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 rd1=김경진)] [include(틀:국민의힘 당협위원장/서울특별시)] || {{{#fff '''김경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광주광역시|{{{#cfa547 광주}}}]] [[북구 갑(광주)|{{{#cfa547 북구 갑}}}]])'''}}} || || 제17-19대[br][[강기정]] || → || '''제20대[br]김경진''' || → || 제21대[br][[조오섭]] || }}} || ||<-2> '''{{{#fff 국민의힘 동대문 을 국회의원 후보[br]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br] {{{#fff {{{+1 김경진}}}[br]金京鎭 | Kim Kyung-ji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경진의원.jpg|width=100%]]}}} || ||<|2> '''출생''' ||[[1966년]] [[7월 14일]] ([age(1966-07-14)]세) || ||[[전라남도]] [[장성군]] [[삼서면]] 보생리[* [[http://www.jstv.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6|#]]] || || '''현직''' ||[[국민의힘]] [[동대문구 을]] 국회의원 후보[br][[국민의힘]] [[동대문구 을]] [[당협위원장]][br][[국민의힘]] 약자와의동행위원회 사회안전분과 위원[br][[국민의힘]] 국민통합위원회 지역통합분과 위원[br][[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정책자문위원[br]재단법인 [[김영삼]]대통령기념재단 이사[br]해시드오픈리서치 감사[br]사단법인 한국산업기술협회 정책총괄자문[br]사단법인 세계신지식인협회 고문 || || '''본관''' ||[[청도 김씨]] (淸道 金氏)[* 청도 김씨 고창 두암 27세손 '鎭'자 항렬이다.] || || '''학력''' ||삼서국민학교[* 現 삼서초등학교] {{{-2 (전학[* 4학년 때 전학을 갔다.])}}}[br]광주백운국민학교[* 現 광주백운초등학교] {{{-2 (졸업)}}}[br][[광주무진중학교]] {{{-2 (졸업)}}}[br][[금호고등학교(광주)|금호고등학교]] {{{-2 (8회 / 졸업)}}}[br][[고려대학교]] [[고대법대|법과대학]] {{{-2 ([[법학]] / [[학사]])}}}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중위]] 만기전역 || || '''종교''' ||[[천주교]] {{{-2 ([[세례명]]: [[그레고리오]])}}} || ||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20대 국회의원|'''20''']] || || '''약력''' ||제31회 [[사법시험]] 합격[br]제21기 [[사법연수원]] 수료[br]인천지방검찰청 검사[br][[대검찰청]] 검찰제도 연구관[br][[서울중앙지방검찰청|서울지방검찰청]] 검사[br][[광주지방검찰청]] 부장검사[br]법무법인 이인 대표변호사[br][[제20대 국회의원]] {{{-2 ([[북구 갑(광주)|광주 북구 갑]] /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br][[국민캠프(윤석열)|윤석열 국민캠프]] 대외협력특보[br][[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상임공보특보단장[br]민선 8기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직 인수위원회|강서구청장직 인수위원장]][br]종편 패널[br][[국민의힘]] 혁신위원[br][[국민의힘]] [[인요한 혁신위원회]] 대변인[br][[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정책자문위원 || || '''링크''' ||[[https://www.facebook.com/2016kimkj|[[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법조인]]. [[대한민국 검찰청|검찰]] 출신의 [[대한민국]]의 前 국회의원이며 소속 정당은 [[국민의힘]]이다. == 생애 == === 학창 시절 === 1966년 7월 14일 [[전라남도]] [[장성군]] 삼서면 보생리에서 가난한 농부의 7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광주백운초등학교와 [[광주무진중학교]], [[금호고등학교(광주)|금호고등학교]](8회)[* [[조강래]] 前 해병대 소장, [[최영호]] 광주 남구청장이 졸업 동기다.]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학부/법과대학|법과대학]]에 입학하였다. 