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강릉시민축구단/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김도근 관련 틀'''}}}}}} || || {{{#!folding ▼ [include(틀:K3리그/감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김도근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대표팀'''}}} || || || || || || ||<-4> {{{#333333,#cccccc '''클럽'''}}} || || [[틀:강릉시민축구단 감독|[[파일:강릉시민축구단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76ab5; font-size: 0.9em" [[틀:강릉시민축구단 감독|{{{#ffffff '''강릉시민축구단'''}}}]]}}}[br]{{{-2 4대}}} || || || || ---- [include(틀:전남 드래곤즈/역대 주장)] ---- [include(틀:경남 FC/역대 주장)]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76ab5 0%, #076ab5)" {{{+1 [[강릉시민축구단|{{{#fff '''강릉시민축구단 감독'''}}}]]}}}}}} || ||<-3> {{{#ffffff '''Gangneung City FC'''}}}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umb-2042462401_tUl2gy54_ac5bd7fbcb8fa01b5ccd811db316f18e564bd6b7_591x591.jpg|width=100%]]}}} || ||<-2> {{{#ffffff ''' 이름 ''' }}} || {{{+1 '''김도근'''}}}[br]'''金都根 | Kim Doh-Keun''' || ||<-2> '''{{{#ffffff 출생}}}''' ||[[1972년]] [[3월 2일]] ([age(1972-03-02)]세) [br] [[강원도]] [[강릉시]] || ||<-2>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ffffff 신체}}}''' ||180cm, 78kg|| ||<-2> '''{{{#ffffff 직업}}}''' ||[[축구선수]]([[유틸리티 플레이어(축구)|유틸리티 플레이어]][* 메인 포지션은 미드필더지만 선수 시절 유상철 다음가는 유틸리티 능력을 보여줬다.] / ^^은퇴^^)[br][[축구 감독]] || ||<-2> '''{{{#ffffff 학력}}}''' ||강릉성덕초 - [[강릉중학교|강릉중]] - [[강릉제일고등학교|강릉상고]] - [[한양대]] || ||<|3> {{{#ffffff,#e5e5e5 ''' 소속 ''' }}} || {{{#ffffff,#e5e5e5 ''' 선수 ''' }}} ||'''[[전남 드래곤즈]] (1995~2000)''' [br] [[베르디 가와사키]] (2000) [br] [[세레소 오사카]] (2001) [br] '''[[전남 드래곤즈]] (2001~2005)''' [br]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05) [br] [[경남 FC]] (2006) || || {{{#ffffff,#e5e5e5 ''' 감독 ''' }}} ||[[한양대학교]] (2007 / ^^코치^^) [br] [[광양제철고등학교]] (2008 / ^^코치^^) [br] [[전남 드래곤즈]] (2009~2011 / ^^2군 코치^^) [br] [[전남 드래곤즈]] (2012~2014 / ^^코치^^) [br] [[상주 상무]] (2015 / ^^코치^^) [br] [[경남 FC]] (2016 / ^^코치^^) [br] 안후이 허페이 구이관 FC(2016~2017) [br] 중남 코디온 FC (2017~2020 / ^^총감독^^) [br] [[허베이 FC]] (2021 / ^^수석 코치^^) [br][[강릉시민축구단]] (2022~) || || {{{#ffffff,#e5e5e5 ''' 기타 ''' }}} ||[[강원 FC]] (2023~ / ^^홍보대사^^) || ||<-2> '''{{{#ffffff 국가대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 22경기 1골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1993~2003)^^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남 드래곤즈]]에서 10년간 선수 생활을 했던 레전드. 