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에서 두 번째로 가장 많이 쓰이는 글자이다.[* [[http://unicode.org/L2/L2009/09180-char-frequency.pdf]]] 첫번째는 '[[이]]'다. == 한국어의 [[어미]] == 용언을 명사화하는 어미이다. == 한자 == [include(틀:주요 한국 한자음)] [[교육용 한자]] 1800자 기준으로 [[한국 한자음]]이 '기'에 해당하는 한자는 27자로 3번째로 많다([[사]]-[[수]]-기 순). === [[機]]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機)] [[기계]]를 의미하는 한자다. === [[己]]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己)] ||<-3> [[십간]] || || [[무]] ||◁ '''기''' ▷|| [[경]] || '몸 기'자로, '''자기 자신'''을 의미하는 글자다. [[십간]](十干)의 여섯 번째 글자이기도 하다. ex) [[기묘사화]] [[제4대 국회의원]]과 [[제6대 국회의원]] 선거구 마지막 십간[* 대구시 기]으로도 쓰였다. == 한자어 == === 1자 한자어 === ==== [[깃발|기]]([[旗]]), [[깃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旗)] [[깃발]]을 의미하는 1음절 한자어. 깃발 이름을 나타내는 한자어로도 자주 쓰인다. ==== [[기(기운)|기]]([[氣]]), 기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氣)]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기(기운))] ==== 기([[夔]]), [[환상의 동물]]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han_Hai_Jing_Kui.jpg]] 중국의 전설 속의 [[뇌수#s-3]]. 동해의 유파산(流波山)에 산다고 한다. 생김새가 소와 비슷했으나 뿔이 없었고 청회색 몸에 긴발은 단 하나였다고 한다. 자유자재로 바닷속을 드나들었는데 이 동물이 물 속을 드나들 때 마다 큰 폭풍우를 동반하였다. 또, 눈으로는 햇빛이나 달빛 같은 빛을 발하였으며 동시에 입을 크게 벌려 소리질렀는데 그 소리가 마치 천둥번개 소리와 같았다고 한다. 월(越)나라 사람들이 산소(山蔬)라고 했는데 사람의 얼굴에 원숭이 몸을 하였으며 사람 말을 할 줄 알았다고 한다. 이런 묘사의 차이는 설들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황제(중국 신화)|황제]]와 [[치우]]가 싸울때 황제는 이 동물의 가죽을 벗겨 그 가죽을 말려서 북을 만들고, [[뇌신]]의 뼈를 북채로 만들어서 치우의 군대를 혼비백산하게 했다고 한다. [[왜란종결자]]에서도 마수로 등장했는데 은동에 의해 순살. === 의존명사 === ==== 기([[騎]]), 군사 용어 ==== 말탈 기. [[기병]]이나 [[기사(역사)|기사]]에서의 '기'가 바로 이 단어이다. [[헤이안 시대]] ~ [[가마쿠라 막부]] 시대의 일본에서는 일종의 군사력을 나타내는 단위로도 사용되었다. [[사무라이]] 1명당 대여섯명 정도의 수행원 및 사병들이 따라붙는 것을 '1기'로 쳐서 300기, 500기 이런 식으로. 이후 [[센고쿠 시대|전국시대]]에 이르러서도 이 기의 개념은 이어진다. 중세 유럽의 말 탄 기사 1명과 그에 따라붙는 종자의 구조와 비슷하다. 대하드라마 [[타이라노 키요모리]]등에서 이 기에 대한 묘사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 기([[期]]), [[시즌제|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期)] 1기, 2기 등의 기. 흔히 [[시즌제|시즌]]을 한국식으로 말할 때 주로 사용되었다. [[기수제]]도 있다. ==== 기(基)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基)] 한자 基(기) ==== 화학 용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작용기)] 화학용어다. 작용기(-基)를 기리킨다. [[하이드록시기]] R-OH, [[카르보닐기]] R-CO-R, [[카르복시기]] R-COOH, [[포르밀기]] R-COH,[[에테르기]] R-O-R, [[에스테르기]] R-COO-R ..하는 식이다. == 외국어 == === [[기(식용유)|기]](घी), [[인도]]의 [[버터]] 가공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기(식용유))] [[버터]]에서 수분과 기타 성분을 완전히 제거한 순수한 우유 기름이다. 쉽게 타는 버터와 달리 높은 온도에서도 타지 않기에 활용도가 다양하며, 인도 요리에 많이 쓴다.[* 인도의 대세 종교인 힌두교는 소를 먹지 않지만 우유, 버터 등 [[유제품]]은 먹는다.] === 기(旗), [[중국/행정구역|중국의 행정구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국/행정구역)] 기(旗)는 중국의 행정구역 명칭으로 [[내몽골 자치구]]에만 존재하는 현급행정구역이다. 그 유래는 청나라의 [[팔기제]]의 영향으로 생긴 것으로 보고 있다. == 고유 명사 == === [[기나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기나라)] === [[기(성씨)|기씨]]([[奇]]), 한국의 성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기(성씨))] === 기(Guy), [[프랑스]]의 인명 === [[가이]]의 프랑스식 발음. 대표적인 사람으로 [[기 드 뤼지냥]]과 [[기 드 모파상]], [[기 포르제]] 등이 있다. === [[GHEE|기(GHEE)]], [[WOLF HOWL HARMONY from EXILE TRIBE]]의 멤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GHEE)] == 창작물 == === [[기(혁염의 인가노크)|기]](ギー, Guy), [[에로게]] [[혁염의 인가노크]]의 주인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기(혁염의 인가노크))] === [[기(풍래의 시렌)|기]](技), [[풍래의 시렌 시리즈]]의 시스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기(풍래의 시렌))] === [[祈 -我ら神祖と共に歩む者なり-|기]](祈), [[CHUNITHM]] 수록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祈 -我ら神祖と共に歩む者なり-)] == 기타 == 글씨체에 따라 "[[71]]"로 [[야민정음|오해받을 수도 있다.]] 이를 이용한 [[김기인|71인]]분 드립이 나오기도 한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상상의 동물]][[분류:의존명사]][[분류:이름/로망스어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