학부를 졸업하였고, 동 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에 재학 중이던 1989년에 제31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 === 검사 시절 === 1992년 [[사법연수원]] 제21기로 수료하고, 1995년까지 [[군법무관]]을 마친 다음, 1995년 3월 인천지검을 시작으로 [[검사(법조인)|검사]] 생활을 시작하였다. 그 후 전주지검 군산지청, 광주지검에 있다가 2000년에는 [[대검찰청]] 검찰연구관으로 있었고, 2000년 8월에 [[변호사]]로 개업하였다가 다시 2001년에 전주지검으로 들어갔다. 그 후 [[서울지방검찰청|서울지검]], 광주지검, [[광주고등검찰청|광주고검]]을 거쳐, 2006년 2월에 대전지검 천안지청에서 부장검사가 되었다. 그러다가 2008년에 다시 [[변호사]]로 개업하여 법무법인 이인의 광주 북구 분사무소의 대표변호사가 되었다. 인권변호사로 활동하며 환경미화원 체불임금·소방공무원 체불임금·군사정권 고문피해자 법률구조 소송 등을 도왔다. === 초기 정치활동 - 2번의 낙선 === [[2007년]] 검사직을 그만두고 [[17대 대선]]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 캠프에 법률특보로 합류하면서 정계에 입문했다. [[2008년]] [[18대 총선]]에는 [[창조한국당]] 후보로 광주 북구 갑에 출마하려 했으나, 당내 갈등으로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1969259?sid=102|#]] 그러나 현역 국회의원인 [[강기정]] 후보에 밀려 고배를 마셨다. 이후 [[민주통합당]]에 입당했고, [[2012년]] [[19대 총선|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 같은 선거구인 광주 북구 갑에서 [[강기정]] 의원과 당내 경선을 치렀으나, 공천에서 탈락하자 다시 [[민주통합당]]을 탈당 후 무소속 출마했다. 이번에도 현역 [[강기정]] 후보에 밀려 고배를 마셨지만 29%를 득표해 선전했다.[* 김경진 현 의원에게 2번 낙선을 안긴 [[강기정]] 전 의원도 [[광주광역시]] 북구갑 선거구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해 2번 낙선 후, 민주당에 입당한 후에 당선한 이력이 있다.] === 정치평론가 === 이후 방송 등에 출연하며 정치평론가로 이름을 날렸다. 특히 종편에 출연하던 야당 패널들 중에는 발군의 실력자로 평가받았으며, 여당 패널들의 거친 공격을 막아내며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깊은 인상을 남겼다.[* 예를 들어 [[세월호 특별법]] 제정과 관련하여 "특위에 반드시 수사권을 줘야만 하는 이유"에 대해 역설하던 모습은 네티즌들의 많은 호응을 받았다.] === 제20대 총선 출마 === 2016년 1월에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에 입당했다. [[광주광역시]] [[북구 갑(광주)|북구 갑]] [[선거구]] [[경선]]에서 [[김유정(정치인)|김유정]]을 제치고 공천받았다. 평소 쌓아둔 인지도[* 주로 종편 패널로 출연하여 조리있게 말을 잘 한 것으로 쌓아올린 인지도이다.]와 고른 지지기반을 바탕으로 초반부터 무난한 당선이 예상되었다. 결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광주 전남지역 최다득표로 당선되었다. 총 70.8%의 득표율로 총 65,721표를 얻었다. 사실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이 호남 전역에서 대부분 압승했다고는 했지만 다른 호남지역 후보들의 득표율을 따져보면 대개 40~50%대에 그쳤다. 그에 비교해보면, 김경진의 득표율 70.8%가 압도적이며, 동시에 [[정준호(1980)|정준호]]의 팀킬이 어마어마한 수준이었음을 짐작케 한다. 단순한 개인의 참패가 아니라 광주지역에서는 더민주 최악의 실책이며 [[문재인]]이 너무 늦게 수습한 탓에 광주를 통째로 뺏긴 원인으로 꼽힐 정도. [[https://www.youtube.com/watch?v=-AZTjJLJiug&t=190|# 3번째 출마다 보니까 동정표랄까, 지난 4년간 방송활동의 인지도랄까?]]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 2016년 11월 11일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게이트’ 관련 긴급현안질의에서 [[김현웅]] 법무부 장관에게 “[[박근혜]] 대통령이 [[피의자]]로 입건됐습니까?”하고 질의하였다. 이에 [[김현웅]] 장관이 “보고 받은 바 없습니다. 수사본부에 진행된 바에 따라 방법 시기 방식 결정할 것으로 압니다”라고 답하자, “피의자 입건 여부조차 파악 안 하고 있습니까?”라고 질책하며 “장관 답변 내용 똑같은 내용입니다. 