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BC의 성우)] ||<-2>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39423b 20%, #3a2614)" {{{#ffffff '''[[MBC 성우극회|{{{#ffffff MBC 성우극회}}}]] 4기 성우'''[br]{{{#ffffff '''{{{+1 김기현}}}'''[br]'''金基賢 | Kim Ki-hyu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성우김기현.jpg|width=100%]]}}} || ||<|2> '''출생''' ||[[1945년]] [[6월 24일]][* 음력 [[5월 15일]].] ([age(1945-06-24)]세)|| ||[[충청북도]] [[옥천군]]||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1948~)|| || '''신체''' ||181cm, [[A형]]|| || '''가족''' ||배우자 손영화^^(1953년생)^^, 슬하 2녀, 형 2명, 여동생 1명|| || '''학력''' ||[[중앙대학교]] 문과대학 {{{-2 (철학 / 학사)}}}|| || '''종교''' ||[[천주교]][* 자신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에서 주로 성경낭독하는 영상을 올리고 있다.]|| ||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육군훈련소]]에서 [[조교]]로 복무했었다고 한다.]|| || '''소속''' ||[[MBC 성우극회]] 4기 ([[프리랜서]]) || || '''활동 시기''' ||연극 배우: [[1965년]] ~ 현재[br]전속: [[1970년]] ~ [[1972년]][br]프리랜서: [[1973년]] ~ 현재 || || '''별명''' ||장포스 || || '''링크''' ||[[https://youtube.com/@pleasemr.kihyun?feature=share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부탁해요 기현씨]]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기현 성우 젊은 시절.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기현 성우 중년 시절.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66.tinypic.com/34qjjlz.jpg|width=100%]]}}}|| || '''1970년대 젊은 시절''' || '''1990년대 당시 증명사진''' || '''2015년,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ffffff 공허의 유산}}}]] 인터뷰 당시''' || 대한민국의 원로 성우이자 배우.[* 그래서인지 [[위키백과]]에서는 성우 겸 실사 배우 경력을 다 합했다. 장태완 소장 역할 때문인지 배우라고만 알고 있는 사람들도 있는데, 본업은 성우고 배우도 겸한 것이다. [[머털도사]]의 왕질악 도사 역 외 다수 역할을 맡은 바가 있다. 본인도 [[디시인사이드]] 뉴스 인터뷰에서 직접 말하였고, [[뉴타입]]에서도 비슷한 인터뷰를 한 적이 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BU2arPFh5_c&t=53|근황올림픽에서 자신의 본업은 성우라고 확실히 못 박았다.]]] [[1965년]]에 연극 배우로 활동하다가 [[1970년]] [[MBC 성우극회]] 4기로 입사했으며 1973년부터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 [[박일(1946)|박일]], [[한상혁(성우)|한상혁]], [[송도영]], [[윤지하]], [[이규연(성우)|이규연]], [[강성욱(성우)|강성욱]], [[서영애]], [[최방란]], [[한영숙(성우)|한영숙]]과 동기이다. 