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김기훈(야구선수))] [목차] [clearfix] == 개요 == [[KIA 타이거즈]] 소속 좌완 투수 [[김기훈(야구선수)|김기훈]]의 선수 경력을 정리한 문서. == [[/아마추어 시절|아마추어 시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기훈(야구선수)/선수 경력/아마추어 시절)] == [[KIA 타이거즈]] == === [[김기훈(야구선수)/선수 경력/2019년|2019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기훈(야구선수)/선수 경력/2019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99571_370431_2933.jpg|width=100%]]}}} || || '''[[/2019년|{{{#white 김기훈/선수 경력/2019년}}}]]''' || === [[/2020년|2020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기훈(야구선수)/선수 경력/2020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00927103832.1a8-33178f54769e.jpg|width=100%]]}}} || || '''[[/2020년|{{{#white 김기훈/선수 경력/2020년}}}]]''' || === [[상무 피닉스 야구단]] === ==== 2021 시즌 ==== 결국 고질적인 제구 불안을 고치기 위해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에 지원했다고 한다. [[홍종표]], [[한준수]], [[이인한]]도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 최종 합격해 2021년 3월 22일에 [[홍종표]]와 함께 입대했다. 4월 11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8회초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1볼넷 1K 무실점을 기록했다. 5월 2일, [[NC 다이노스]]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4회초에 등판해 2이닝 3피안타(1피홈런) 1볼넷 1실점을 기록했고 승리 투수가 되었다. 5월 13일, [[두산 베어스]]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 선발 등판해 3이닝 2볼넷 1사구 3K 무실점을 기록했다. 6월 6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 선발 등판해 4이닝 2피안타 3볼넷 2K 2실점(1자책)을 기록했다. 6월 24일, [[고양 히어로즈]]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 선발 등판해 4⅓이닝 7피안타 4볼넷 5K 3실점(2자책)을 기록했다. 7월 1일, [[NC 다이노스]]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 선발 등판해 4⅔이닝 6피안타(1피홈런) 2볼넷 5K 4실점을 기록했고 패전 투수가 되었다. 7월 23일, [[2020 도쿄 올림픽/야구|2020 도쿄 올림픽]] [[김경문호/2021년/평가전|국가대표 평가전]]에서 선발 투수 [[박윤철]]의 뒤를 이어 두번째 투수로 등판했다. 2⅔이닝 2피안타 3볼넷 1K 무실점으로 좋은 결과를 보인 듯 하지만 여전한 제구 불안으로 내용 자체는 좋지 못 했다. 그래도 위기 때마다 삼진 및 범타 유도 능력을 발휘하면서 무실점으로 이닝을 끝내는 등 긍정적인 점들을 보여줬다. 8월 11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 선발 등판해 4이닝 4피안타(1피홈런) 3볼넷 2K 4실점을 기록했고 패전 투수가 되었다. 8월 18일, [[NC 다이노스]]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 선발 등판해 5⅓이닝 3피안타 6볼넷 6K 1실점(비차잭)을 기록했고 승리 투수가 되었다. 다만 볼넷을 6개나 내주면서 제구 면에서 고전하는 모습을 보였고 그로 인해 투구수는 무려 108구에 달했다.[* 108구 중 볼을 46구를 던졌다.] 9월 10일, [[kt wiz|KT 위즈]]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 선발 등판해 3⅓이닝 4피안타 5볼넷 2K 4실점(3자책)을 기록했다. 안타 4개와 볼넷 5개를 내주며 여전히 제구로 고전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줬다. 