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의 해물 요리)] [목차] == 개요 == 말 그대로 [[김(음식)|김]]으로 만드는 국. 끓여서 조리하는 따뜻한 국과 오이냉국 타듯 시원하게 먹는 냉국 두 종류가 있다. 김이 많이 나는 지역에서는 채취한 김을 가공하지 않고 국을 끓여 먹기도 한다. [[냉장고를 부탁해]]에서도 [[김풍]]이 한 번 선보인 적이 있는데, 이쪽은 얼큰한 계열. == 따뜻한 김국 == 2인분 기준 재료 : 김[* 조미김을 사용할경우 굉장히 쉽게 짜진다, 거기다가 물이 끓는순간부터 김이 사분오열해서 굉장히 보기가 안좋지만 짜지지만 않는다면 맛있다.] 두 장, 마늘 조금, 간장류 1. 냄비에 기름 아주 조금 넣고 마늘 넣고 살짝 볶는다. 20초면 충분. 2. 물 1리터 붓고 김 찢어서 넣고 간장 두숟갈 넣는다. 3. 팔팔 끓기 시작하면 5분 더 끓인다. 의외로 시원하다. 간장대신 파는 조미 육수류 전부 쓸 수 있다. 실패하기도 어렵다. 간이 모자라면 간장 더 넣고 짜면 물 부어서 한소끔 더 끓이는 것으로 충분. 건더기가 모자라면 김 더 찢어넣으면 된다. 익숙해지면 스킬을 [[미역국]], [[쇠고기 미역국]]으로 진화시킬 수 있다. == 차가운 김국 == 호남 지역에서 여름철에 오이냉국처럼 종종 해먹는 요리. 2인분 기준 재료: 생 김 4~5 장, 간장, 고춧가루, 깨, 참기름 1. 생 김[* 조미 김으로 하면 기름져서 좋지 않다.]을 타지 않을 정도로 바삭바삭해질 때까지 약한 불에서 굽는다. 2. 구운 김을 손으로 바스러뜨린다. 가위로 잘라도 상관없음. 3. 간장 두 숟갈, 고춧가루 반 숟갈[* 아예 양념간장을 넣어도 된다.], 깨, 참기름을 넣고 살짝 섞어준 뒤 물을 붓는다.[* 냉국이므로 얼음물을 부어도 된다.] 시간이 지나면 김이 풀어져 식감이 형편없어지므로 한 끼 분량만 해서 한 끼에 끝내는 게 좋다. 만약 풀어지는 김의 식감이 싫다면, 물을 붓지 않은 채로 냉장고에 보관한 뒤에, 먹을 때 시원한 물을 소량 부어 먹어도 맛있다. 참고로, 이 요리법은 [[아따맘마]]에서 나온 간편요리중 하나이다. [[분류:전라도의 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