년 6월 1일 오후에 의장 [[이승만]]이 출석하지 못한 관계로 의장 이승만은 대신하여 회의를 진행하였다. * 1948년 8월 4일 국회 의장 선거 투표때 56표를 받으며 떨어졌다. * 1948년 9월 1일 [[신익희|의장]]이 오지 못한 관계로 의장을 대신하여 진행하였다. * 1948년 9월 2일 [[신익희|의장]]이 오지 못한 관계로 의장을 대신하여 진행하였다. * 1948년 9월 23일 의원들이 신문에만 자료를 의지하는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였다. === 사후 === 수양동우회 사건을 계기로 친일파로 변절한 행적 때문에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경제 부문과 지역유력자 부문에 포함되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CFA547 연도}}}''' || '''{{{#CFA547 선거 종류}}}''' ||<-2> '''{{{#CFA547 선거구}}}''' || '''{{{#CFA547 소속 정당}}}''' || '''{{{#CFA547 득표수 (득표율)}}}''' || '''{{{#CFA547 당선 여부}}}''' || '''{{{#CFA547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 [[서울]] || 제9선거구[* 용산구] || [include(틀:무소속)] || '''19,183(31.43%)''' || '''당선 (1위)''' || '''초선'''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 제14선거구[* 용산을구] || [include(틀:민주국민당)] ||<-2> 후보 사퇴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헌 국회의원/서울특별시)]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한국민주당 국회의원]][[분류:납북자]][[분류:중구역 출신 인물]][[분류:전주 김씨]][[분류:1884년 출생]][[분류:1951년 사망]][[분류:대한민국 국회부의장]][[분류:재북인사릉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