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공군 비행단 예하 전대)] [목차]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yc-j.kr/2862_2878_1545.jpg|]]}}}|| || [[제16전투비행단]]의 [[군사경찰]]들 || * 한자: 基地防護戰隊 * 영어: Base Protection Group(대한민국 공군)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공군]]의 부대. 하는 일은 [[기지방호]]를 하는 일이다. 해군이나 공군은 육군처럼 포스트([[진지]])를 옮겨 가며 싸울 수가 없어서 존재하는 조직이다.[* 육군에서 매점을 PX(Post Exchanger)라 하는 것과 달리 공군이 매점을 BX(Base Exchanger)라 부르는 것도 이 때문. 해군의 경우 약자는 육군과 동일하지만 P가 Post가 아닌 Port, 즉 항구를 의미한다.(Port Exchanger) 문맥상 의미는 공군과 동일.] 공군에서는 [[기지방호전대|기지지원전대]]로 불렸으나 조직 개편을 통해 말 그대로 지원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대대(정보통신대대, 수송대대 등)들은 따로 [[작전지원전대]]로 독립시켰고, 기지방호에 관련된 대대만 남기면서 이름을 바꿨다. [[대한민국 육군]]도 파병 등으로 임시로 기지를 세울 경우에 기지사령관을 두기도 한다. [[대한민국 육군]]은 이것과 아주 약간 유사한 개념의 부대로 각종 기행부대의 [[경비중대]]가 있다. 다만, 기행부대도 여차하면 부대이동할 수 있기에 개념 자체는 공군, 해군과는 사뭇 다르다. == 구성 == === [[대한민국 해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기지전대)] === [[대한민국 공군]] === [[대한민국 공군]]의 경우 [[비행단]] 소속으로 [[비행전대]](또는 항공작전전대)와 [[항공정비전대]] 및 [[작전지원전대]] 등과 함께 비행단을 구성한다. [[전대장]]은 보통 조종 특기 [[대령]]이 보임된다. 비행단이 아닌 비행전대가 부대단위일 경우에는 기지대대가 되며 부대단위가 대대, 포대 등이 되면 기지중대로 격하된다. 육군의 [[기행부대]]와 정의는 좀 다르지만 성격이 비슷하다. [[의무부대|의무대]]는 기지대 소속이 아니라 독립된 부대이다. 보통 단본/정보/의무/군종 이런 식으로 단본부 쪽에 묶이는 편. 구성은 보통 아래와 같다. 기지대로 격하될 경우엔 OO대대는 OO중대, 기지중대[* [[포대]]나 [[레이더 사이트]]가 해당된다. 기지 전체 인원이 보통 100명을 조금 넘는 수준.]로 격하되면 OO반으로 내려간다. *운영과 *기지방호작전과(이하 기작과): 육군의 사단본부에 있는 지휘통제실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단, 항공과 관련된 부분은 항공작전과에서 담당하고 있다. 공군은 특성상 작전과가 두 개인데, 항공작전과와 기지방호작전과. 따라서 기작과는 지상을 담당한다. 특히 전투지휘검열이나 전투태세훈련때 방송으로 지시를 내리는 곳, 훈련 일정을 짜고 각 부서들 관리하는 곳, 기지 방호나 경계 작전을 통제하는 곳, 그리고 재난 시나 화생방 상황 시에 총괄하는 곳이 이 부서이다. 보통 과장은 군사경찰 대위~소령이 담당하며[* 보통 대위가 맡았으나, 지상작전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점차 계급을 소령에서 중령까지 올리고 있는 추세다.] 조종장교가 선임장교[* 그러나 부대에 따라서는 군사경찰 특기가 맡는 경우도 제법 되며, 방호전대 산하의 대공방어대에서 온 방공특기 장교가 맡기도 한다.], 이하에 공병장교(재난, 화생방담당), 군사경찰장교(기지방어) 1명씩 배치되어있다. 그 외에는 이들 장교들을 지원하는 부사관들과 작전병들이 편제되어 있다. *[[국군 군사경찰|군사경찰대대]]: 기지 내의 치안 유지/비행단의 경계 업무를 맡으며 만약에 적이 침범할 경우에 활주로를 지켜야 하기 때문에 [[공군]]임에도 각종 [[기관총]][* 부대 사정에 따라 7.62mm M60이나 5.56mm K3 중 하나, 12.7mm K6중기관총이 배치된다.]