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카이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기후현 제5구}}}}}}'''[br]{{{-1 {{{#ffffff 岐阜県第5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Gifu5.svg|width=100%]][br]}}}|| ||<-2><:>'''선거인 수'''||<-2><:>273,847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기후현]]|| ||<-2><:>'''하위 행정구역'''||<-2><:>[[타지미시]], [[나카츠가와시]], [[미즈나미시]],[br][[에나시]], [[토키시]]||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후루야 게이지]]|| [목차] [clearfix] == 개요 == [[기후현]]의 동남부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후루야 게이지]]. == 상세 == 기후현의 다른 선거구들처럼 자민당 지지세가 강한 편이다. 보수 성향인 이유도 있지만, 이 지역에서 계속 국회의원을 배출한 후루야 가문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다. [[후루야 게이지]] 의원은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의 우정민영화에 반발해 무소속으로 출마한 선거에서도 자민당과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후보를 꺾고 당선될 정도로 정당과 무관하게 개인적 지지세가 있었다. 한편, 후루이 게이지는 [[아베 신조]]와 [[세이케이대학]] 동문이다. 몇 안되는 국회 내 세이케이대 동문이여서 그런지, 아베가 [[2012년]]에 다시 총리에 오르자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었으며 이후 당내 요직인 선거대책위원회위원장도 맡았었다. 다만 자민당이 도카이 지역에서 크게 선전한 49회 총선에서, 세대교체의 바람을 타고 만 25세의 전국 최연소 후보인 입헌민주당 이마이 루루 후보가 꽤 선전했다. 향후 이마이 루루의 역량에 따라 경합 지역구로 바뀔 가능성도 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기후현 제5구 역대 중의원 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4> [[후루야 게이지]] ||<|3>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include(틀:무소속)]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아치하 요시노부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4> 후루야 게이지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기후현 제5구}}}}}}'''[br]{{{#fff 타지미시, 나카츠가와시, 미즈나미시, 에나시, 토키시,[br]토키군, 에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루야 게이지]]''' || '''79,133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2.41%''' || '''당선'''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안도 미치히로 || 50,496표 || 2위 || || [include(틀:신진당)] || 27.06%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야마시타 야스오 || 34,764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18.63%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나구마 지로 || 13,272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11%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6년)|[[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width=50]]]] || 콘도 히데이치 || 8,935표 || 5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4.7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6,600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기후현 제5구}}}}}}'''[br]{{{#fff 타지미시, 나카츠가와시, 미즈나미시, 에나시, 토키시,[br]토키군, 에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루야 게이지]]''' || '''114,654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7.62%'''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타케다 노리오 || 56,658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8.47%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노우에 사토시 || 27,684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3.9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98,996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기후현 제5구}}}}}}'''[br]{{{#fff 타지미시, 나카츠가와시, 미즈나미시, 에나시, 토키시,[br]토키군, 에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루야 게이지]]''' || '''110,553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7.30%'''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타케다 노리오 || 67,546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5.01%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노우에 사토시 || 14,834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6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92,933표 ||<|2> '''투표율'''[br]68.59% || || 선거인 수 ||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기후현 제5구}}}}}}'''[br]{{{#fff 타지미시, 나카츠가와시, 미즈나미시, 에나시, 토키시,[br]토키군, 에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후루야 게이지]]''' || '''88,874표'''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42.04%'''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와니 타카아키 || 55,432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26.22%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아치하 요시노부 || 52,976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5.06%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노우에 사토시 || 14,143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6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11,425표 ||<|2> '''투표율'''[br]74.07% || || 선거인 수 || 290,646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기후현 제5구}}}}}}'''[br]{{{#fff 타지미시, 나카츠가와시, 미즈나미시, 에나시, 토키시,[br]토키군, 