현재 [[허베이 FC]] 수석 코치를 거쳐 [[강릉시민축구단]]의 감독을 맡고 있다.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고등학교까지는 공격수였지만 한양대에서 수비수로 전환했다. 1학년 때 올림픽 대표팀에 처음 차출되었는데, [[수비수(축구)|수비수]]로 차출된 것이다. 대표팀에서 입은 부상으로 4학년 때는 1년을 통째로 쉬었다. 전지 훈련에선 [[대우 로얄즈]]와 연습경기를 가졌는데, 그 당시 대우가 꼴찌였기 때문에, 김도근은 대우에서 그를 지명할 줄 알았다고 하지만, [[전남 드래곤즈]]와 [[전북 다이노스]]가 창단하면서 지명권 3명을 할당받게 되었고, 김도근은 전남으로 가게 되었다. 여담으로 전북으로 입단하게 된 선수가 바로 [[김도훈]]. === [[전남 드래곤즈]] 1기 === [[파일:Kimdokeun2.jpg]] [[전남 드래곤즈]]의 창단 멤버로 입단했다. 다만 첫 해에는 큰 활약을 하지 못했는데, 개막전 후반에 투입되었고 좋은 활약을 보였으나, 경기가 끝난 후 통증을 느끼고 당시 감독인 [[정병탁]]에게 부탁해 [[대구광역시]]에 있는 스포츠 센터로 가서 재활[* 당시 재활과정은 선수는 물론 구단에서도 잘 인지하지 못한 방법이기 때문에 구단의 지원은 기대할 수 없었다.]을 했다. 1996년 시즌을 앞두고 [[전남 드래곤즈]]에 새로운 감독이 부임한다. 이 부임한 감독이 바로 [[허정무|허카우터]]. 허정무는 수비수였던 김도근을 설득해 측면 공격수로 활약하게 만들었다. 1999년에 [[웨스트 햄 유나이티드]] 입단 테스트 제의를 받고 [[최용수]] 같이 런던행 비행기에 탑승했으나 낚시였다(...) 김도근의 말에 따르면 영국으로 가서 계약서에 싸인만 하면 된다고 해서 갔는데, 1주일 정도 훈련을 하고 돌아왔다고 한다. 당시 시즌 중이라 1군 선수들은 경기를 뛰러 가고 나머지 잔류군과 같이 훈련을 했었다. 그렇게 10골을 집어넣고, 아디다스 컵에선 중반기까지 득점 1위를 하는 등 맹활약했는데, 한양대 후배인 [[이원식]]과 함께 [[http://news.joins.com/article/603478|대한화재 컵 득점왕 경쟁]]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 당시 [[최문식]]과의 콤비 플레이가 빛을 발하던 때였다. [[김봉길]]과 [[노상래]]와의 호흡이 굉장한 시너지를 만들어 내었고, 대한화재컵은 [[부천 SK]]에 내주며 준우승을, 골은 5골을 기록했지만, [[이원식]]에게 득점왕을 내주며 2등을 기록했다. ~~[[콩라인]]~~ === [[J리그]] === [[전남 드래곤즈]]에서의 활약을 보던 [[베르디 가와사키]][* 그리고 [[조선적]] 선수인 [[량규사]]와 한솥밥을 먹는다.]에서 이적 문의를 해 왔다. 사실 베르디 가와사키 말고 [[세레소 오사카]]와 이미 이적 논의가 되어있는데, 무슨 일인지 바로 [[오사카]]로 가기 힘들어서 베르디로 이적했다. 당시, 베르디에는 재일교포인 이국수 총감독과 [[장외룡]] 감독, [[김현석(축구)|김현석]]이 있어서 적응에 큰 어려움이 없었다. 스타일도 다르고 선수들과의 호흡에도 문제가 있었지만 주전으로서 활약했다. [[김현석(축구)|김현석]]이 공격을 주도하고, 김도근이 가운데에서 공격을 막으면서 볼을 배급해주었다. 그리고 이 당시에 [[량규사]]도 [[베르디 가와사키]]에서 데뷔했다. 2000년 후반기에 베르디로 가서 6개월을 뛰고 당초에 가려고 했던 세레소 오사카로 갔다. [[세레소 오사카]] 시절 한솥밥을 먹은 선수들이 [[윤정환]]과 [[노정윤]]이다. 2001년 전반기를 소화했는데 성적이 잘 나오지 않았다. 그래서 당시 [[세레소 오사카]] 감독이 외국인 선수를 교체해달라고 요청[* 일본은 성적이 나쁘면 감독이 아니라 외국인 선수를 먼저 교체하는 경향이 있다고 김도근이 인터뷰에서 언급했다.]