동기들 중 최연장자로 현재 [age(1945-06-24)]세이다. == 생애 == [[충청북도]] [[옥천군]]에서 태어나 [[대전광역시]][* 당시 기준 충청남도 [[대덕군]].]에서 자랐다. 당시에는 꽤 늦은 나이인 32살에 결혼을 했으며[* 1945년생 남성의 평균 초혼연령은 만 26세였다. 지금의 초혼 연령을 대입하면 40세에 결혼한 것과 같은 수준이다.], 부인은 손영화다. 1953년생으로 김기현보다 8세나 어리다. 젊었을 적, 신혼 시절에는 가진 재산과 은행 대출금으로 방 3개짜리 신혼집을 샀지만 빚을 갚기 위해 방 2칸을 세를 내줘야했을 정도로 가난하게 살았다. 사실 결혼하기 전에는 상당히 많은 돈을 모아두었지만, 연애할 때 데이트 비용으로 돈이 하도 많이 나가서 경제적으로 어려워질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http://tv.ichannela.com/enter/queen/news/3/02/20150108/68977574/1|#]] [youtube(kuGpaZ_-VmQ)] 김기현 성우 본인이 회고하는 젊은 시절. == 방송 활동 == 애니메이션 팬들에게는 [[은하철도 999(TVA)|은하철도 999]]의 [[차장(은하철도 999)|차장]]이나[* 같은 작품에서 안타레스라는 정의로운 산적 캐릭터를 맡기도 했다.] 투니버스판 [[카우보이 비밥]]의 [[제트 블랙]], [[쿵푸팬더]] 시리즈의 [[시푸]]역으로 잘 알려져 있고, 일반인들에게는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에서 [[장태완]] [[소장(계급)|소장]] 역을 열연하며 반란군에게 일갈한 장면 덕에 '[[장포스]]'로 알려져 있다. 사실 모든 공화국 시리즈에 다 출연했다. 개근상을 받아도 될 정도로 여러 번 나왔었고 제5공화국에 이르러 포텐이 제대로 터져 인터넷에서도 길이 남을 "야 이 반란군 놈의 새끼야"를 남겼다. 게다가, 젊은 시절 [[논산]] [[육군훈련소]]에서 [[조교(군대)|조교]]로 복무한 경력이 있었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군인 연기가 더욱 몰입감이 있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명대사로 인해 본좌 중 한 명으로 칭송받는다. [[스타크래프트 2]] 이후로는 [[제라툴]] 역으로도 열연했으며, 이후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에 [[제라툴(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제라툴]]의 목소리도 담당했는데 여기서 그 유명한 [[장포스]]의 대사를 [[https://www.youtube.com/watch?v=1hqHqJcB4Ew|패러디한 대사가 나온다!]] 그리고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에서 제라툴 역을 다시 맡았다. 2023년 기준으로 70대 후반 연령에 들어섰지만 여전히 현역이다. 현역 성우인 [[정기항]], [[황일청]], [[유강진]], [[온영삼]] 다음으로 연장이고, 성우 겸 배우라서 드라마나 영화에도 나온다. 