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마트 밴드]][[분류:삼성 기어]] [include(틀:삼성 기어 시리즈)] ||<-2> [br] {{{#000,#fff {{{+5 '''Gear Fit''' }}}}}} [br] {{{#000,#fff {{{-3 '''SM-R350''' }}}}}} [br] [br] || ||<-2> [[파일:SGearF_1.jpg|width=50%]] || ||<-2> [[http://www.samsung.com/sec/support/model/SM-R3500ZKALUO|{{{#ffffff 한국 삼성전자 SM-R350 고객지원 사이트}}}]] || [목차] == 개요 == [[삼성전자]]가 2014년 2월, [[MWC]] 2014에서 공개한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 사양 == ||[[SoC|프로세서]]||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STM32F439 [[SoC]]. [[ARM Cortex-M 시리즈|ARM Cortex-M4]] 180 MHz [[CPU]] || ||[[메모리]]||16 MB flash memory || ||[[디스플레이]]||1.84인치 [[해상도/목록|432 x 128]] S-Stripe RGB 서브픽셀 방식의 [[삼성D]] Curved Super [[AMOLED]][br]정전식 [[터치 스크린]] || ||근접통신||[[블루투스]] 4.0+LE || ||[[카메라]]||미탑재 || ||[[배터리]]||내장형 Li-Ion 210 mAh / 평균 사용 시간 3~4일, 최대 사용 시간 7일 || ||[[운영체제]]||[[삼성전자]] 자체 빌드 웨어러블 전용 RTOS[* Real Time OS 실시간 운영체제] || ||규격||57.4 x 23.4 x 11.95 mm, 27 g || ||색상[*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블랙''', '''그레이''', '''와일드 오렌지''', 블루, 그린, 레드 || ||단자정보|| || ||기타||IP67 등급 방수 방진 지원, 심장 박동 인식 센서 내장 || == 상세 == [[갤럭시 S5]]가 공개된 '삼성 모바일 언팩 2014 에피소드 1'에서 추가로 공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다. [[삼성 기어 2 시리즈|기어 2와 기어 2 Neo]]가 종합적인 [[스마트 워치]]를 표방한다면, 이쪽은 [[갤럭시 S5]] 등 [[삼성전자]]의 기기 중 피트니스 특화 제품으로, Curved [[AMOLED]] 디스플레이가 사용됨으로써 팔목에 달라붙은 듯한 안정적인 느낌을 전해준다고 한다. 화면도 가로가 길쭉한 형태로 이루어져있다. 자이로와 심박 측정, 가속도 센서가 들어가 있지만, 카메라와 스피커, 마이크는 지원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기어 핏을 이용한 전화통화 및 S보이스를 이용한 문자 작성 및 전송 기능은 제공되지 않고 단순히 알림기능만 제공된다. 문자 메시지나 [[카카오톡]] 등의 SNS, 이메일의 경우 적혀있는 문자만을 볼 수 있으며, 이모티콘이나 그림 등은 볼 수 없다. 음성통화의 경우 발신자 번호까지는 나오지만 통화 버튼이 없고 끊기와 거절 메시지 전송 버튼만 있다. 메시지 전송 버튼이 일반적으로 통화 버튼이 있는 위치에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적절한 디자인과, 기존 [[스마트 워치]]와 다른 명확한 컨셉[* [[갤럭시 기어]]나 [[소니 모바일]]의 [[소니 스마트워치|스마트워치 시리즈]] 등 기존 제품들의 경우 기능을 많으나 어느 부분에 사용해야할지 모르겠다는 '''컨셉의 부재'''로 혹평을 받았었다. 반면, 기어 핏은 통화 기능을 제외한 대다수의 기존 [[스마트 워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서 방수 방진 기능에 심장 박동 인식 센서를 내장하는 등 피트니스에 특화되어 있다는 명확한 컨셉을 가지고 있다.]을 가지고 있어 공개 당시에도 호평을 받았으며, 정작 메인 모델이라 할 수 있는 기어 2를 누르고 [[MWC]] 2014의 최고 모바일 제품상을 수상했다. ~~정작 가장 중요한 [[갤럭시 S5]]는 묻혔다.(...)~~ 본체를 분리해 별도로 구매한 다른 스트랩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메탈 스트랩도 존재한다. 한국 출고가는 [[삼성 기어 2 네오]]와 동일한 242,000 원이다. [[핏빗]]에는 못 미치는 동작 감지 센서 등의 단점도 있다. 하지만, [[AMOLED]]를 탑재했기에 TFT-LCD를 사용한 경쟁 기기보다는 색상 발색이나 배터리 효율에서도 우위를 차지하는 반면 e-ink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비해 배터리 효율은 떨어지는편이다. 또한, 기능적인 부분에서도 충실하다 평가를 받기도 했다. 즉, 이렇게 평가는 좋았지만, 시장에서는 딱히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하고 단종되었다. 후속 기기는 출시 2년이 지난 2016년 들어서 간간이 나오고 있다. 참고로 전원버튼이 쉽게 함몰된다. 사용시 유의바람. 폰과 기어핏을 연동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기어 시리즈와는 다른 삼성 기어핏 매니저라는 전용 앱이 필요했으나 현재는 갤럭시 웨어러블 앱에 모두 통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