을 했었고 2001년 7월, [[노정윤]]과 김도근과 재계약하지 않기로 구단이 정함에 따라 [[전남 드래곤즈]]로 돌아오게 된다. === [[전남 드래곤즈]] 2기 === 일본으로 이적한 당시 완전 이적으로 갔었던 터라 아무 팀이든 마음대로 입단할 수 있었다. 당시 [[부산 아이콘스]]의 사령탑이던 [[김호곤]] 감독을 비롯해 몇몇 구단에서 제의가 왔었고 [[전남 드래곤즈]] 보다 더 높은 연봉을 제시했지만, 김도근은 당시 전남 감독이던 [[이회택]] 감독과의 인연과 전남 팬들의 사랑에 보답하고자 결국 몇 천 만원 손해 보더라도 전남으로 갔다. 하지만, 시즌 시작하고 얼마 되지 않아 [[전북 현대]] 전에서 아킬레스건이 끊어졌다. 1년여에 걸쳐 재활을 해서 2005년에 다시 복귀했다. 당시 김도근은 2002년에 3년 재계약을 했으니 2005년에 끝나는 계약을 했고, 김도근은 2년 정도 전남에서 더 뛰다가 은퇴할 계획이었다. 창단멤버로서 끝까지 뛴 다음에 은퇴하고 그 팀에서 지도자 생활을 하는 것이 목표였지만, 전남 프론트의 생각은 달랐고 마침 [[수원 삼성]]의 [[차범근]]이 김도근에게 이적 제안을 하면서 현역 연장을 원하던 김도근은 이적하게 되었다.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클럽 월드컵]]을 노린 수원이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505251814021&code=980201|영입한 2명의 선수 중 한 명]]이다. [[차범근]] 감독과는 [[1998년 프랑스 월드컵]]에서 이미 감독과 선수로 만난 적이 있던 점이 작용한 듯. 하지만 당시 수원은 여러 선수들 손정탁, [[송종국]], [[마토]], [[김남일]] 등 다양한 선수들을 영입해 조직력이 약해져 있었고, 스타 플레이어들이 있다보니 팀워크가 약했다. 결국 수원은 10위라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게 된다. 김도근은 수원에서 그런 선수들을 잡아주는 리더십을 발휘하길 원했던 것 같지만, 김도근 역시 수원에선 이적생이라서 큰 힘을 발휘할 순 없었다. === [[경남 FC]] === 한편 [[경남 FC]]가 창단하면서 [[박항서]] 감독은 팀을 이끌 수 있는 경험 많은 선수를 원했다. 경남으로 이적한 김도근은 창단 첫 해에 주장을 하면서 경험 많은 선배로서 후배들을 이끌어주는 역할을 했다. 대학을 갓 졸업한 선수들 실업에서 온 선수들, 프로 경험이 없는 선수들을 이끌어가는 역할을 박항서는 주문했고 김도근은 묵묵히 수행했다. 경남에서도 김도근은 여러 포지션에서 경기를 수행했다. 본인은 나이를 들면서 경기를 보는 눈이 좋아졌다고 한다. ~~어, 혹시 [[라이언 긱스|이분]][* "몸은 느려지는데 머리는 더욱 빨라진다."라는 명언을 남겼다. 완숙해지면서 볼 수 있는게 늘어나고, 수행하는 역할이 늘어난다는 것이다.]인가?~~ 그렇게, 김도근은 K리그에서 통산 241경기에 출장해 34골-24도움을 남기고 그렇게, 현역에서 은퇴했다. === 국가대표 경력 === 연령별 대표팀은 거치지 않았고,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대표팀에 뽑힌 것이 처음이었다. 이 당시 [[정용환]]을 보고 그의 몸관리 비법[* 술과 담배는 일절 하지 않고, 쉬는 시간엔 다음 경기를 위한 휴식을 취했다고 한다.]을 배웠다고 한다. 그리고 처음 올림픽 대표팀에 뽑혔을 당시에 막내 라인[* 이 당시 멤버가 [[노정윤]], [[서정원]], [[신태용]] 등이 있었고 막내에는 김도근과 [[곽경근]]이 있었다. 가장 막내가 바로 [[이운재]].]이었다. [[모로코]], [[파라과이]], [[스웨덴]]과 한 조였는데, 당시 국내 여론은 해 볼만하다였지만, 세계의 벽은 높았고, 결국 3무로 탈락하게 되었다. 1993년도엔 [[김호]] 감독의 부름으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캐나다]]로 갔다. 이 당시 [[센터백]]으로 뽑혔다. 하지만 경기를 뛰지 못했다. 이후 한동안 대표팀에 부름을 받지 못하다가 [[차범근]] 감독이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예선을 앞두고 차출했다. 