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ffcc00 '''연도구분'''}}} || || [[기원전 481년]] || {{{+1 ← }}} || '''기원전 480년''' || {{{+1 → }}} || [[기원전 479년]] || ||<-5> {{{#ffcc00 '''연대구분'''}}} || || [[기원전 490년|기원전 490년대]][* 5세기 499 ~ 490년경 BCE] || {{{+1 ← }}} || '''기원전 480년대''' || {{{+1 → }}} || [[기원전 479년|기원전]] [[기원전 470년|470년대]] || ||<-5> {{{#ffcc00 '''세기구분'''}}} || || [[기원전 6세기]] || {{{+1 ← }}} || '''[[기원전 5세기]]''' || {{{+1 → }}} || [[기원전 4세기]] || ||<-5> {{{#ffcc00 '''밀레니엄구분'''}}} || ||<-2> '''[[기원전]]''' || {{{+1 ← }}} ||<-2> [[제1천년기]] || ||<-2> {{{#ffcc00 '''세계 각 지역의 표기'''}}} || || [[서력기원|서기]] || 기원전 480년 || || [[단군기원|단기]] || 1854년 || || [[불멸기원|불기]] || 65년 || || [[황기]] || 181년 || || [[갑자|간지]] || [[경신]]년~[[신유]]년 || || [[히브리력]] || 3281년 ~ 3282년 || [목차] == 사건 == === 실제 === * [[8월]] * 아르테미시움에서 [[페르시아 제국]]군이 그리스의 수군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페르시아 제국군이 [[스파르타]]군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스파르타의 왕 [[레오니다스 1세]]는 이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레오니다스 1세를 이어 그의 아들인 [[플레이스타르코스]]가 스파르타의 왕이 되었고 파우사니아스가 그를 보필하였다. 한편 페르시아 제국은 테르모필레 전투에서의 승리 이후 아티카를 점령하였다. * [[아테네]]의 정치가 아리스티데스와 [[크산티푸스]]가 페르시아 제국에 맞서 싸우기 위해 유배 생활을 청산하고 돌아왔다. * [[9월 21일]] - 페르시아 제국이 아테네를 공격하면서 아테네의 시민들이 살라미스로 피난을 떠났다. * [[9월 22일]] - [[살라미스 해전]]에서 에우리비아데스와 [[테미스토클레스]]가 이끄는 아테네군이 페르시아 제국군을 상대로 큰 승리를 거두었다. 이 전투에서 페르시아 제국군은 최소 200척이 넘는 많은 함선을 잃게 되었다. 결국 페르시아 제국의 왕 [[크세르크세스 1세]]는 마르도니오스에게 군대를 맡긴 뒤 곧바로 철수하였다. * 로마군이 베이인을 상대로 승리하였으나 집정관 둘을 잃었다. * [[아테네]] [[아크로폴리스]]에서 조각상 Kritios Boy가 만들어졌다. * [[제나라]]의 재상 전상이 [[노나라]]에게 앗아갔던 땅을 돌려주었다. * 크세르크세스 1세가 [[카르타고]]를 설득하여 [[시칠리아]]에 있는 그리스인들을 공격하도록 하였다. 카르타고의 하밀카르는 시칠리아에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왔으나 히메라에서 [[시라쿠사]]의 참주 [[겔론 1세]]를 상대로 패하여 목숨을 끊었다. == 탄생 == === 실제 === * [[안티폰]] : [[고대 그리스]]의 웅변가 * [[에우리피데스]] : 아테네의 비극 작가 * [[에즈라]] * [[필롤라오스]] :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철학자 == 사망 == === 실제 === * [[8월]] - [[레오니다스 1세]] : 스파르타의 왕 * [[자로]] : [[노나라]]의 정치가 * [[크세노파네스]] :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시인, 비평가 * 하밀카르 : 카르타고의 장군 [[분류: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