장관께서는 서 있고 일방적으로 얘기하겠습니다. 제가 장관께 드리는 말은 장관의 귀를 통해 전체 검찰 조직이 들으라는 의미입니다.”라며 다음과 같이 일갈하였다. >“[[박근혜]] 대통령을 피의자로 입건 안 했습니다. [[사건번호]], 피의자 이름, [[주민번호]] 등 검찰 전산망에 입력돼야 합니다. 자백한 바 있듯 [[정호성]] 통해 청와대 비밀문건이 [[최순실]] 민간인에 전달됐습니다. [[공무상비밀누설죄|공무상 기밀누설]], 외교상 기밀누설 등에 해당합니다. 즉시 형사입건 하십시오.” >“[[CJ]] [[이미경(기업인)|이미경]] 부회장에 대해 사퇴 압박한 부분 이 부분 역시 대통령이 [[강요죄]], [[직권남용]]죄로 피의자 입건돼야 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뇌물죄]]로 피의자 입건 돼야 합니다. [[K스포츠]], [[미르 재단|미르]], [[삼성그룹]] 등등으로부터 재단 통해 또는 [[최태민]]&[[최순실]] 부녀에 들어간 돈이 형법상 뇌물죄입니다. 1억이 넘어 [[특정범죄가중처벌법]] 뇌물죄에 해당합니다. 검찰은 공범인 [[안종범]], [[최순실]]에 대해 직권남용죄만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무기 또는 10년 이상 형량 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왜곡, 축소수사한다고 판단됩니다. 검찰 해체해야 한다는 얘기가 보통 국민들 입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검찰 수사 똑바로 하고 정신 차리십시오.” [youtube(TUfXbJ0LT2U)] (김현웅 법무부 장관에게 직설적인 비판을 날리는 모습) [youtube(xi4LvR0UMbc)] 그 후 2016년 12월에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서는, 차분하면서도 핵심을 찌르는 질의로 거의 독보적인 활약을 펼쳤다. 특히 12월 7일에 열린 2차 청문회에서는 증인으로 출석한 [[김기춘]] 전 비서실장에게 [[김영한(공무원)|김영한]] 수석의 비망록[* 비망록에는 "인양하면 안 된다, 정부 부담 가중된다, 늦춰야 된다"는 말이 적혀 있었다.]을 언급하면서 [[세월호]] 인양을 못하도록 막은 것 아니냐고 압박을 가하였다. 그러나 [[김기춘]]이 끝까지 요리조리 빠져나가면서 모른다고 답변하자, [[김기춘]]에게 “죽어서 천당 가기 쉽지 않겠다.[* 대단히 표현을 완곡하게 해서 그렇지 "지옥에나 떨어져라"는 말이다...] 아이들이 죽어가는데 어떻게 그런 말을 하는가”라고 질타하였다. > (김영한 민정수석의 필적과 그 비망록에서 2014년 10월 27일자 회의 도중 세월호 시신 인양에 대한 반대를 언급한 부분을 지적하면서) > 김경진 : 김기춘 증인, 저기 보면 맨 왼쪽 끝에 한자로 장이라고 되어 있고 동글뱅이 표시가 있습니다. 보이십니까? > 김기춘 : 네. > 김경진 : 저게 비서실장이 지시한 것은 장이라고 되어 있고 동글뱅이가 처져있고 대통령의 지시를 민정수석이 적은 것은 령이라고 하고 동글뱅이가 쳐있다고 합니다. 그러면 저 부분은 '''당시 비서실장인 김기춘 증인의 지시를 김영한 민정수석이 받아적은 부분'''입니다. 그런데 2014년 10월 27일자입니다. '''세월호 인양, 시신 인양 X. 정부 책임 부담'''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저 의미가 무엇일까요? > 김기춘 : 위원님, 이 비망록이라는 것은 우리 실장이 주재하는 수석회의라는 것이 있는데 비망록이나 저런 메모를 하는 분도 있고 안 하는 분도 있고. > 김경진 : 저 의미가 무엇이겠습니까? > 김기춘 : 그 의미는 제가 잘 모르겠습니다. 우리 회의는 일방적으로... > 김경진 : 모르시겠습니까? > 김기춘 : 실장이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 김경진 : 역사 앞에서 똑똑히 하십시오.[* 이 부분에서 감정을 참지 못하고 버럭한다.] > 김기춘 : 여러 가지 현안에 대해서 이렇게 논의하고 소통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실장이 얘기한 경우도 있고 자기 생각을 쓴 경우도 있다 그렇습니다. > 김경진 : 시신 인양 안 된다. 시신 인양을 했을 경우에는 정부 책임과 부담으로 돌아온다, 라는 얘기를 당시 김기춘 비서실장, 증인께서 했고 그 내용을 김영한 민정수석이 받아 적은 것으로 추정이 됩니다. > 김기춘 : 저는 그렇게 얘기한 일이 없습니다. > 김경진 : 없습니까? > 김기춘 : 네. 그렇게 얘기한 일이 없습니다. '''[[책임전가|회의를 하다 보면 장부를, 저 노트를 작성할 때 작성하는 사람의 주관적인 생각도 가미되어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한마디로 김영한 민정수석이 김기춘 자신은 하지도 않은 말을 자기 멋대로 적어 넣었다는 뜻이다.] > 김경진 : '''제가 웬만해서는 거친 얘기는 안 하는 사람입니다마는 [[저주|김기춘 증인 당신께서는 죽어서 천당 가기 쉽지 않으실 것 같습니다.]]'''