대전에서 열렸던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홍콩]]을 상대로 A매치 데뷔전을 치른다. 이색적인 기록이 있는데 1997년 당시 한국 선수로써는 처음으로 공식 A매치에서 [[카나리아 군단]]을 상대로 골을 넣은 적이 있다. [[파일:98frecnhworldcup.jpg]] 그리고 [[1998년 프랑스 월드컵]]의 최종 명단에 포함되었고, [[프랑스]]로 가게 되었다.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멕시코]]와의 경기에서 [[하석주]]의 퇴장을 커버했다.[[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와의 경기에도 출전했는데, 중앙에서 김도근과 마주한 선수가 바로 [[에드가 다비즈]]였다. 그리고 경기는 0:5로 처참하게 패배했다.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에 와의 경기에도 출전해서 팀은 벨기에를 1:1 무승부 탈락시켰고, 김도근은 98년 월드컵 3경기에 모두 출전하는 기염을 토했다. 2002년 [[CONCACAF 골드컵]] 골드컵에도 출전 경험이 있다. [[히딩크]] 감독이 이끌고 있었는데 [[2002 한일 월드컵]]의 시험 같은 대회였고, 4강에 진출하는데 일조했다. 하지만 문제는 그 이후에 발생했다. 김도근은 당시에 경기에 내보내지를 않기에 [[히딩크]]에게 면담 요청을 했었다. 그랬더니 히딩크가 혼쾌히 받아들이면서 한국 선수는 시키는 대로만 하는 줄 알았다며 고맙다는 말도 했었다. 그래서 김도근은 "게임을 뛰고 싶은데 왜 기용을 안해주느냐?”는 요지의 이야기를 했고 히딩크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한국에 돌아오고 나서 다음 소집명단에서부터 김도근은 제외되었고, 결국 월드컵 출전도 무산되었다. 그렇게 한참을 대표팀에 뽑히지 못하다가 [[코엘류]] 감독 시절에 잠시 대표팀에 뽑혔고 이후로는 대표팀과는 인연이 없었다.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kUQgdnpXwYM)] 데뷔 당시엔 [[센터백]]이지만, 공격을 풀어나갈 수 있는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는 평을 받았다. 그 재능을 인정받아 [[정용환]]과 [[홍명보]]가 이름을 올리고 있는 국가대표팀에 [[김호]]가 불러들였다. [[전남 드래곤즈]]에 입단하면서 측면 공격수로 전향했는데, [[허정무]]의 조언에 따른 것이었다. 그러면서 수비수 뿐만 아니라, 미드필더, 인사이드 포워드를 소화하는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거듭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런 점이 평가절하 당하기도 했다. 학창시절부터 프로에서까지 포지션 이곳 저곳을 누비던 김도근은 그저 땜빵용 선수라던 비난을 받은 적도 있었지만, 김도근은 좋은 의미의 [[유틸리티 플레이어(축구)|유틸리티 플레이어]]로 인정받은 것이라며 웃어넘겼다. 결론을 보면 [[유상철]]과 비슷한 의미의 유틸리티 플레이어지만, [[유상철]]이 어떤 포지션에도 평균 이상, 완숙으로 국가대표팀에서 뽑혔다면, 김도근은 [[K리그]]에서 먹힐 수 있는 수준급 유틸리티 플레이어였다는 의미다. 유상철이 오프더볼과 강한 피지컬, 체력 등을 바탕으로 중원을 누볐다면 김도근은 조금 더 온더볼에 치중한 플레이를 보였다. 다양한 포지션을 맡을 수 있는 전술이해도에 센터백 출신다운 좋은 경합능력으로 준수한 탈압박과 수비를 보여주었다. 측면과 중앙을 가리지 않고 드리블로 선수 한 두명은 제낄 수 있는 발재간도 갖추었고 무엇보다도 최고의 강점은 킥력으로, 환상적인 발리슛도 심심치 않게 나왔으며 롱패스나 스루패스에도 능한 선수였다. == 지도자 경력 == 은퇴 직후 한양대학교에서 코치를 시작했다. 대학 선수들에게 프로 의식을 심어주는 교육을 위주로 코칭했다고 한다. 한양대 코치를 하면서 AFC 2급 자격증을 취득했다. 전남 드래곤즈에서 유소년 부터 프로까지 차근차근 코치 경험을 쌓았다가, 2015년 [[상주 상무]] 코치로 자리를 옮겼다. 2015년 12월, [[김종부]] 감독의 부름으로 [[경남 FC]]의 코치로 부임했다. 2016년 중국 4부리그 신생팀인 허페이 크라운 FC [[http://www.sohu.com/a/117308844_500003|감독으로서 억대 연봉을 받고 부임]]하나, 을급리그 승격에 실패하고 감독자리에서 물러났다.