과 [[수류탄]][* 평시에 지급되는 경우는 없다. 썼다간 활주로를 박살낼 위험이 있기 때문에 거의 쓰지 않는다고 보는 쪽이 맞는데 그러면서 희한하게도 40mm 고폭유탄은 소대마다 배치되어 있다.], '''[[장갑차]]'''까지 운용한다. 원래는 경비중대 소속인 장갑차소대를 기동소대로 개칭 후 경비중대로부터 분리시켜 기동중대를 운용하는 부대도 많다. 군사경찰대대 특수임무반은 일반 군사경찰과는 다른 검은색 옷을 입는다. 공군군사경찰이 공군 내의 [[육군]]이란 얘기를 듣는 이유.[* 군사경찰 장갑차까지 차량 전반에 대한 업무를 담당한다. 그리고 정비 및 주유까지 담당한다. 정확히는 정비 및 주유가 필요한 경우 수송대대에 정비나 주유를 신청하는 수준에서 그친다.] 인원도 일반적으로 가장 많다. 지휘관은 중령. *대공방어대: 단거리 방공 임무를 담당한다. 한마디로 간이[[포대]]다. 비행단에 따라 군사경찰대대 산하에 들어가기도 한다. 보통 지상 배치 발칸이나 [[신궁]] 등의 단거리 지대공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 다만, 어디까지나 단거리 방공 임무를 담당하기에 실질적인 기지 방공은 적 항공기를 상대하는 [[항공작전전대]]와 적 항공기 및 탄도/순항미사일을 방어하는 비행단 파입 [[패트리엇]] 등의 지대공미사일 포대가 맡는다. 지휘관은 대위~소령. *공병대대: 2019년 7월부로 시설대대에서 공병대대로 이름이 바뀌었다. 기지 시설물 관리 및 활주로 피해 복구, 항공소방 업무 등을 담당한다. 아무래도 군인한테 전문적인 시설물 관리를 맡기기가 어렵기 때문에 [[대한민국 군무원]]과 민간 외주업체의 비중이 높다. 건설, 유지보수, 기지 환경미화, 소방 등등을 담당하기에 군사경찰과 함께 끗발이 있는 편. 다른 곳은 중대장이 소위~대위인 장교인 데 비해 공병대대의 일부 중대는 준위가 중대장을 맡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는 소방중대인데, 중대장을 소방특기 준위가 맡는다. 대대의 지휘관은 중령. *화생방지원대: [[제독]]이나 화생방물자 관리, 화생방 교육등을 담당한다. 일년에 한~두 번씩 인기가 급증하는 부서이다.[* 화생방훈련 할 때가 다가오면 사람들이 급친절해진다. [[http://cruelmrk.blog.me/60065905360|옛날 옛적 교육사 얘기]]도 있다만 요즘은 자대에서 가스실습할 때 방독면을 안벗기고, K5 신형방독면은 정화통이 2개일뿐더러 하나 떼면 자동 밀폐되어 가스가 원천적으로 안들어온다. 더 심하면 이론평가만으로 끝날 수도 있다.] 지휘관은 대위. 타 부서 대비 지휘관 계급이 제일 낮은편이라 아무래도 불리한 상황이 자주 생긴다. == 여담 == 공군의 경우, 각 [[대대장]]들은 해당 병과의 인원이 맡지만 전대장은 [[조종]] 특기들이 맡는 경우가 많다. 공군의 조종은 육군의 [[보병]], 해군의 [[항해]]와 같은 위치의 전투병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평소엔 기지방호전대에서 근무도 안 하고 비행기만 몰다가 대령 때 넘어와서 잘 알지도 못 한다고 불만을 갖는 기지방호전대원들도 있다. 조종 특기를 제외하면 공병 특기나 군사경찰 특기 대령이 보임될 수 있지만 그런 경우는 모든 비행단에서 한 사람 정도일 만큼 매우 드물다. 비행단 내에서 인원이 제일 많은 곳이기도 하다. [[비행전대]](장교 위주)나 [[항공정비전대]](기술부사관 위주)의 인원이 적고 기지방호전대에 공군병들의 대다수가 있기 때문. 진급이 더딘 기술특기가 아닌 부사관들도 많고 [[진급 상한선]]이 대령이 한계인 조종, 정비 특기외의 [[장교]]들이 밀집해있다. 즉 규모는 가장 큰데 [[진급]]은 안 되는 사람들의 모임. 그래서 이곳 소속 준사관들은 끝판왕 수준이고, [[장포대]]도 많아서 잘못하면 험난한 군생활이 전개되는 곳이기도 하다. --애초에 인원의 대다수가 군사경찰과 공병인 것만 봐도 답 나온다-- 간혹 [[항공정비전대]]가 없는 [[기행부대]]들의 경우에는 기지방호전대 및 작전지원전대에 들어가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공군교육사령부]]. [[분류: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