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카이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기후현 제1구}}}}}}'''[br]{{{-1 {{{#ffffff 岐阜県第1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Gifu1.svg|width=100%]][br]}}}|| ||<-2><:>'''선거인 수'''||<-2><:>326,022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기후현]]|| ||<-2><:>'''하위 행정구역'''||<-2><:>[[기후시]](옛 야나이즈초 제외)||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노다 세이코]]|| [목차] [clearfix] == 개요 == [[기후현]]의 현청 소재지인 [[기후시]] 대부분을 관할하는[* 정확히는 옛 야나이즈초(柳津町)를 제외한 [[기후시]] 전역을 관할하고 있다.]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노다 세이코]]. == 상세 == 현내 최대 도시를 관할하는 선거구인데다 기후시 자체가 [[나고야시]]의 위성도시 성격이 강한 지역이다보니 무당파층이 꽤 있긴 하지만, 이 선거구도 자민당 지지도가 훨씬 높은 곳이다. 지역구 국회의원인 노다 세이코는 [[오부치 게이조]] 내각에서 만 37세의 젊은 나이에 우정대신을 지냈고, [[아베 신조]] 내각에서는 총무대신을 역임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무파벌, 비주류라 핵심 직위에 임명받지 못하고 있다. 이 선거구의 또다른 특징은 여성 후보들이 많이 출마한다는 점이다. 대표적으로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당시에는 [[고이즈미 준이치로]]의 우정 민영화에 반대해 무소속으로 출마한 [[노다 세이코]]와 노다 대신 자민당 공천을 받아 출마한 [[사토 유카리(정치인)|사토 유카리]] 후보가 맞붙었다.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당시에는 현직 의원인 노다 세이코를 포함해 출마자 4명 중 3명이 여성 후보였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기후현 제1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4> [[노다 세이코]] ||<|3>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include(틀:무소속)]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시바하시 마사나오[* 이후 [[2018년]] 기후시장 선거에서 당선되어 현재 기후시장을 역임하고 있다.]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4> 노다 세이코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기후현 제1구}}}}}}'''[br]{{{#fff 기후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노다 세이코]]''' || '''70,799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7.10%''' || '''당선'''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마츠다 이와오 || 66,892표 || 2위 || || [include(틀:신진당)] || 35.05%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6년)|[[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width=50]]]] || 와타나베 가조 || 33,640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17.63%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키노시타 리츠코 || 19,509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2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90,840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기후현 제1구}}}}}}'''[br]{{{#fff 기후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노다 세이코]]''' || '''100,425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2.35%'''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와타나베 가조 || 56,751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9.58%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키노시타 리츠코 || 21,523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21% || 낙선 || ||<|2><#00a7db>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토다 지로 || 11,171표 || 4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5.82%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마미야 세이스케 || 1,975표 || 5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1.0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91,845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기후현 제1구}}}}}}'''[br]{{{#fff 기후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노다 세이코]]''' || '''92,717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1.42%'''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아사노 마코토 || 71,649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9.74%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키노시타 리츠코 || 15,95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8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0,317표 ||<|2> '''투표율'''[br]56.90% || || 선거인 수 ||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기후현 제1구}}}}}}'''[br]{{{#fff 기후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노다 세이코]]''' || '''96,985표'''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42.82%'''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사토 유카리(정치인)|사토 유카리]] || 81,189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5.85% || 비례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시바하시 마사나오 || 38,349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16.93%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가와 사토루 || 9,970표 || 5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4.4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6,493표 ||<|2> '''투표율'''[br]70.45% || || 선거인 수 || 325,014인 || 우정민영화에 반발해 자민당을 탈당한 노다 세이코 의원이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자민당 후보로 당선된 사토 유카리 후보는 이후 지역 기반을 [[도쿄 5구]] > [[오사카 11구]]로 옮긴다.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기후현 제1구}}}}}}'''[br]{{{#fff 기후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시바하시 마사나오''' || '''111,987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0.03%'''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노다 세이코]] || 99,500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4.45%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스즈키 마사노리 || 9,83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4.39%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오자와 가즈에 || 2,508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1.1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3,827표 ||<|2> '''투표율'''[br]69.99% || || 선거인 수 || 325,039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기후현 제1구}}}}}}'''[br]{{{#fff 기후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노다 세이코]]''' || '''90,164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9.93%'''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시바하시 마사나오 || 54,254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0.54% || 낙선 || ||<|2> [[일본 미래당|[[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width=50]]]] || 카사하라 타미코 || 21,294표 || 3위 || || [include(틀:일본 미래당)][* [include(틀:신당대지)] 추천] || 11.7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스즈키 마사노리 || 12,687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03%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노하라 노리코 || 2,179표 || 5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1.2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0,578표 ||<|2> '''투표율'''[br]57.90% || || 선거인 수 || 323,652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기후현 제1구}}}}}}'''[br]{{{#fff 기후시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노다 세이코]]''' || '''82,434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7.45%'''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요시다 리에 || 38,402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6.76%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스가 시즈카 || 22,647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5.7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3,483표 ||<|2> '''투표율'''[br]46.04% || || 선거인 수 || 322,480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기후현 제1구}}}}}}'''[br]{{{#fff 기후시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노다 세이코]]''' || '''103,453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64.51%''' || '''당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요시다 리에 || 43,688표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7.24%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핫토리 다이스케 || 8,113표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5.06%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노하라 노리코 || 5,124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3.1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0,378표 ||<|2> '''투표율'''[br]50.48% || || 선거인 수 || 328,524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기후현 제1구}}}}}}'''[br]{{{#fff 기후시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노다 세이코]]''' || '''103,805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62.54%'''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50]]]] || 가와모토 게이스케 || 48,629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기후현 연합 지지] || 29.30%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야마코시 도루 || 9,84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93% || 낙선 || ||<|2><#b0b0b0> {{{+3 {{{#fff '''改革'''}}}}}} || 쓰치다 마사미쓰 || 3,698표 || 4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b0b0b0, 여백=2px 4px, 곡률=3px,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개혁미래당)] || 2.2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5,978표 ||<|2> '''투표율'''[br]52.31% || || 선거인 수 || 326,022인 || [youtube(BdWDWAhI9pI)] 현역 자민당 노다 세이코 의원이 재출마한다. 이번 총선에서 당선되면 10선 의원이 된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은 [[와세다대학]]을 졸업했고 증권회사 회사원 출신인 가와모토 게이스케 지역구 지부장을 공천했다. 올해 10월에 만 30세가 되는 젊은 정치인이다. [[일본 공산당|공산당]]은 정당인인 야마코시 도루 후보를 공천했다. 바둑기사 9단인 쓰치다 마사미츠씨도 제파 후보로 출마한다.[[https://ja.wikipedia.org/wiki/%E5%9C%9F%E7%94%B0%E6%AD%A3%E5%85%89|#]] 자민당의 [[노다 세이코]] 후보가 손쉽게 승리, 10선 의원이 되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선거구가 조정되면서 기후시 전체가 관할될 예정이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기후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