강렬하고 중후하고 위엄과 간지가 철철 넘치는 목소리가 포인트인 원로 성우로 [[성덕후|성덕]]들은 물론 성우를 잘 모르는 일반인들에게도 매우 잘 알려진, 한국 성우 중 가장 유명한 사람 가운데 한 사람이다. [[장태완]] 역으로 워낙 유명해서 나무위키에 김기현이 연기한 캐릭터나 대중 매체가 등재되면 대부분 저 대사가 항목에 맞게 패러디되어 쓰여있다. [youtube(EKVUw4Z9G_0)] >꼬마들: [[아몬드 봉봉]]이요! >남자 1: [[초콜릿]]! >여고생: [[체리 쥬빌레]]요. >남자 2: [[민트 초콜릿 칩]]. >여자 1: [[자모카 아몬드 훠지]]. >남자 3: [[월넛]]. >할머니: [[바닐라]]. >남자 4: [[쿠키 앤 크림]]. >아줌마: 월드클래스 초콜릿. >여자 2: 블루베리 치즈케잌. >남자 5: 저스트 피치(?). >여자 3: [[피스타치오 아몬드]]. >군인: 매드 어바웃 초콜릿. >남자 6: [[베리베리 스트로베리]]. >소녀: [[초콜릿 무스]] 주세요. >[[김승준(성우)|종업원]]: (약 2초 간 정적 후) 고르셨어요? >김기현: (조금 뜸들이고) '''배스킨라빈스, 삼십일!''' >(골라먹는 재미가 있다.) >손님들: [[폭소|으아아하하하!!!]] >로고: 배스킨라빈스 31(Thirty one) >김기현: 맞잖아, 삼십일! >손님들: 으아아악!!! >김기현: 삼십일! 1997년 [[배스킨라빈스 31]] CF 출연은 그의 대중적 인지도를 급상승시킨 계기가 되었다. 당시 CF가 방영되고 나서, 저 기품과 위엄이 넘치는 중저음 톤으로 'thirty one'을 '삼십일'이라고 읊은 것이 폭발적인 인기를 얻으며 '''"삼십일을 외친 저 아저씨는 대체 누구냐?"'''며 대중들의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하는 등 연예계 쪽에서도 상당히 화제가 많이 되었다.[* 사실 중장년층에서는 영문+숫자로 이루어진 상표명을 입에 담을 때 숫자 부분은 한국어로 읽는 경우가 흔하다. [[3D|삼D]]라던가. CF 방영 당시에도 이런 현상이 젊은 층에서 알음알음 우스갯소리로 소비되었지만, 아예 이 컨셉을 전면으로 내세운 것은 이 CF가 사실상 처음이라서 충격과 신선함이 컸던 모양이다.] 지금처럼 [[인터넷]]이 대중적으로 보급되기도 전이었던 그 시절에 이 정도로 대중적인 인기몰이를 했다는 것을 생각하면 더욱 대단하다. 김기현의 이름을 모르는 사람이라도 '''광고에서 베스킨라빈스 삼십일을 외친 아저씨'''라면 단번에 알 정도로 대중들에게 엄청난 임팩트를 안겼던 레전드 CF였다. 김기현은 이 CF 덕에 그 해 '''1997년 대한민국 광고대상 시상식'''에서 '''모델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얼굴 없는 연기자로 일컬어지는 성우가 직접 모습을 드러낸 연기로 상을 받는 것은 당시나 지금이나 정말 이례적인 경우다. 또 원래 이 CF의 마지막 대사는 "골라먹는 재미가 있다" 였는데, 본인이 좀 아닌 것 같다 하여 새벽 두 시까지 고민하다가 결국 떠올린, 아이스크림 통을 들고 "맞잖아, 삼십일."이라고 말하는 식으로 변경되었다고 [[디시인사이드|디시뉴스]]에서 본인이 밝혔다. 인기에 힙입어 다음 차기 광고에선 [[이인혜]] 와 함께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leeleeppa&logNo=191196915&jumpingVid=61A8DD68731B2DE27B7247AE455B332A5366|배스킨라빈스 아이스크림 케이크 광고를 한 번 더 찍었고]] 또 그 다음 광고에서는 스크루지로 나와서 [[http://www.adic.co.kr/ads/list/showNaverTvAd.do?ukey=64736|탭댄스를 선보이기도 했다.]] 한때 [[MBC]]에서 연예인 두뇌 서바이벌 예능 프로그램인 [[브레인 서바이버]]의 내레이터이자 참가자로 출연한 적이 있다. 그런 투잡을 즐기고 있었는지 그는 탈락자와 진출자 발표 때 '나는 탈락해도 이렇게 계속 출연하지롱!'이라고 장난으로 약올린 적이 있었다. 사실 성우 경력으로만 따지면 예능 출연을 이 때만 한 건 아닌데, 1980년대 중반 [[일밤|일요일밤의 대행진]] 때는 단순 나레이션을 넘어서서 김기현의 목소리가 아예 극을 이끌어가는 경우도 있었다. 