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uby(岐, ruby=ぎ)][ruby(阜, ruby=ふ)][ruby(羽, ruby=は)][ruby(島, ruby=しま)]駅[br]Gifu-Hashima Station'''}}} ||<-3> {{{#!wiki style="margin: -0px -5px;" [[JR 도카이|[[파일:JRC_Wlogo.svg|height=50&align=left]]]]}}}[[JR 도카이|{{{#fff JR 도카이}}}]][br]'''{{{#fff {{{+2 기후하시마역}}}}}}'''|| || [[도쿄역|{{{#000000,#e5e5e5 {{{#!html
도쿄 방면
}}}}}}]][[나고야역|나고야]][br]← 30.3 km || [[도카이도 신칸센|[[파일:JRC-SKS.svg|height=20]]{{{#ffffff {{{#!html
도카이도 신칸센
}}}}}}]] || [[신오사카역|{{{#000000,#e5e5e5 {{{#!html
신오사카 방면
}}}}}}]][[마이바라역|마이바라]][br]49.6 km → || ||<-3> [[신하시마역|[[파일:MT-TH.svg|width=25]] 메이테츠 하시마선으로 갈아타기]] || ||<-3> [include(틀:지도, 장소=岐阜羽島駅, 너비=100%, 높이=300px)] || ||<-3> '''주소''' || ||<-3> [[기후현]] 하시마시 후쿠즈초 히라카타 645-1[br](岐阜県羽島市福寿町平方645-1) || ||<-3> '''역 운영기관''' || || [[도카이도 신칸센|{{{#ffffff 도카이도 신칸센}}}]] ||<-2> [[JR 도카이|[[파일:JR 도카이 로고.svg|width=180]]]] || ||<-3> '''개업일''' || ||<-3> 1964년 10월 1일 || ||<-3> '''노선거리표''' || || [[도쿄역|{{{#000000,#e5e5e5 {{{#!html
도쿄 방면
}}}}}}]][[나고야역|나고야]][br]← 30.3 km || '''[[도카이도 신칸센]]'''[br]기후하시마 || [[신오사카역|{{{#000000,#e5e5e5 {{{#!html
신오사카 방면
}}}}}}]][[마이바라역|마이바라]][br]49.6 km → || || [[파일:external/www.agui.net/jrcsta-gifuhashima-4r.jpg|width=100%]] || 기후하시마역([[http://www.agui.net/tasya/jrc/jrcsta-gifuhashima-all.html|출처]])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기후현]] [[하시마시]]에 있는 [[JR 도카이]] [[도카이도 신칸센]]의 역이다. 바로 옆에 있는 [[신하시마역]]에서 [[메이테츠 하시마선]]을 이용할 수 있다. 기후현 유일의 신칸센 역으로, 이 지역 출신의 거물 정치인이었던 오오노 반보쿠(大野伴睦)[*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의 창립멤버 역할을 하였고,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 자민당 부총재, [[중의원]] 의장등을 역임하였다. 자민당 2대 부총재를 역임하던중 1964년 5월에 돌연 뇌경색을 일으켜 사망하면서, 그가 기여한 기후하시마역의 개업과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은 못보고 가게 되었다.]가 이 역이 세워지는 데 큰 역할을 하여 '정치역'이라고도 불린다. 일종의 [[핌피]]. 실제로 이 역 앞에 오노 부부의 동상이 서 있다. [[파일:external/blogimg.goo.ne.jp/d6a3f4014dc9add1c7c1be117847793b.jpg|width=400px]] [[http://blog.goo.ne.jp/sa194520131207/e/b567f56dbaa88391493e4676384dd0b2]] 반면 신칸센 통과지역 중 기후현만 정차 없이 지나갈 수도 없는 노릇이고, [[기후역]]을 경유하면 경로가 훨씬 돌아가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나름의 최적안이라고 볼 수도 있다. 또한 도카이도 신칸센이 겨울에 적설량이 많은 세키가하라 지역을 통과하여 유사시 근처에 열차를 세워둘 거점이 필요하고, 앞뒤 역인 나고야 - 마이바라 사이가 79.9km로 길기 때문에 유사시 대피역 기능도 부여되어 있다. (수요도 얼마 없는데 통과선까지 6선이 구비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나름의 필요성은 있다는 주장도 있다. 오노 반보쿠는 그 뒤 뒷말 안나오게 중재를 잘 했다는 평가.[* 예를 들어 이카리 요시로의 '고속철도로 가는 길' (超高速に挑む―新幹線開発に賭けた男たち。) 같은 책에도 소개되어 있다.] 중요한 역은 아니라 그런지 이 역에는 [[히카리(열차)|히카리]]가 일부만 정차한다. 신칸센을 타고 [[기후시|기후]] 시내에 간다면 이 역에서 내리는 것보다 [[나고야역]]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낫다. 나고야역에서 JR 쾌속열차를 타면 18분만에 [[기후역]]에 도착하는데, 이 역에서 나고야 철도를 타면 [[메이테츠기후역]]까지 30분 정도 걸린다. 역 주변은 하시마의 시가지이지만, 끝자락에 닿아 있다. [[토요코인]]이 있다. 2015년 11월 20일 역에서 좀 떨어진 거리에 [[코스트코/일본|코스트코]] 기후 하시마점이 개장했다. 참고로 사람이 더럽게 많다. 위치가 기후현 밑쪽이라서 기후현, [[아이치현]], 그리고 근처에 있는 기후하시마IC(岐阜羽島IC)를 이용하여 [[미에현]], [[시가현]] 등의 타 지방에서 많이 온다. == 역 및 승강장 구조 == 2면 6선식 승강장이다. 쌍섬식 승강장 가운데에 통과선이 부설되어있는 형태. 평일에는 1·2번 승강장만 사용한다. 또한 승강장에는 아무것도 없다. 히카리가 이 역에서 5분간 대기하며 노조미 2대를 보내는데, 이때 뭐라도 사 먹으려고 승강장에 나가는 사람들이 있지만 대개 허탕을 치고 돌아온다. 승강장에는 키오스크 그런 거 없고 음료수 자판기 딸랑 두 대 뿐이다. 이 역 승강장 구조가 같은 역이 [[후쿠시마역(후쿠시마)]] 이다. ||<-10> ↑ [[나고야역|나고야]] || || ㅣ || {{{#ffffff 0}}} || {{{#ffffff 1}}} || ㅣ || ㅣ || ㅣ || ㅣ || {{{#ffffff 2}}} || {{{#ffffff 3}}} || ㅣ || ||<-10> [[마이바라역|마이바라]] ↓ || || {{{#ffffff 0·1}}} ||<|2>[[파일:JRC-SKS.svg|width=17]] [[도카이도 신칸센]]|| 상행 ||[[나고야역|나고야]] · [[시즈오카역|시즈오카]] · [[신요코하마역|신요코하마]] · [[도쿄역|도쿄]] 방면|| || {{{#ffffff 2·3}}} || 하행 ||[[교토역|교토]] · [[신오사카역|신오사카]] · [[하카타역|하카타]] 방면|| [[분류:일본의 철도역]][[분류:196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도카이도 신칸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