[* 구단은 17시즌 준우승으로 을급리그(3부)로 승격하나 재정문제로 2018년 해체한다.] 2017년 중국 유소년 축구단인 하이먼 코디안 감독으로 부임하며 중국 풀뿌리 축구에 기여했는데, 이 클럽은 장쑤 중난 코디안 FC로 구단 명칭을 변경하였고, 2019년 성인팀도 창단하며 4부리그 진입을 준비하고 있었다고 한다.[[http://www.jstsxz.com/2020-06/11/c_1126102460.htm|#]] [[https://www.dongqiudi.com/news/968387.html|#]][* 중난 코디안 FC의 연령별, 성인팀에 소속된 선수는 300여명에 이르며 왠만한 프로산하 유스보다 많다.] 2021년 [[김종부]] 감독을 따라 [[허베이 FC]] 수석 코치로 부임하였다. 그러다가 허베이의 재정상황 악화로 팀 해체 가능성이 높아지자, 2022년 [[K3리그]]에 고향 팀인 [[강릉시민축구단]] 감독으로 부임했다. 2022년 11월 7일, [[대한축구협회]] P급 지도자 강습회 수강생으로 선발되었다. [[https://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2211080100049540006341&servicedate=20221107|#]] == 기타 == * 현재 자녀와 아내는 전라남도 [[광양시]]에 거주중인 [[기러기 아빠]]다. * 무릎 부상을 고질적으로 앓고 있었다. * [[전남 드래곤즈]]와 [[경남 FC]]의 창단 멤버이다. * 처음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을 때, 룸메이트가 무려 [[정용환]]이었다고 한다. 너무 많은 나이 차이에 김도근이 정용환을 부른 호칭은 [[삼촌]]이었다. * 한일 축구 레전드 교류전에 선수로 뽑히기도 하였다. 이때 같이 뽑힌 선수들은 [[서정원]], [[이천수]]등 내로라 하던 선수들과 함께였다. * 은퇴 후 광양제철고 코치로 부임했는데, [[전남 드래곤즈]] 사무실로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8/31/2008083100125.html|김도근의 출전이 언제인지 묻는 전화]]가 여럿 왔다고 한다. 이래저래 전남의 레전드로 남은 듯. * 권위의식 없이, 현장에서 뛰는 지도자가 되고 싶다고 한다. * 전남 선수 시절 골 세레모니는 '''관중석 철망에 매달려 울부짖기'''였다. * 2023년 [[강원 FC]] 홍보대사로 임명되었는데, 강원도와 고향 팀의 발전을 위해 이번 제안을 흔쾌히 받아들였고, 강원 FC와 함께 구단 홍보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칠 예정이라고 한다.[[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5502500&memberNo=33403345&vType=VERTICAL|#]]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도근, version=16)] [[분류:1972년 출생]][[분류:강릉시 출신 인물]][[분류:강릉제일고등학교 출신]][[분류:한양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미드필더]][[분류:공격수]][[분류:수비수]][[분류:유틸리티 플레이어(축구)]][[분류:대한민국의 축구감독]][[분류:전남 드래곤즈/은퇴, 이적]][[분류:가와사키 프론탈레/은퇴, 이적]][[분류:세레소 오사카/은퇴, 이적]][[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은퇴, 이적]][[분류:경남 FC/은퇴, 이적]][[분류:전남 드래곤즈/역대 주장]][[분류:경남 FC/역대 주장]][[분류:강릉시민축구단/역대 감독]][[분류:대한민국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참가 선수]][[분류:2002 CONCACAF 골드컵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