대표적인 코너가 "최후의 심판"으로, 그 우렁차고 굵은 목소리로 마치 신이 심판하듯 대사를 연기하면 그 목소리만 듣고 악인들이 단죄를 받는 모습이 연출되었다. MBC판 [[건담 0083]]의 [[에이퍼 시냅스]] [[함장]], [[은하철도 999(TVA)|은하철도 999]]의 차장 등을 연기했으며 여전히 성우로도 활동하고 있어서 투니버스판 '[[기동무투전 G건담]]'의 [[마스터 아시아|동방불패]] 역도 맡았다. 또 의외로 바보 같은 남자 캐릭터 역할에도 잘 어울리며 영화 음란서생에서는 파격적인 개그 연기를 하기도 했다. 그 음성은 [[생생 정보통]]의 내레이션을 할 때도 잘 써먹는다. 그걸 들으면 으잉?할 정도로 재미있다. 왠지 모르게 [[크리스토퍼 리]]와 닮은 게 포인트. 큰 키, 기다란 얼굴형, 압도적인 발성, 검은 눈썹, 공포영화에 어울릴 듯한 인상은 한국판 크리스토퍼 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로 MBC 영화 더빙 당시 크리스토퍼 리 전문 배우였다. 피터 쿠싱과 함께 나온 드라큐라 시리즈는 물론이고 [[스티븐 스필버그]]의 [[1941]], [[그렘린]] 2에서 크리스토퍼 리 역을 맡았다. 2003년도 MBC 코미디 프로그램 [[코미디하우스]]에서 [[전원주]]와 함께 각각 [[사루만]]과 [[김리]]로 코스프레 한 적도 있고[* 그 즈음, 역시 같은 프로에서 [[간달프]]를 코스프레하고 꽁트 연기를 한 적도 있다. 더불어 해당 회차는 [[조혜련]]이 [[골룸]] 연기로 한반도를 [[충공깽]]에 빠뜨렸던 바로 그 회분이다.] [[모여라 꿈동산]]에서 딸의 목숨을 위해 악마에게 영혼을 판 드라큐라 역으로 눈물 없이는 못 볼 연기를 펼쳤다. 2001년에는 같은 극회 선배인 이영달의 죽음[* 1941~2001. 폐암으로 별세. [[브루노 J. 글로벌]]이라든지 [[탄게 단페이]]의 성우로 알려져 있다. 살아 생전 자선봉사도 무척 많이 하셔서 저소득층을 돕는 라디오 방송이니 무수한 방송 내레이션을 무상으로 도왔는데 이 분이 별세한 뒤로 역시 친하게 지내던 후배 성우인 [[김태훈(성우)|김태훈]]이 그 일을 따라서 맡고 있다.]을 추모하기도 했다. [[박일(1946)|박일]], [[배한성]], [[양지운]]과 같은 성우계의 대인배 중 한 명이다. 한번은 성우 대기실에서 혼자 앉아서 쉬고 있는데, 팬이라는 사람이 무언가 적힌 종이를 주며 한번 읽어달라고 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냥 읽어주니 그 사람이 갔는데, 얼마 뒤 광고에서 자기가 읽었던 소리가 나오더라는 것. 해당 CF는 바로 前 축구선수 [[최성국(1983)|최성국]]의 굴욕으로 불리는 '''[[피자나라 치킨공주]]'''다.[* 최성국의 닭 CG로 굴욕적인 면도 있지만, 워낙 지역케이블 수준의 퀄리티도 안되는 광고 때문에 더 말이 많았다.] [[크리스토퍼 리]], [[장 르노]], [[안소니 퀸]]의 [[전담 성우]]이다. 2013년 [[대원방송]]에 간만에 캐스팅되었다. 바로 [[기동전사 건담 AGE]]의 [[페자르 이젤칸트]]. [[마스터 아시아]](동방불패) 이후 간만의 건담 녹음이며, 정말 오랜만에 TV 애니메이션 더빙에 참가하게 되었다.[* 이전에는 게임 및 극장판 애니 더빙과 영화·드라마 촬영에 모습을 많이 보였다.] 그리고 2014년에는 성우팬들이 바라던 대로 [[투니버스]]의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마이 리틀 포니]]에서 [[디스코드]] 역에 캐스팅되었다. 2014년 12월 7일, [[가족끼리 왜 이래]]에 환자 역으로 특별출연했다. 2015년 12월 3일,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공허의 유산]]과 관련하여 인터뷰를 하였다.