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김경훈)] ||<-2>
'''{{{#ffffff 구글코리아 사장[br]{{{+1 김경훈}}}[br]KyoungHoon Harrison Ki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경훈사장.jpg|width=100%]]}}} || ||<|2> '''출생''' ||[[1976년]] [[6월 18일]] ([age(1976-06-18)]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 '''현직''' ||[[구글|구글코리아]] [[사장]] {{{-2 (Country Director)}}}|| || '''경력''' ||구글코리아 커스터머솔루션본부 전무[br]왓이프이노베이션파트너스 수석 인벤터[br][[베인앤컴퍼니]] 상무|| || '''학력''' ||[[서울과학고등학교]] {{{-2 (졸업)}}}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2 (컴퓨터공학 / 학사)}}} [[듀크 대학교]] [[MBA|경영대학원]] {{{-2 (경영학 / 석사)}}} || || '''종교''' ||[[개신교]] {{{-2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예장통합]])}}}[* [[온누리교회]] 교인이다.] || || '''링크''' ||[[https://www.linkedin.com/in/harrisonkim/|[[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현 [[구글|구글코리아]] 사장이다. == 생애 == [[1976년|1976년생]]으로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출신이다. 대학 4학년 때 [[다우기술]]에서 [[산업기능요원]]으로 복무하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했다. [[아서 앤더슨]](후에 BearingPoint로 변경), [[베인앤컴퍼니]], 왓이프이노베이션파트너스 등에서 [[전략컨설팅|전략컨설턴트]]로 근무하며 기업들을 대상으로 신사업 및 신제품 개발, 성장 전략 수립, 혁신 역량 강화 등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2015년]] 구글에 광고사업 분야 임원으로 입사하였고, 전임 사장이었던 [[존 리(1968)|존 리]] 사장이 [[구글]] [[싱가포르]]로 옮긴 후 [* 존 리 사장은 APAC Go-To-Market Lead로 자리를 옮겼다. [[https://www.mk.co.kr/news/it/view/2020/11/1209747/|#]]] [[2021년]] 1월에 [[사장]]으로 선임 되었다. 그와 함께 일했던 구글 코리아 관계자는 "논리적이고 명확하지만 사내 봉사활동을 주도적으로 5년간 이끌 만큼 따뜻한 성격"이라고 평가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968844#home|#]] == 구글코리아 사장 == 구글플레이 앱 마켓 인앱결제 의무화로 논란이 한참인 [[2021년]] 1월에 취임한 김경훈 사장은 취임 후 첫 인터뷰에서 구글플레이의 사업 모델에 대해 적극적으로 변호하였다. [[https://www.mk.co.kr/today-paper/view/2021/4818255|#]] 이후 중앙일보 팩플과의 인터뷰에서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129995#home|“인앱결제 돈벌이 아니다…앱마켓 비용 분담하자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소위 '인앱결제강제 금지법'으로 불리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한 이후 열린 [[2021년]] [[대한민국 국회|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하여, 법안 통과에 관해 "아쉬운 점은 있으나 법안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1005148700017|#]] 이후 구글플레이는 인앱결제 의무화 정책을 전기통신사업법에 맞춰 변경하였다. 구글코리아가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활동을 많이 하고 있어, 김경훈 사장도 스타트업과 관련된 행사에 자주 참석한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120108493485855|구글은 왜 스타트업을 돕는가]]라는 기고문을 쓰기도 했다. [[2021년]] 9월, 구글코리아가 한국 진출 이후 처음으로 '구글 포 코리아' 행사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김경훈 사장은 "구글은 한국에서 10조5천억원에 이르는 경제 효과를 이끌었고, 5만4천여개의 일자리 창출에 직접 기여했다"며 "유튜브 역시 8만6천여개의 일자리 창출을 했고 지난 2020년 한 해 동안 1조5천억원에 달하는 경제 효과에 기여했다"고 언급했다. [[https://www.inews24.com/view/1404765|#]] == 여담 == * [[2021년]] [[국정감사]]에 2번 증인으로 출석하였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대상 국정감사에 출석하여 인앱결제 의무화 정책,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 유튜브 컨텐츠 관리 정책, 국내 대리인 제도 등에 관한 질의에 답변하였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하여 아동출연, 아동대상 유튜브에 대한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방지 대책 관련 질의에 답변하였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2RMNGLS3N|#]] * [[2021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대상 [[국정감사]]에 함께 증인으로 출석했던 정기현 페이스북코리아 대표, 김범준 우아한형제들 대표와 [[서울과학고등학교]] 동문이다. 정기현 대표가 1기, 김범준 대표가 3기로 4기인 김경훈 사장의 선배들이다. [[https://m.etnews.com/20211005000294|#]] * 전략컨설턴트로 일하던 시절부터 동아비즈니스리뷰(DBR)에 경영 전략과 관련된 글을 여러 차례 기고하였다. [[https://dbr.donga.com/author/article/writer_no/136|김경훈 필자의 아티클]] 참고. 2021년 3월 DBR의 13주년에는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6/article_no/9950/ac/magazine|13년 정기 독자 인터뷰]]를 기고했다. 2021년 9월에는 [[https://dbr.donga.com/article/view/2102/article_no/10169/ac/a_list|팬데믹을 기업 가치-철학 재정비의 기회로]]라는 인터뷰 기사가 실렸다. * SNS는 링크드인만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의 [[https://www.linkedin.com/in/harrisonkim/|링크드인]]에는 구글과 관련된 기사, 채용 공고 등이 자주 게시된다. 2022년 3월 기준으로 4천2백여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다. * 월간슴씨와의 [[https://www.youtube.com/watch?v=KOj_eAO8mkg|인터뷰 영상]]에 따르면, [[ISTJ]]이고 [[성경]]을 읽으면서 영감을 받는다고 한다.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구글/인물]][[분류:1976년 출생]][[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서울과학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산업기능요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