스트라이크는 73구 중 38구에 불과했다. 9월 18일, [[kt wiz|KT 위즈]]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 선발 등판해 5이닝 2피안타 4볼넷 6K 2실점을 기록했고 승리 투수가 되었다. 9월 25일, [[LG 트윈스]]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 선발 등판해 5이닝 7피안타(1피홈런) 4볼넷 3K 4실점을 기록했고 승리 투수가 되었다. 10월 7일, [[두산 베어스]]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 선발 등판해 5이닝 5피안타(1피홈런) 1볼넷 6K 2실점을 기록했다. 이번 시즌 퓨처스 리그에서는 13경기에 나와 4승 2패를 기록하면서 4.15의 평균 자책점을 기록했다. 하지만 삼진 44개를 잡는 동안 39개의 4사구를 내주며 여전히 제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구는 여전히 나쁜데 구속 역시 느리다보니 팬들은 진지하게 타자 전향이 낫지 않냐는 의견이 나오고 있었다. '''최종 성적은 13경기(11선발) 52이닝 4승 2패 ERA 4.15 39사사구 44K WHIP 1.67''' ==== 2022 시즌 ==== 4월 10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 선발 등판해 5이닝 2피안타 7K 무실점을 기록했고 승리 투수가 되었다. 4월 17일, [[kt wiz|KT 위즈]]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 선발 등판해 5이닝 4피안타(1피홈런) 5K 1실점을 기록했다. 5월 3일, [[kt wiz|KT 위즈]]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 선발 등판해 6이닝 2피안타 2볼넷 8K 무실점을 기록했고 승리 투수가 되었다. 5월 10일, [[NC 다이노스]]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 선발 등판해 6이닝 3피안타 1볼넷 1사구 10K 1실점을 기록했고 패전 투수가 되었다. 5월 24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 선발 등판해 5⅓이닝 5피안타 3볼넷 5K 3실점을 기록했고 승리 투수가 되었다. 5월 31일, [[KIA 타이거즈]]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 선발 등판해 5이닝 3피안타 4볼넷 2사구 3K 1실점을 기록했고 승리 투수가 되었다. 6월 10일, [[kt wiz|KT 위즈]]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 선발 등판해 6이닝 5피안타 2볼넷 6K 1실점을 기록했다. 6월 22일, [[두산 베어스]]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 선발 등판해 6이닝 6피안타 1볼넷 7K 3실점을 기록했고 승리 투수가 되었다. 7월 1일, [[NC 다이노스]]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 선발 등판해 5이닝 6피안타 2볼넷 4K 3실점을 기록했다. 7월 9일, [[kt wiz|KT 위즈]]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 선발 등판해 7이닝 1피안타 4볼넷 1사구 8K 무실점을 기록했다. 선발 투수로 등판하면서 전반기까지 10경기 56⅓이닝 5승 1패 ERA 2.08 WHIP 0.99를 기록했다. 소화 이닝보다 많은 63개의 탈삼진, 그리고 소화 이닝의 절반보다도 적은 23개의 4사구를 기록한 부분이 고무적. [[KBO 퓨처스 올스타전]]에서 3이닝 4K 퍼펙트를 기록하며 팬들의 기대를 한껏 모으고 있다. 우수 투수상을 수상한 것은 덤. 최고 구속은 149km/h를 기록했다.[* [[박희수]]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 피닉스]] 투수코치와 함께 투구 매커니즘과 밸런스를 잡아갔던 것이 투구 개선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터뷰에서 본인이 직접 밝혔다.] 전역 다음날인 9월 22일, 정식선수 전환 및 1군 콜업 예정이다. 7월 22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 선발 등판해 6이닝 3피안타 5K 무실점을 기록했다. 8월 5일, [[두산 베어스]]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 선발 등판해 5이닝 5피안타(2피홈런) 3볼넷 1사구 3K 7실점을 기록했다. 8월 12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 선발 등판해 5이닝 8피안타 3볼넷 7K 4실점(3자책)을 기록했다. 8월 24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 선발 등판해 5이닝 6피안타 1볼넷 7K 