[[http://me2.do/GXMYiU4U|링크(스포일러 주의)]] 장포스+제라툴 연기는 덤.[[https://youtu.be/gUreeQ3Ez-s|#]] 최근 KBS 연예가중계에서 KBS 성우라고 소개되었다.[* 전술한대로 김기현은 MBC 출신이다.] 2017년 2월에는 KBS 라디오 드라마 90주년 기념해서 나온 [[KBS 무대]] 할아버지의 팥!에서 타 극회 성우인데도 출연했다.[[http://www.kbs.co.kr/radio/scr/stage/bbs/index.html?bbs_pr=/mode:2/seq:662758/goto_page:1|#]] 2017년 5월 25일 JTBC [[잡스(JTBC)|잡스]] 성우 특집에 후배 [[박기량(성우)|박기량]], [[서혜정]], [[안지환]]과 함께 출연했다. 마지막에 MC들이 [[연예인 더빙]]에 대한 의견을 물어봤는데 안지환과 함께 시대의 추세라 받아들이는 듯하다. 본인과 안지환 등 일부 성우들도 드라마 연기를 포함한 다양한 대외활동을 하고 있기에 무조건 반대할 수도 없다. 사실 한국 성우계는 각 분야의 장벽이 허물어지고 인적 자원의 수급방식이 다양해진 뉴미디어 시대에 들어서도 유독 폐쇄성이 강한 분야였다.[* 물론 목소리 연기의 특성상 비성우 더빙이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좋은 결과물이 나오지 않는 분야라 대중적으로 거부감이 커서 그렇기도 하다.] 2021년 5월 6일 유튜브 채널인 [[근황올림픽]]에 출연했다. 본인의 데뷔부터 현재까지 진솔한 인터뷰를 볼 수 있는데, 본인이 MBC 탤런트를 하고 있을 때 [[르까프]] CF에 처음 성우로 캐스팅되었다고 한다. 당시 신통치 않은 사정 때문에 방송을 그만둘까 고민하던 찰나에 데뷔한 이 CF가 대박이 나면서 배우/성우 역 의뢰가 쏟아져 나와서 현재의 자신이 있을 수 있었다고.[[https://www.youtube.com/watch?v=BU2arPFh5_c&t=397s|#]] == [[김기현(성우)/출연작|주요 출연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기현(성우)/출연작)] == 기타 == * 성우 [[여민정]]이 성우가 되고 처음 만난 선배 성우이다. 배우로도 활동한 사람이라, 여민정이 거의 연예인 대하듯 흥분했고 지금도 간간이 이걸로 놀린다. * 고령인 데도 장신인데, '''181cm'''다. 게다가 체력도 좋아서 '''40대 초반까지도 벤치 프레스 120kg을 번쩍 들었다'''고 한다. 한림제약 [[https://www.youtube.com/watch?v=aoewLDtPzkE|호르반 광고]]에서도 묘사됐다. 2019년에도 꾸준히 헬스장에 다니는 등 운동을 한다고. 지금도 70대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의 근육량을 보여준 적도 있다.[* 막 환갑 무렵에 출연한(극중 노총각인데 나이 차이 얼마 안나는 배우 [[여운계]]가 어머니라는 설정이라 그 중후한 목소리로 엄마 엄마 거리는게 충공깽) 시트콤 달래네 집에서 극중 실수로 한치수 작은 쫄쫄이 티를 입고 다니는 장면이 있는데 그야말로 터지는 근육을 제대로 보여줬다.][* 재밌는 건 그의 대표 배역인 장태완도 사망 직전까지 꾸준한 운동을 통해 70넘어서까지 근육질 몸매를 유지했다. [[장태완#4s-3]] 문서 참조. 투스타까지 오른 전직 군인이기도 하지만 그래도 노년에 그 정도 몸매를 유지한다는 건 정말 대단한 것이다.] 이 정도 키와 덩치는 요즘 세대 남성들과 비교해도 상당히 큰 키와 덩치로, 지금도 저 정도의 덩치라면 대한민국 기준 상위 8~9% 수준이다. 비슷한 연배의 여자 성우 중에서 이렇게 덩치 큰 성우는 [[송도순]]이 있다. * [[이지영(성우)|이지영]]을 성우의 길로 이끈 주인공이다. 