[* 참고로 김경진 의원은 [[가톨릭]], 즉 [[천주교]] 신자이다. 김기춘 전 비서실장 또한 [[가톨릭]] 신자이기에 같은 신자로서 할 수 있는 최대의 비판을 한 것으로 보인다.] 반성 많이 하십시오. > 김기춘 : 죄송합니다. > 김경진 : '''대한민국의 어린 아이들이 수장이 돼서 배 속에 차가운 시신으로 있는데 시신을 인양하면 안 된다. 시신을 인양하는 것이 정부의 부담이 가중이 된다. 그래서 세월호 인양, 최대한 늦춰야 된다 이런 말이 대한민국의 비서실장으로서 어떻게 할 수 있는 얘기입니까?''' > 김기춘 : '''[[뻔뻔|저는 그런 생각을 가진 일도 없고 그렇게 지시한 일도 없습니다.]]''' > 김경진 : '''그러면 비서실장이 하지도 않은 얘기를 비서실장이 한 것처럼 기재한 그런 민정수석을 당신은 기용하고 그 사람과 당신은 일을 같이했단 얘기입니까?''' > 김기춘 : '''그 내용은 알지 못합니다마는 그 당시에 해수부 장관하고 인양 문제에 대해서도 많이 긴밀히 의논한 일이 있습니다.''' [[감성팔이|저도 자식이 죽어 있는 상태인데 왜 그 시신인양을 하지 말라 하라 하겠습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위원님.[[https://www.ytn.co.kr/_pn/0301_201612071135519915|#]] [youtube(f63Cpa5hT2g)] ([[김영한(공무원)|김영한]]의 비망록를 토대로 당시 [[김기춘]] 비서실장의 지시 내용을 추궁하면서 울분을 터뜨리는 모습) 2016년 12월 22일 진행된 5차 청문회에서는 기흥CC 종업원이 제공한 음성 파일을 공개함으로써,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과 [[최순실]]의 관계를 유추할 수 있게 하였다.[* 해당 음성 파일은 기흥CC 종업원이 제공한 것으로 “[[우병우]]를 [[최순실]]이 꽂아준 것?”이라는 말로 시작해, [[김영재]] 원장의 부인 [[박채윤]]이 [[최순실]]과 자주 방문하면서, 우 전 수석의 장모 [[김장자]] 회장이 버선발로 뛰어나갔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때 [[우병우]]에 대해 “[[최순실]]과 [[김장자]] 회장의 인연으로 증인은 박 대통령에 추천됐고, 증인과 최순실, [[문고리 3인방]]이 한 패거리를 이뤄서 최순실 농단 사태의 주범이라고 추정되는 내용”이라며 “사실이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우병우]] 전 수석은 “음성 변조도 돼 있고, 2주에 한 벌 버선발? 납득할 수 없다”며 음성 파일 내용을 부인했다.][[http://sports.khan.co.kr/culture/sk_index.html?cat=view&art_id=201612221741003&sec_id=560901#csidxb81170d0d5200b8a9e83cf80553dbfb|#]] 그리고 청문회 막바지에서는 [[전라도 사투리]]로 반말을 슬쩍슬쩍 써가면서 자존심 강한 [[우병우]]의 감정을 사정없이 유린하였다. 전직 검사 출신다운 심문 스킬과 포스로 [[우병우]]를 당황시켜[* 자세히 보면 [[우병우]]의 표정이 순간적으로 굳어지며, 답변하는 말투 역시 묘하게 [[부들부들|흔들리는 기색]]이 역력하다. 더구나 김경진이 [[우병우]]보다 후배([[사법연수원]] 2기수 아래, 나이는 김경진이 1살 많다.)라는 점을 생각하면 속으로는 몹시 부글부글 했을 것이다.] 국민들에게 [[우병우]]가 확실히 범죄자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데 성공했다.[* 12월 29일 [[JTBC]] [[썰전]] 출연분에서 "의도치 않게 [[검사(법조인)|검사]] 시절에 하던 버릇이 문득 나왔다"고 했는데, 이런 심문 방법은 검사가 잡범을 심문하는 전형적인 방법이라고 한다. 즉 [[우병우]]를 잡범 취급한 것.] >"'''(밑의 동영상 2:00부터) 응... 응... 그니까, 그러면, 궁금한 게~ [[최순실]]은 도대체 그 검찰에서 압수수색 나온다는 것을 으뜨케 아라쓰까?" (방청석 웃음)''' > (모른다는 [[우병우]]의 대답에) '''"대통령이 알려줘쓰까↗?''' [* 이 말이 끝나자마자 그때까지 자기 정면만 바라보던 [[우병우]] 전 민정수석이 갑자기 김경진 의원을 쳐다본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youtube(gqD4GwBfd4A)] 또한 최후발언으로는 [[우병우]]를 향해 다음과 같은 멘션을 날렸다. 이후 별명이 쓰까요정이 되었다. > [[독일]]에 있는 [[최순실]]이 내일 검찰에서 압수수색하는 것을 어떻게 알았을까, 검찰 내에, [[대한민국 검찰청]] 내에, 최순실의 수족들이 그렇게 쫙 깔려 있을까, 대통령이 알려줬을까, [[우병우]] 민정수석이 알려줬을까, 검찰총장이 알려줬을까, 누군가는 알려주지 않았겠습니까? ([[우병우]] : 알지 못합니다.) 