1실점을 기록했다. 9월 7일, [[kt wiz|KT 위즈]]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 DH 1차전에 선발 등판해 6이닝 1피안타 4볼넷 7K 무실점을 기록헸고 승리 투수가 되었다. 9월 16일, [[LG 트윈스]]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 선발 등판해 2이닝 4피안타 1볼넷 2K 4실점을 기록했고 패전 투수가 되었다. '''최종 성적은 16경기(16선발) 85⅓이닝 6승 2패 ERA 2.95 36사사구 94K WHIP 1.11''' === [[/2022년|2022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기훈(야구선수)/선수 경력/2022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86fec9aece6f06cce721f3ad27987f31b6ca58bcbf3589006ed1c9371d80da6.jpg|width=100%]]}}} || || '''[[/2022년|{{{#white 김기훈/선수 경력/2022년}}}]]''' || === [[/2023년|2023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기훈(야구선수)/선수 경력/2023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425519826.jpg|width=100%]]}}} || || '''[[/2023년|{{{#white 김기훈/선수 경력/2023년}}}]]'''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경력 == ===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2017|2017 WBSC U-18 야구 월드컵]] === [[http://www.wbsc.org/ko/tournaments/2017-u18-baseball-world-cup/stats/player-stats/19703/|대회 최종 성적]] [[WBSC U-18 야구 월드컵]]에 경남고 [[서준원]]과 함께 유이하게 2학년임에도 불구하고 장래성과 실력이 뛰어난 선수로 인정을 받으며 국가대표에 발탁되었다. 하지만 부담감 때문인지 생각보다 구속도 올라오지 않아서 3경기에 나와서 최고구속 85마일(136km/h)에 그치며 승패 없이 4이닝 4피안타 2볼넷 4K 6.75의 평균 자책점을 보여주며 부진했다. ===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2018|제12회 아시아청소년야구선수권대회]] === 2년마다 열리는 아시아청소년야구선수권대회는 2018년에는 9월 3일부터 10일까지 [[미야자키]]에서 열렸다. [[2018년]] [[6월 25일]], 1차 지명이 발표된 후에 선수단이 최종 발표되어 [[서준원]]과 함께 2017 WBSC U-18 야구 월드컵에 이어 2년 연속 국가대표 유니폼을 입게 됐다. 김기훈은 저번 대회에서 부진했으니, 이번 대회에서는 무조건 잘 던지겠다는 소감을 밝혔다. 9월 5일, 일본전에 선발 등판해 5이닝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승리 투수가 되었다. 최고 구속 143km/h로 청룡기에 비해 구속은 감소했으나, 좌우 코너로 꽂히는 예리한 속구와 각이 큰 슬라이더와 간간히 체인지업을 던져가며 일본 타선을 2안타로 꽁꽁 묶으며 최고의 피칭을 보여줬다. 실점 위기에서도 장점인 위기관리 능력을 돋보이며 무실점으로 호투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청대 김기훈 마지막 아웃카운트.gif|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청대 우승.gif|width=100%]]}}} || 9월 11일, 대만과의 결승전에서 3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장했으나 5타수 무안타 1타점 (1희생타)에 그쳤다. 8회에는 [[우익수]]로 출전하여 2루수 [[윤수녕]]의 플라이 실책 때 재빠른 2루 송구로 1루 주자를 보살시키는 좋은 모습도 보여주었다. 9회 1사 이후에는 급하게 마운드에 등판하여 몸이 덜 풀린 듯 볼넷과 내야실책을 내주며 주자 1, 2루의 위기를 맞았으나, 위기관리능력을 발휘하여 삼진으로 이닝을 마무리했다. 연장 10회말 승부치기에서는 타자가 친 강습타구에 왼쪽 쇄골을 맞았으나, 다행히 큰 부상 없이 2실점(비자책)하며 삼진으로 경기를 마무리 지었고 우승에 기여하였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기훈(야구선수), version=602, paragraph=2, title2=김기훈(야구선수), version2=625)] [[분류:김기훈(야구선수)/선수 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