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영국과 영연방 왕국의 국왕으로 캐나다 퀘벡주에서 기욤 4세로 불리는 인물, rd1=윌리엄 4세)] [include(틀:역대 룩셈부르크 대공)] ||<-2> '''룩셈부르크 대공[br]{{{+1 기욤 4세}}}[br]Wëllem IV., Groussherzog vu Lëtzebuer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lliam_IV_Grand_Duke_of_Luxembourg.jpg|width=100%]]}}} || || '''이름''' ||기욤 알렉상드르 드 나사우[br](Guillaume Alexandre de Nassau)|| || '''출생''' ||[[1852년]] [[4월 22일]][br][[나사우]] 공국 비브리히 성|| || '''사망''' ||[[1912년]] [[2월 25일]] (59세)[br][[룩셈부르크]] 베르크 성|| ||<|2> '''재위''' ||<#E7E7E7,#1F2023>[[룩셈부르크 대공]]|| ||[[1905년]] [[11월 17일]] ~ [[1912년]] [[2월 25일]]|| || '''배우자''' ||포르투갈의 마리아 아나 공주 ,,(1893년 결혼),,|| || '''자녀''' ||[[마리아델라이드]], [[샤를로트(룩셈부르크)|샤를로트]], 힐다, 안토니아, 엘리자베트, 소피|| || '''아버지''' ||[[아돌프(룩셈부르크)|아돌프]]|| || '''어머니''' ||안할트데사우의 아델하이트 마리|| || '''형제''' ||힐다|| [목차] [clearfix] == 개요 == [[나사우 가문|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의 2대 [[룩셈부르크 대공]]. == 생애 == 아버지 [[아돌프(룩셈부르크)|아돌프]]가 [[독일 연방]] [[나사우]] 공국의 공작이던 시절에 태어났다. 하지만 나사우 공국이 [[1866년]]에 일어난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 제국]]을 지원했다가 [[프로이센 왕국]]의 눈 밖에 나 오스트리아가 패전한 이후 프로이센 왕국에게 흡수, 멸망 당하면서 12살 나이에 모국을 잃었다.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에서 복무했다. 1884년, 네덜란드의 왕세자 겸 룩셈부르크의 대공세자였던 알렉산데르 왕세자가 사망하자 [[네덜란드 국왕]]이자 [[룩셈부르크 대공]]이었던 [[빌럼 3세]]에겐 적자인 아들이 단 한 명도 남지 않았다. 이로 인해 빌럼 3세는 살리카법이 적용되는 룩셈부르크 대공위를 딸인 [[빌헬미나 여왕|빌헬미나]]에게 물려줄 수 없게 되자[* 네덜란드 왕위는 살리카법이 적용되지 않아 순조롭게 물려받을 수 있었다.], 자신의 37촌 조카[* 이 부분 세계 신기록이다.]인 기욤 4세의 아버지 아돌프 공이 어부지리로 추정상속인이 되면서 [[1888년]]에 전역했다. [[1890년]] 부친이 룩셈부르크 대공위를 승계하면서 38살에 대공세자가 되었다. 이후 [[1893년]]에 [[포르투갈 왕국]]의 국왕 [[미겔 1세]][* [[포르투갈 내전]]에서 패해 쫓겨났다.]의 딸 마리아 아나와 결혼했다. 본래 아돌프 대공과 기욤 4세가 속한 [[나사우 가문|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은 [[개신교]] 신자로, 당장 기욤 4세 본인도 개신교도였다. 하지만 아버지 아돌프 대공이 새로 대공위를 승계한 [[룩셈부르크]] 국민들은 거의 대부분이 [[가톨릭]] 신자였다. 이로 인해 룩셈부르크의 후계자인 기욤이 가톨릭 왕가에서 신부를 들이고, 그 사이에서 태어난 후계자도 가톨릭 신자로 키우기로 합의했다. 문제는 마리아 아나와 결혼한 이후 태어난 자녀 6명이 모두 딸이었다. [[1905년]]에 아버지 아돌프 대공이 서거하자 그의 뒤를 이어 룩셈부르크 대공이 되었다. 하지만 당시 다른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 구성원들은 사망하거나 귀천상혼한 인원들밖에 남지않게 되었고, 기욤 4세 역시 부인 마리아 아나와의 사이에서 아들을 새로 낳을 희망도 없었다. 결국 기욤 4세는 귀천상혼으로 파생한 가문인 메렌부르크 백작가(Graf von Merenberg)[* 이 가문도 1965년에 남계가 단절된다.] 대신에, 망국의 군주였던 자신의 아버지를 룩셈부르크 대공으로 만들어 준 살리카법을 폐지하고 [[1907년]]에 맏딸 [[마리아델라이드]]를 후계자로 정했다. 하지만 메렌부르크 백작가가 룩셈부르크 대공위를 계승하지 못한 결정적 원인은 메렌부르크 백작의 아내 나탈리아 푸쉬키나 때문이였다. 푸쉬키나라는 성씨에서 짐작하겠지만, 나탈리아는 바로 흑인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딸이었다. 즉, 메렌부르크 백작가로 대공위가 넘어가면 흑인 혼혈이 대공이 되는 사태가 벌어지는 것이었다.[* 말이 그렇다는 것이지 나탈리아 푸쉬키나의 흑인 피는 1/8이었다. 따라서 메렌부르크가에서 나올 '흑인 혼혈 대공'의 흑인 피는 1/16이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메렌부르크 백작가가 대공위를 계승하지 못한 것이다. 게다가 나탈리아의 집안은 러시아에서 [[남작]]보다 아래로 취급되는 dvoryanin으로 순혈 유럽인이라도 대를 이은 [[귀천상혼]]으로 판명되었을테니 그들의 후손이 대공위를 계승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1908년]]부터 병이 악화되어 대공비 마리아 아나를 섭정으로 세웠으며,[* 이때는 마리아델라이드가 아직 미성년자였다.] [[1912년]]에 서거하면서 맏딸 [[마리아델라이드]]가 대공위를 이었다. == 여담 == * 현재까지의 룩셈부르크 대공들 중 재위 중에 사망한 마지막 대공이다.[* 마리아델라이드 - 생전 퇴위, 샤를로트 - 생전 퇴위, 장 - 생전 퇴위, 앙리 - 2023년 현재 재임 중] * 역대 룩셈부르크 대공들 중 나무위키에 마지막으로 등재되었다. * [[바이에른 왕국]]의 국왕 [[루트비히 2세(바이에른)|루트비히 2세]]와 그 사촌인 [[루트비히 3세]][* 루트비히 2세와 루트비히 3세의 할머니 작센힐트부르크하우젠의 테레제([[루트비히 1세(바이에른)|루트비히 1세]]의 왕비)가 기욤 4세의 할머니 나사우 공작부인 루이제의 언니다.][* 기욤 4세의 4녀 안토니아는 루트비히 3세의 장남 [[루프레히트 폰 바이에른]]의 두번째 부인이다. 즉, 안토니아와 루프레히트는 8촌 지간.],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로마노바|그리스의 올가 왕비]][* 올가 왕비의 외조부인 [[작센알텐부르크]] 공작 요제프가 기욤 4세의 할머니 루이제, 루트비히 2세와 루트비히 3세의 할머니 테레제의 오빠다.]와 6촌간이다. [[분류:룩셈부르크 대공]][[분류: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분류:1852년 출생]][[분류:191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