이지영의 친정아버지와 가까워서, 이지영에게 방송계로 갈 거면 성우도 있으니 해보라고 했다고 한다. * 최후를 언제든지 받아들일 각오가 되었는지, [[유언장]]을 미리 작성했다고 한다. 유언은 '[[DNR|내가 쓰러져도 절대 산소 호흡기는 꽂지 말아라]]'. * [[인생고민 해결쇼 신세계]]에서 자식이 모르는 재산의 공개 여부에 대하여 있어도 안 줄 것이라는 주장을 하였다. 부모가 자식에게 물려줘야 할 가장 큰 재산은 돈이 아니라 마음의 부자임을 알려주는 것이라고. 그리고 이어서 두 딸에 대한 가정사를 밝혔다. * 낮고 무거운 목소리로 유명하며, 성우로서는 후배 [[시영준]]이 그의 뒤를 잇고 있다는 평가가 있다. 간혹 가다가 본래 톤보다 가늘고 방정맞은 목소리로 겁쟁이나 간신같은 비굴하고 찌질한 역도 맡는데 의외로 굉장히 어울린다. 그가 성우 겸 배우인지 모르는 사람들은 그냥 목소리가 엄청 좋은 중견배우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많다. * 꾸준한 작품 활동 덕에 젊은 세대에게도 유명하다. [[제라툴]] 성우로서는 물론이고 예능 프로 내레이션이나 [[장포스]], [[롯데햄 후라이드 치킨]] 등 합성소스로서도 유명하다. [[제라툴]] 성우는 '''[[https://www.youtube.com/watch?v=mme_JyKGd5I|김기현 본인이 너무나 하고 싶어서 미치는 배역]]'''이었는데 그걸 캐스팅해줘서 너무나 고마웠다고 한다. 또한 어느 날 은행에 갔다가 은행원이 자기를 제라툴 성우임을 알아차린 적도 있다고 밝혔다. * 성우 [[짬밥]]만 '''50년'''이다 보니 '''전국민이 모두 알아듣는 그 목소리'''가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택시]]를 탔을때도 [[택시기사]]가 얼굴도 안 봤는데 바로 알아봐서 놀란 적이 많았다고 한다. * 하나회와 전두환에 저항한 장태완을 연기한 배우로 유명하지만 [[남유진]] 전 구미시장 시절 구미시에서 열린 [[https://youtu.be/NId6Qi6Z850?t=3m57s|박정희 전 대통령 탄생 10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한 적이 있어]] 정치적으로 우파로 추정된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물론 정치적 이유가 아닌 순전히 친분상 참석한 것일 수도 있다. 더불어 김기현 말고도 [[배한성]], [[김도현(성우)|김도현]] 등 성우계 유명인사들이 다수 참여했었다. 그리고 이전 나무위키에 19대 대선 당시 [[홍준표]] 후보의 TV광고 내레이션을 두고 우파성향으로 추정된다고 했던 글이 단순히 뇌피셜이란 이유만으로 삭제된 적 있는데 19대 대선 당시 홍준표 광고 참여 + 박정희 전 대통령 탄생 100주년 기념행사 참석 등을 두고 정치적 성향을 보다 확실하게 어필했는 평가도 있다. 그런데 엄밀히 따지면 이상할 건 없는 게, 연기자로서는 자신에게 주어진 배역에 충실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일례로 SBS 드라마 [[삼김시대(드라마)|삼김시대]]에서 김대중 역을 맡은 [[유인촌]]은 이명박 정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지냈다. 그리고 12.12와 전두환에 반대한다고 진보 또는 좌파라고 보는 시각은 협소한 것이며,[* 당장 보더라도 전두환 정부에 항거한 [[김영삼]]만 하더라도 우파인사이며, 이 밖에도 12.12에 반대하는 우파 인사들도 많았다. 심지어 5.16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김종필]]과 하나회의 멤버 중 한 명이었던 [[김복동]]도 12.12에 반대했고 [[전두환]]에 대해서 적대적 감정을 드러냈다. 