알지 못하시죠? 근데, 어쨌든 이걸 계기로 해서, 국민들께 이 얘기는 드리고 싶습니다. 저도 검사 출신이긴 하지만, 이런 검찰, 이런 '''썩어빠진''' 검찰 때문에, [[대한민국]]이 여기까지 와 있는 겁니다. 그 얘기 드리고 싶습니다. - [[https://tv.kakao.com/v/80723204|최순실 국정농단 국정조사 5차 청문회에서,]] 본문 위 영상 3분 21초 7차 청문회에서는 [[이용주(정치인)|이용주]]에게 이미 당해 멘붕이 된 [[조윤선]]의 빈틈을 포착하고, 말을 돌리던 [[조윤선]]에게 갑자기 답변을 끊고 호통으로 반말을 섞는[* "언제 알았어요? 그럼 정무수석 때는? 몰랐다는 거 아냐? 그럼 문체부 장관시절에는, 알았습니까? 몰랐습니까?", "자 장관! 장관! 조윤선 증인! 그렇게 궤변 늘어놓지 마시고", "아니 말 돌리지 말고! 시점을 물어보면 시점을 답하고!", "돌아가서 확인했을 거 아냐! 그걸 언제 어떻게 했냐고! 그거 물어보는데 답변을 못 해?"] 압박신문 스타일로 승부하여, '조윤선이 블랙리스트를 언제부터 알았는지'를 집요하게 물어봤고, '국정감사 이후'라는 답변을 들을 수 있었으며[* 몇월 며칠인지 정확한 시점을 캐물었으나, 그것만은 못 밝히겠다면서 죽어도 밝히지 않았다.], 개인 신문시간 이후 [[김성태]] 위원장이 [[조윤선]]에게 다시 묻게 하는 것까지 유도해냈다. 물론 거짓말 같다는 설은 많지만, 거짓말이라면 최소한 위증죄 증거는 만들어진다. === [[21대 총선]]을 앞두고 홀로서기 === 2019년 8월 원래 소속당이었던 [[민주평화당]]이 내분에 휩싸여 있을 때 탈당을 선언했다. [[변화와 희망의 대안정치연대]]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21대 총선]]에는 무소속으로 출마한다고 한다고 밝혔다. 만약 당선이 된다면 주민들이 원하는 정당에 입당할 수도 있다고 한다. 그런 홀로서기 전략이 어느 정도 통하고 있는 것인지 최근 여론조사에서는 현역들에 대한 분위기가 좋지 않은 광주 내 타 지역구와는 달리 유일하게 민주당 후보를 앞서고 있다. [[https://www.google.co.kr/amp/mobile.newsis.com/view_amp.html%3far_id=NISX20200101_0000876760|뉴시스 여론조사]] 총선 후 당선되면 [[이용주(정치인)|이용주]]와 함께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4572442|#]] 심지어 지역구 내에 게시한 선거 유세 현수막에는 "민주당에 입당하겠습니다!"라는 문구를 삽입하기도 했다. 하지만 총선 결과, 37.6% 득표를 얻으며 호남 지역 [[민생당]] 및 무소속 후보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득표율을 보였지만[* 특히 광주 지역 다른 구 [[국민의당]] 출신 현역 의원들이 10%대의 저조한 득표율로 낙선한 것과 비교되었다.] 57.8%의 표를 얻은 [[더불어민주당]] [[조오섭]] 후보에게 결국 패배하고 말았다. 김경진의 패배와 함께 4년전 [[호남홀대론]]에 휘말려 광주에서 완패했던 [[더불어민주당]]은 이번에 8석 전석을 석권하는 기쁨을 누렸다. === [[윤석열]] 지지와 [[국민의힘]] 입당 === 2021년 7월 25일, [[국민캠프(윤석열)|윤석열 대선캠프]]에 대외협력특보로 합류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4621417|#]] [[윤석열]] 전 총장이 7월 30일 [[국민의힘]]에 입당하면서 입당을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8월 1일 [[윤석열]]을 따라 [[국민의힘]] 입당을 결정했다. 그러나 입당 여부만 결정했을 뿐 시기에 대해서는 고려 중이라하고[[https://www.news1.kr/articles/?4390134|#]] 입당하지 않았다가 해를 넘겨서 입당했다. 11월 21일, [[한겨레신문]]의 유튜브에서 진행하는 '공덕포차'에 출연 [[음주]] 방송 컨셉에 맞게 술을 거나하게 걸치고 [[윤석열]] 및 그 가족의 각종 의혹에 대해 해명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hdOBMFnNkY|#]] 민주당 측 패널은 [[열린민주당]]의 [[김성회(1972)|김성회]] 대변인이 출연했다. 대선 기간동안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의 상임공보특보단장을 맡아 여러 방송에 출연하였다. [[2022년]] [[3월 9일]] 치러진 [[제20대 대통령 선거]] 결과 [[윤석열]] 당선인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를 누르고 승리하면서 공직 입각이나 지역감정 해소 차원에서 [[국민의힘]] 후보로 [[광주광역시장]]에 출마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마침 [[친윤]] 인사들 중 유일한 호남 출신 민주계 인사이기 때문에 총대매고 [[이용섭]] 현 시장이나 [[강기정]] 전 정무수석과 맞대결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20324_0001805738|#]] 하지만 [[광주광역시장]] 출마 대신 [[제22대 총선]]에서 서울 지역구에 출마하는 쪽으로 선회했다고 한다. 