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목차] == 원작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MagicGateofMiracles-JP-Anime-MOV2.jpg]] || 한글판 명칭 ||'''기적의 매직 게이트'''|| || 일어판 명칭 ||'''[ruby(奇跡, ruby=きせき)]のマジック・ゲート'''|| || 영어판 명칭 ||'''Magic Gate of Miracles'''|| |||| 일반 마법 || ||||자신 필드 위에 마법사족 몬스터가 2장 이상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공격 표시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하고, 그 컨트롤을 얻는다. 이 효과로 컨트롤을 얻은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극장판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에서 [[어둠의 유우기]]가 사용한 카드. [[패러독스(유희왕)|패러독스]] 필드의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컨트롤을 빼앗았다. 컨트롤을 빼앗은 동시에 패러독스의 스타더스트가 소멸했기 때문에 필드를 떠나도 멀쩡히 스타더스트는 유세이의 카드로서 사용되었다. 극장판에선 전투로 파괴되지 않는 효과가 설명이 되지 않아서, 패러독스의 플레잉이 좋지 않게 평가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 OCG == [[파일:20TH-JPC11.jpg]] || 한글판 명칭 ||'''기적의 매직 게이트'''|| || 일어판 명칭 ||'''[ruby(奇跡, ruby=きせき)]のマジック・ゲート'''|| || 영어판 명칭 ||'''Magic Gate of Miracles'''|| |||| 일반 마법 || ||||①: 자신 필드에 마법사족 몬스터가 2장 이상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수비 표시로 한다. 그 후,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얻는다. 이 효과로 컨트롤을 얻은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극장판이 나오고 한참 뒤에 OCG화. 공격 표시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바꾸는 것 때문에 수비 표시의 개념이 없는 [[링크 몬스터]]의 컨트롤을 탈취할 수 없는 건 아쉽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래도 텍스트가 "고르고"라서 대상 비지정 컨트롤 탈취라 어지간하면 이 효과를 못 피해가는 게 장점. 마법사족 테마인 [[얼터가이스트]]나 [[마술사(유희왕)|마술사]]와 시너지가 있을 듯하지만, 얼터한테는 범용성이 더 뛰어난 [[대대적 체포작전]]이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20th ANNIVERSARY LEGEND COLLECTION|레전드 컬렉션]] || LEC1-KR011 || [[시크릿 레어]][br][[울트라 레어|울트라]] [[패러렐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20th ANNIVERSARY LEGEND COLLECTION]] || 20TH-JPC11 || [[시크릿 레어]][br][[울트라 레어|울트라]] [[패러렐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Duel Power || DUPO-EN019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