오히려 (해방정국을 제외하고) 좌파/우파 노선이 정립되기 시작한 것은 민주화 이후로 보는 것이 학계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게다가 장태완 장군이 [[새천년민주당]]에서 비례대표 국회의원으로 했을 뿐이지, 군 장성 출신인데다 기본적으로 정치관과 안보관은 우파에 가까운 인물이었기 때문에 따지고 보면 이상한 것은 없다. 극중 배역과 실제 배우의 정치성향이 무조건 같으리란 법도 없다.[* [[문성근]] 배우도 본인의 정치성향과는 정 반대의 배역을 자주 맡기로 유명하다. [[이덕화]]의 경우만 해도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에서 [[전두환]] 배역을 맡았는데 실제 [[이덕화]]는 [[김영삼]] 지지자이며 그 이유는 '''김영삼의 장녀가 이덕화의 친구'''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덕화는 전두환 역할을 맡는 동안 [[http://m.khan.co.kr/view.html?art_id=200506021811311#c2b|5.18 묘역을 참배]]했으며 "전두환 대통령이 여기 와서 참배했으면 좋겠다"는 말까지 남겼다.] 다만 김기현 성우는 민주노동당 광고와 김대중 후보 내레이션에도 참여한 적이 있는 만큼 정치성향을 어필했다는건 약간 어폐가 있다. 간단히 말해 사무적인 의뢰로 맡았을 가능성이 높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대놓고 [[도널드 트럼프]] 낙선운동 광고를 찍은 등의 몇몇 사례를 제외하면 정치 관련 이벤트는 해당 정치인을 지지해서가 아니라 해당 정치인에게 고용되어서일 가능성이 높다. 정치광고를 갖고 성우의 정치성향 논쟁을 하는 게 의미가 없는 것이,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성우들이 하는 정치 광고 내레이션은 결국 일차원적으로는 '''일거리'''일 뿐이다. [[안소연(KBS 성우)|안소연]] 성우[* 최근에는 오버워치의 [[에코(오버워치)|에코]]를 맡았다.]가 저술한 "안소연의 성우 되는 법"에 따르면 자신은 내레이션을 '''이만큼 심하게 사기쳐야 하는 연기가 없다'''고 가르치면서 그 예로 대선 내레이션을 드는데, 그 이유는 본인도 대선 홍보 광고 내레이션을 하면서만큼은 그 후보의 열렬한 지지자로 변신하면서도 정작 평소에는 다른 후보를 지지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결국 따지고 보면 김기현 배우의 정치성향을 알 수 있는 행보는 '박정희 전 대통령 탄생 100주년 기념행사 참석' '''딱 하나 뿐인데''' (대선 후보 광고 나레이션은 진보와 보수 둘 다 참여했으니 기준이 될 수 없다), 이를 두고 그가 우파라고 추정할 수 있을지는 각자 판단에 맡긴다. * 2022년 12월 1일자로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였다. 채널명은 '부탁해요 기현씨'. 개신교 신자라 그런지 첫 영상을 [[잠언]] 낭독으로 시작하였다. * 2023년 4월 [[역사저널 그날]]에 [[12.12 사태]]를 다룬 편에 출연하였으며, 오프닝 나레이션을 시작으로 곳곳마다 5공화국의 대사를 재현하며 사실상 자신이 장태완인 것처럼 실감난 연기를 보여줬다. 적어도 12.12 사태에 대해 매우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장태완을 연기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것은 확인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여담이지만 한일 성우 통틀어서 유일무이하게 [[원나블]]에 모두 출연을 성공한 원로 성우이다. === 야, 이 반란군 놈의 새끼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장포스)] ||