대신 광주시장 선거에는 [[주기환]] 전 광주지검 수사과장이 전략공천되었다. 이후 2022년 12월 28일, [[친윤]]인 덕분에 이미 내정되어있던 [[허은아]] 의원을 제치고 [[동대문구 을]] 당협위원장에 내정되었다. [[https://naver.me/xi5LlTTJ|#]] 2023년 10월부터 12월까지 [[인요한]] 혁신위원회의 혁신위원 겸 대변인으로 활동하였다. == 비판 및 논란 == * 2017년 1월 22일, 광주에서 열린 '강철수와 국민요정들'이라는 토크 콘서트에 참석해 지난 9일 열린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특위 청문회 비하인드를 전하던 중 증인 신분으로 출석한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예쁜 여동생 같은 장관'이라 표현하며 구설수에 올랐다.[[http://www.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4690|#]] 온라인 공간에서는 '여성관에 문제가 있다', '분위기 파악 못한다', '확실히 실수한 게 맞는 거 같다'는 비판과 '꼬투리 잡기다', '구설수 오를 꺼리도 안 된다'는 반론들이 충돌했으며, 논란이 되자 다음 날 사과를 표명했다. 국조특위 위원장인 [[김성태]] [[바른정당]]의원도 김경진 의원의 발언이 적절하지 않았다며 비판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37&aid=0000145338|##]] * [[문재인 정부]] 1차 국정감사에서 김경진이 '방송법상 시사-보도를 할 수 없는 교통방송에서 정치색을 띈 방송이 진행되는 것이 말이나 되냐'며 [[http://v.media.daum.net/v/20171013121613396|불법]]이라고 항의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정작 그도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종종 출연하던 사람이라서 당 홍보를 위해 불법을 알고도 동참한 인물로 비난받았다. 그의 출연이 확인된 방송으로 보면 16년 12월 23일, 17년 2월 9일, 17년 3월 27일, 17년 3월 31일, 17년 5월 1일에 출연하였다. [* 그뿐 아니라 같은 방송국의 시사프로그램인 [[정봉주]]의 품격 시대에 꽤 자주 출연하였고, [[19대 대선]] 기간 동안엔 품격 시대가 마련한 토론회에 거의 빠짐없이 나와서 국민의당의 입장을 대변했다.] 거기에 한술 더 떠서 이 발언을 하기 바로 전날인 10월 12일에는 같은 [[국민의당]] 의원인 [[박지원]] 의원이 출연하기도 했다. * [[문재인 정부]]에 들어서 [[돈봉투 만찬 사건]] 이후 [[우병우 사단]]을 인사조치하는 과정에서 [[JTBC 뉴스]]에 출연해 그에 대한 인터뷰를 했는데 [[https://youtu.be/T0PQN185vkc?t=927|유투브 영상]] "[[우병우]] 사단으로서 행한 비위의 구체성이 없는데 모욕적인 인사조치를 한 것은 잘못이다." 는 발언을 해서 논란이 되었다. * [[국가인권위원회]]법 일부 개정 법률안을 발의하려 협조문을 돌리고 있는데, 여기서 동성애를 옹호하고 동성애에 대한 긍정적 가치판단을 두고 있다는 오해를 받는다며 '성적 지향'을 빼자고 주장했다.[[https://twitter.com/jnuROGE/status/933237609924411392|#]] [[국민의당]]이 대선 이후로 급격하게 보수화되고 있고, 김이수 낙마건과 관련해서도 동성애에 대해 부정적인 판단[* 당 소속 의원인 [[박지원(1942)|박지원]] 의원은 아예 [[권은희(1974)|권은희]] 의원 등 당원들을 이끌고 광주에서 열린 동성애 동성결론 개헌반대 국민대회에 참석하기도 했다.]을 하고 있는 건 익히 알려져 있지만 아예 본격적으로 국가인권위법까지 고치겠다고 나선 것. * [[카카오(기업)|카카오]]가 시범 운영 중인 카풀 중개 사업은 [[https://jnilbo.com/2018/12/10/2018121011234498847/|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위반]]이라며 검찰이 이들을 즉시 수사해야 한다고 말해 논란이 되었다. * [[대한민국]]에서 어렵지 않게 딸 수 있는 학사만으로 외국인들에게 국적을 주겠다는 "간의귀화법"을 발의해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이민자의 나라 [[미국]]에서도, [[대한민국]]보다도 초고령화 사회인 [[일본]]에서도 없는 법을 대한민국 국회의원이라는 자들이 발의했단 것이다. 