에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아치하 요시노부''' || '''114,676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3.19%'''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루야 게이지]] || 100,931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6.81% || 비례당선 || ||<|2> '''계''' || 유효표 수 || 215,607표 ||<|2> '''투표율'''[br]75.97% || || 선거인 수 || 289,490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기후현 제5구}}}}}}'''[br]{{{#fff 타지미시, 나카츠가와시, 미즈나미시, 에나시, 토키시,[br]토키군, 에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루야 게이지]]''' || '''98,71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5.58%'''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아치하 요시노부 || 55,283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1.12%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노우에 사토시 || 18,837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60%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카노 유키히코 || 4,789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2.7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7,627표 ||<|2> '''투표율'''[br]64.92% || || 선거인 수 || 286,822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기후현 제5구}}}}}}'''[br]{{{#fff 타지미시, 나카츠가와시, 미즈나미시, 에나시, 토키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루야 게이지]]''' || '''90,11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5.82%'''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아치하 요시노부 || 53,111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2.90%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타카미 노부요시 || 18,21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2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1,442표 ||<|2> '''투표율'''[br]58.60% || || 선거인 수 || 283,034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기후현 제5구}}}}}}'''[br]{{{#fff 타지미시, 나카츠가와시, 미즈나미시, 에나시, 토키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루야 게이지]]''' || '''92,113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4.05%''' || '''당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아치하 요시노부 || 57,982표 || 2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34.02%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제키 쇼코 || 20,31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9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0,413표 ||<|2> '''투표율'''[br]61.36% || || 선거인 수 || 283,802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기후현 제5구}}}}}}'''[br]{{{#fff 타지미시, 나카츠가와시, 미즈나미시, 에나시, 토키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후루야 게이지]][br](古屋圭司)''' || '''82,140'''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추천: [include(틀:공명당)]] || '''48.49%'''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50]]]] || 이마이 루루[br](今井瑠々) || 68,615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지지: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기후현연합] || 40.50% || 낙선 || ||<|2><#1dac4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50]]]] || 야마다 료지[br](山田良司) || 9,921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5.86%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제키 쇼코[br](小関祥子) || 8,736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1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9,412표 ||<|2> '''투표율'''[br]62.72% || || 선거인 수 || 273,847인 || 현역 자민당 후루야 게이지 의원이 재출마한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은 지역구 지부장인 이마이 루루 후보를 공천했다. 이마이 후보는 올해 만 25세로([[1996년]] 4월 4일생), 당선시 최연소 중의원의원이 될것이 100% 확실하다. [[일본공산당|공산당]]은 지난 총선에 출마한 오제키 쇼코 후보를 다시 공천했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는 야마다 료지 전 의원을 공천했다. 게로시장과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비례대표 의원을 지냈으며, 중의원 소선거구 출마는 이번이 처음이다. 개표 결과, 자민당 후루야 게이지 후보가 승리, 11선 의원이 되었다. 입헌민주당 이마이 루루 후보도 격차를 8%까지 줄이며 꽤 선전했다. 석패율제 당선도 노려볼 수 있는 수치긴 하지만, [[아이치현]]에서 입민당 후보들이 의외의 석패를 당한 경우가 꽤 나오면서 상대적으로 석패율이 낮았던 이마이 후보의 순번이 밀려 구제 기회를 받진 못했다. 비록 패배했지만, 젊은 정치신인이라 다음 선거에서는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여당 자유민주당에서는 별다른 일이 없다면 현직 [[후루야 게이지]] 중의원이 12선 도전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차기 중원선에 출마할 예정이었던 입헌민주당 이마이 루루는 2023년 1월 6일 갑작스레 '''자민당의 추천을 받고''' 기후현의회 선거에 출마하기로 선언하면서 입헌민주당에서 제명되었다.[[https://www3.nhk.or.jp/news/html/20230117/k10013952391000.html|#]] 이후 기후현의회 선거에서 당선되어 자민당 소속 현의원이 되었다. 대신 입헌민주당에서는 2023년 7월, 회사 임원 출신의 마노 사토시(真野哲)를 새로운 후보로 공인하기로 했다.[[https://www.gifu-np.co.jp/articles/-/253078|#]]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유신회]]에서는 야마다 료지 전 의원이 다시 도전할 것으로 보인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기후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