[youtube(LssNNr3I--s)] || || {{{#fff '''[[MBC]] 특별기획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 - [[장태완]]의 일갈'''}}} || >'''"야, 이 [[유학성|반란군 놈의 새끼]]야![* 이 대사를 무척 빨리 말해서 '반동노무 새끼야'라고도 들리기도 한다. 의외로 틀리는 사람이 무척 많다.] [[하나회|니들]] 거기 꼼짝 말고 있어! 내가 지금 [[M48A3K / A5K|전차]]를 몰고 가서, 네놈들의 머리통을 다 날려버리겠어!''' (거칠게 전화를 끊는다) '''이 [[12.12 군사반란|역적 놈의 새끼들]]!"''' 이 대사는 그 엄청난 임팩트 덕분에 인터넷 상에서 명짤로 유명세를 떨치게 되었다. 자세한 설명은 [[장태완]] 항목에 설명되어 있다. 김기현 성우가 근황올림픽에 출연했을 때 밝히기로는 장태완 장군을 실제로 본 적이 있는데, 워낙 다혈질에[* 실제로 장태완 장군은 평소에는 굉장히 점잖고 차분하지만 열받으면 물불 안 가리는 성격이었다고 한다.] 저음의 목소리라 그대로 재현하면 시청자들이 알아듣지 못할까봐 목소리는 자신의 소리로 하기로 마음 먹고 연기한 게 성공 요인이라고 회상했다. [youtube(gUreeQ3Ez-s)] >야, 이 아몬 혼종놈의 [[새끼(비속어)|XX]]야![* 엄밀히 따지면 아몬은 혼종이 아니라 젤나가이긴 하다.] 니들 거기 꼼짝 말고 있어! 내가 지금 공허의 구도자를 몰고 가서, 네놈들 머리통을 다 날려버리겠어!!![* 스타크래프트 성우 인터뷰할 때 장태완에 빙의하여 아몬에게 일침을 날렸다. 배경이 프로필 사진과 같다. 이 동영상에서 발췌한 것으로 보인다.] 허! 흐허허허... [[https://youtu.be/ioiLBXtBUpg?t=89|히오스에서도 쓰였다.]] 1:29초부터. >'''야, 이 [[저그]] 놈의 [[새끼(비속어)|XX]]야! 니들 거기 꼼짝 말고 있어! 내가 지금 [[거신(스타크래프트 2)|거신]]을 몰고 가서, 네놈들 머리통을 다 날려버리겠어!''' >*침묵* >오, 이런. 대본을 잘못 들고 왔군... == 수상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 '''김기현의 기타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1 [[한국방송대상|[[파일:한국방송대상 심볼.svg|width=40]]]] '''[[한국방송대상|{{{#FFFFFF 한국방송대상}}}]]'''}}} || ||<-5> '''{{{#FFFFFF {{{+1 성우/내레이션상}}}}}}''' || || [[이완호]][br][[정희선(성우)|정희선]][br](1995년) || {{{+1 →}}} || '''김기현'''[br][[권희덕]][br]'''(1996년)''' || {{{+1 →}}} || [[정경애]][br][[김명수(성우)|김명수]][br](1997년) || ---- }}} || * MBC 신인연기상[* 1975년, 라디오 부문][* 동기 [[송도영]]과 함께 받았다.] * MBC 조연상[* 1980년, 라디오 부문][* 동기 [[최방란]]과 함께 받았다.] * MBC 주연상[* 1982년, 라디오 부문. 출연작은 김일성 그는 누구인가][* 선배 [[유명옥]] 성우도 같이 받았다. [[유명옥]] 출연작은 종합상사-자카르타의 밀람작전] * MBC 더빙상[* 1986년, TV 성우 부문 특별상] == 관련 문서 == * [[배우/한국]] * [[성우/한국]] [각주] [[분류:김기현(성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