특히 현재 대한민국의 유학생 중 과반수를 차지하는 중국인들이 한국국민이 되어 경제나 이념적인 면에서도 분쟁이 일어날 수 있다. 현재 이 법안을 발의한 뒤 1,000명 이상의 반대를 얻어 제동이 걸리자, 철회한 뒤 5월 7일에 수정법안을 발의하였다. 참고로 이 법안발의에 동참한 이들은 김경진 외 정인화, 박선숙, 윤영일, 최경환, 손금주, 손혜원, 김중로, 신용현, 박지원, 이용주 11명이다. * 2021년 3월 12일, [[주진우 라이브]]에서 [[김남국]] 의원과의 마찰이 발생하였고 서로 말싸움 끝에 방송에서 하차하겠다고 선언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PyX18H72STM|영상]] * 2022년 1월 3일, CBS 표준FM [[CBS 한판승부|한판승부]]에서 상황극을 하던 중 그만 자기도 모르게 [[씨발|욕설]]을 하는 일이 있었다.[* [[https://youtu.be/uLHAthoSjrA?t=3838|영상]]]~~쓰바요정~~ == 여담 == * 2010년 10월 25일 방송된 [[SBS]] [[긴급출동 SOS24]] '''해남군 섬노예편'''에 [[https://youtu.be/Ob_qmLv6s0k?t=2125|출연했다.]] "내가 주인인데~"를 시전하는 주인에게 "사람이 사람에게 무슨 주인이냐!"라고 일갈했고, ~~노예를 빼앗기지 않겠다는 굳은 의지로~~ "니가 데려가서 책임질거야!"라고 악을 쓰며 발악하는 주인에게 "책임질렵니다!"라고 대응했다. 당시 같이 갔던 사람은 [[민주당(2008년)|민주당]]의 [[김춘진]] 의원. 이 외에도 [[긴급출동 SOS24]]에 법률자문을 하러 나왔다. * 2016년 12월 8일 방송된 [[JTBC]] <[[썰전]]>에서는 [[유시민]] 작가가 김경진 의원의 차분한 질의 능력을 칭찬했다.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 D-1을 주제로 대화하던 중, 국조특위 청문회에 임한 김경진 의원의 질의 태도를 칭찬한 것. [[유시민]] 작가는 김경진 의원에 대해 "청문회를 보며 놀랐다. 검사 시절 유능했을 것 같다"며 "'''진짜 질의를 하며 핵심만 딱딱 물어봤다'''"고 말했다. 유 작가는 이어 “국정조사 청문회는 저런 거다”라며 “구체적인 정보를 끌어낼 수도 있지만, 가능성을 알려주는 정보를 뽑아내는 것도 중요하다”며 호평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5&aid=0000957797|#]] 이 언급 덕분에 방송 다음날 아침 실검 1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으며, 공식 블로그에 응원 댓글이 쏟아지기도 했다. 다만 [[김기춘]]에게 한 "천당은 못 갈 것" 발언에는 "청문회와 맞지 않는 발언이었다"며, [[유시민]]과 [[전원책]] 둘 다 김경진 의원을 비판했다. * [[썰전]]에 출연했을 때 "[[안철수]]에겐 3가지 덕[* [[V3(소프트웨어)|V3]] 무료 배포, 서울시장 후보와 대통령 후보 양보, 4차산업혁명 맞춤형 인재]이 있다"고 말했다. 이후 2018년 1월 26일에 썰전에 다시 출연했을 때는 그렇게 말하고 다닌 자신의 입을 지워버리고 싶다고 입장을 변경. * 2017년 3월 16일, [[하태경]], [[박주민]], [[손혜원]]과 함께 [[JTBC]] 예능프로그램 [[잡스(JTBC)|잡스]]에 출연해 '직업으로서의 국회의원'에 대한 토크를 진행했다. 그리고 [[대도서관 잡쇼]]에서도 출연을 했는데, [[자유한국당]] 송희경 의원과 같이 출연했다. * 2018년 2월, 외부자들에서 '[[안철수]]가 좋은 7가지 이유’라고 알려진 찬조연설문의 '8할은 진심, 2할은 제 권력욕'이라고 밝혔다. * 지난 [[21대 총선]] 기간 중 자신의 선거에 자신의 모교인 광주백운초등학교 동문회를 선거에 끌어들여 말바우시장에서 유세하던 중 김경진의원의 초등학교 1년 선배인[[ 더불어시민당]] 관계자에게 호되게 혼이 났다. 이후 선거유세에서는 동문회 관계자들의 모습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 2020년 11월 27일, 주진우 라이브와 인터뷰하며 나무위키를 언급했다(...)[[https://news.v.daum.net/v/20201127190721560|#]] * [[오버워치]]의 캐릭터 [[윈스턴(오버워치)|윈스턴]]과 닮았다.(...)