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현대자동차그룹]] 편입 이전 == 초기에는 일본의 [[마쓰다]] 엔진을 가져다 썼으나, 해가 갈수록 개량해서 사용하거나 자체 개발을 하기에 이르렀다. === 마쓰다 기반 === * [[마쓰다 B형 엔진|B1]]: 1,139cc의 SOHC 엔진이다. 장착차종: [[기아 프라이드|프라이드]] * [[마쓰다 B형 엔진|B3]]: 1,324cc의 SOHC 엔진이다. 초기에는 프라이드에 달린 카뷰레터 사양만 존재했으나 이후 EGI 사양이 나오며 카뷰레터는 단종된다. 장착차종: [[기아 프라이드|프라이드]], [[기아 아벨라|아벨라]] * [[마쓰다 B형 엔진|B5]]: 1,498cc의 엔진이며 [[SOHC]]/[[DOHC]] 버전 둘 다 존재한다. 표기법은 SOHC는 B5, DOHC는 B5D 라고 한다. 장착차종: [[기아 캐피탈|캐피탈]][*고회전형], [[기아 세피아|세피아]], [[기아 아벨라|아벨라]] * [[마쓰다 F형 엔진|FE]]: 1,998cc의 86x86 스퀘어 타입 L4형 엔진. 초기형 포텐샤에만 쓰인 2.2리터 사양(형식명칭 F2)도 있었다.[* 자세한 스펙은 2,184cc 이며 기아차 최초의 실린더당 3개의 밸브가 있는 12밸브 [[SOHC]]엔진. 스트로크 사이즈만 92mm로 늘려 배기량을 2200cc급으로 올린 엔진이다.] 장착차종: [[기아 캐피탈|캐피탈]], [[기아 콩코드|콩코드]], [[기아 크레도스|크레도스]], [[기아 포텐샤|포텐샤]], [[기아 스포티지|스포티지]], [[군토나]] * [[마쓰다 J형 엔진|JE]]: 3리터급이며, 기아자동차가 엔터프라이즈에만 올린 3.6리터급 사양도 있었다. 장착차종: [[기아 포텐샤|포텐샤]], [[기아 엔터프라이즈|엔터프라이즈]] 이외에도 수출형 차량에만 들어가던 1.8L [[마쓰다 B8·BP 엔진|BP 엔진]]이나 [[기아 베스타|베스타]]나 여러 기아 상용차에 쓰이던 [[마쓰다 R형 엔진|로나 엔진]], [[마쓰다 퍼킨스 엔진|퍼킨스 엔진]] 등이 있다. === 자체개발/개량형 === * A5: 1,493cc의 엔진이며 [[기아 MI-TECH 엔진|MI-TECH]] 라는 서브네임이 붙는다. 1998년 7월 부터 1천6백억원을 들여 독자 개발한 엔진...이라고 주장하지만 네이밍에서 알 수 있다시피 B5의 개량형이다. 그러나 조금 더 롱스트로크 엔진이 되는 등 B5와는 성향이 다른 엔진이다. [[SOHC]]는 A5S, [[DOHC]]는 A5D로 표기. 장착차종: [[기아 스펙트라|스펙트라]], [[기아 리오|리오]] * [[T8D]]: 1,793cc의 DOHC 엔진. 기아자동차가 '''독자개발'''한 엔진으로써 당대 기아 엔지니어들의 똘끼가 돋보이는 엔진이다. 자세한건 항목 참조. 장착차종: [[기아 크레도스|크레도스]], [[로터스 엘란|엘란]][*고회전형], [[기아 카렌스|카렌스]], [[기아 스펙트라|스펙트라]] * [[로버 KV6 엔진|KV6]]: 기아자동차가 [[로버]]의 엔진을 라이센스 생산한 V6 가솔린 엔진이며, 2리터와 2.5리터 사양이 있다. 장착차종: 2.0 [[기아 크레도스]], 2.5 [[기아 카니발]], [[기아 포텐샤]] * [[기아 J 엔진|J]]: 2900cc의 디젤엔진이며 기아차 최초의 독자개발 디젤엔진이다. 자세한건 항목 참조. 장착차종: [[기아 카니발|카니발]], [[기아 봉고|봉고Ⅲ]], [[현대 테라칸]] == 현대자동차그룹 편입 이후[* 편입 이후에는 [[현대자동차]]의 엔진을 계속 사용 중이지만 슈퍼트럭 후기형, 메가트럭, 에어로타운 등에 적용된 [[히노 H형 엔진|KK 엔진]]과 2011년 10월까지 생산된 [[기아 J 엔진|J 엔진]]이 이에 해당된다.] == [include(틀:현대자동차그룹의 엔진)] [[분류:기아]][[분류:현대자동차그룹/엔진]][[분류:마쓰다/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