[[https://www.facebook.com/wikitree.page/videos/1585334534852569/|#]]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창조한국당)] || 2007 - 2008 || 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2008 - 2012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2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2 - 2016 || 탈당[* 총선 공천 불복으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2016 - 2018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8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br]([[국민의당-바른정당 합당]] 반대)] || || [include(틀:민주평화당)] || 2018 - 2019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9 - 2022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국민의힘)] || 2022 - 현재 || 입당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 '''연도'''}}} || {{{#fff '''선거 종류'''}}} || {{{#fff '''선거구'''}}} || {{{#fff '''소속 정당'''}}} || {{{#fff '''득표수 (득표율)'''}}} || {{{#fff '''당선 여부'''}}} || {{{#fff '''비고'''}}}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4> 광주 [[북구 갑(광주)|북 갑]] ||<|2> [include(틀:무소속)] || 2,357 (4.06%) || 낙선 (5위)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19,027 (29.11%) || 낙선 (2위) ||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65,721 (70.80%)''' || '''당선 (1위)''' || '''초선'''[* 2018.02.05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탈당[br]2018.02.06 [[민주평화당]] 창당[br]2019.08.16 민주평화당 탈당]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무소속)] || 38,397 (37.60%) || 낙선 (2위) || || || 2024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동대문구 을|동대문 을]] || [include(틀:국민의힘)] || 0 (00.00%) || ||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8 김경진(정치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경진 19총.jpg|width=100%]]}}}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18대 총선}}}]] ([[북구 갑(광주)|{{{#000,#fff 광주 북구 갑}}}]])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19대 총선}}}]] ([[북구 갑(광주)|{{{#000,#fff 광주 북구 갑}}}]])[* 선거벽보가 없고 책자형 선거공보만 존재한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6 김경진(정치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0 김경진(정치인).jpg|width=100%]]}}}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0대 총선}}}]] ([[북구 갑(광주)|{{{#000,#fff 광주 북구 갑}}}]])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1대 총선}}}]] ([[북구 갑(광주)|{{{#000,#fff 광주 북구 갑}}}]])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광주광역시)] ----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무소속)]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검사]][[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분류:제20대 국회의원]][[분류:국민의당(2016년) 국회의원]][[분류:민주평화당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장성군 출신 인물]][[분류:1966년 출생]][[분류:법조인 출신 정치인]][[분류:청도 김씨]][[분류:광주무진중학교 출신]][[분류:금호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국민의힘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