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소벤처기업부 산하기관)] [include(틀:기금)] ||<-2> {{{#ffffff '''{{{+2 기술보증기금}}}'''[br]技術保證基金[br]'''Ko'''rea '''Tec'''hnology Finance Corporation ('''KOTEC''')}}} || ||<-2> [[파일:기술보증기금 로고.svg|width=100%]] || || {{{#ffffff '''설립일'''}}} ||[[1989년]] [[4월 1일]][* '기술신용보증기금'에서 '기술보증기금'으로의 사명 변경일은 [[2016년]] [[9월 30일]]이다.] || || {{{#ffffff '''업종명'''}}} ||보증 보험업 || || {{{#ffffff '''주무 기관'''}}} ||[[중소벤처기업부]][* [[금융위원회]] 산하 기관이었으나 [[중소기업청]]이 [[중소벤처기업부]]로 승격함에 따라 주무 기관이 변했다.] || || {{{#ffffff '''기업 분류'''}}}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 ||<|2> {{{#ffffff '''소재지'''}}} ||'''본사''' - [[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 [[문현금융로]] 33[br]'''인재개발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수정로 6번길 43 [br]'''중앙기술평가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매헌로]] 16, 11층 || ||{{{#!folding 지역 본부 소재지 보기 '''서울'''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63로]] 50, 41층[br]'''인천''' - [[인천광역시]] [[연수구]] [[인천타워대로]] 323, B동 10층[br]'''경기'''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권광로]] 199, 9층[br]'''충청''' - [[대전광역시]] [[서구(대전)|서구]] 둔산서로 141, 2층[br]'''부산''' - [[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 [[문현금융로]] 33, 2층[br]'''대구'''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598, 10층[br]'''호남''' - [[광주광역시]] [[서구(광주)|서구]] [[죽봉대로]] 80, 6층 }}} || || {{{#ffffff '''관련 웹 사이트'''}}} ||[[http://www.kibo.or.kr|홈페이지]] [[http://www.imkibonojo.or.kr|노동조합]] || || {{{#ffffff '''공식 소셜 미디어'''}}} ||[[https://www.facebook.com/KIBObb|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15]] 페이스북]] [[https://www.instagram.com/techkibo|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15]] 인스타그램]]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echKibo, 크기=15)] 트위터 [[https://www.youtube.com/@user-ld1im8nc2v/|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유튜브]] [[https://pf.kakao.com/_MHKjj|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width=15]] 카카오스토리]] [[https://blog.naver.com/techkibo|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15]] 네이버 블로그]] || || {{{#ffffff '''관련 전화번호'''}}} ||대표 전화: {{{#274480 '''1544-1120'''}}}[br]인재개발원: {{{#274480 '''031-8020-9800'''}}}[br]중앙기술평가원: {{{#274480 '''02-2155-3754'''}}} || [목차] [clearfix] == 개요 == '''[[http://www.law.go.kr/법령/기술보증기금법|기술보증기금법]]''' 담보능력이 미약한 기업의 채무를 보증하게 하여 기업에 대한 자금 융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설립된 기관. (기술보증기금법 제12조)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txy8m8h7A)]}}}|| || {{{#white '''▲ 기술보증기금 홍보영상 (2022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파일:기술보증기금_HQ.jpg|width=100%]]}}} || || {{{#ffffff '''▲ 기술보증기금 본사 사옥''' ([[부산광역시|{{{#fff 부산광역시}}}]] [[남구(부산)|{{{#fff 남구}}}]] [[문현금융로|{{{#fff 문현금융로}}}]] 33)}}} || * 비전 - 기술에 가치를 더하는 「중소ㆍ벤처기업의 No.1 혁신성장 파트너」 * 미션 - 중소ㆍ벤처기업을 위한 기술금융과 혁신지원 활성화로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 * [[캐치프레이즈]] - 국민과 함께 혁신, 벤처와 함께 성장 == 역사 == 1988년 12월 31일, '신기술사업금융지원에관한법률'이 전부개정됨에 따라, '기술신용보증기금'이 [[신용보증기금]]에서 독립하여 1989년 4월 1일 설립되었다. 2002년 8월 26일, 법이 개정되며 이름이 '기술신용보증기금법'으로 바뀌었다. 2006년 5월 3일, 기관명과 로고(CI)[* 이전 로고[br][[파일:기술신용보증기금 로고.png|width=150]]]를 '기술신용보증기금'에서 '기술보증기금'으로 변경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0148837|#]] 하지만 법 개정이 늦어지며 실제 사용 명칭과 법률상 명칭이 10년간 달랐다. 2016년 3월 29일, 법이 개정되며 이름이 '기술보증기금법'으로 바뀌었다. 이로서 2016년 9월 30일 '기술보증기금'으로 법률상 명칭도 변경하였고, 10년간 [[명칭]]이 달랐던 문제가 해결되었다. [[https://www.news1.kr/articles/?2788886|#]] === 역대 이사장 === [include(틀:기술보증기금 이사장)] * 초대·2대 민해영 (1989.04~1995.01) * 3대 이철수 (1995.01~1997.11) * 4대 김경우 (1997.11~1998.08) * 5대 김병균 (1998.09~2001.03) * 6대 [[이근경]] (2001.04~2002.05) * 7대 박봉수 (2002.05~2005.05) * 8대 [[한이헌]] (2005.06~2008.08) * 9대 진병화 (2008.09~2011.08) * 10대 김정국 (2011.09~2014.01) * 11대 김한철 (2014.01~2017.01) * 12대 [[김규옥]] (2017.01~2018.04) * 강낙규 직무대행 (2018) * 13대 [[정윤모]] (2018.10~2021.11) * 14대 [[김종호(1962)|김종호]] (2021.11~ ) == 업무 == 기금은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한다(기술보증기금법 제28조 제1항). * 기본재산의 관리 * 기술보증 * 신용보증 * 보증연계투자 * 중소기업기술보호[* 기술보증기금법 제28조의 제1항 제4호의2는 2020년 2월 11일부터 시행되었다.] * 기술신탁관리[* 기술보증기금법 제28조의 제1항 제4호의3은 2020년 2월 11일부터 시행되었다.] * 기업에 대한 경영지도 및 기술지도 * 신용조사 및 신용정보의 종합관리 * 기술평가(해당 기술과 관련된 기술성·시장성·사업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금액·등급·의견 또는 점수 등으로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 구상권(求償權) 행사 * 신용보증제도의 조사·연구 * 이상의 업무에 부수되는 업무로서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의 승인을 받은 업무 또한, 기금은 위와 같은 업무 외에 재보증업무 및 유동화회사보증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같은 조 제2항). === 기술보증 === "기술보증"이란 신기술사업자가 부담하는 다음 각 목의 금전채무를 보증하는 것을 말한다(기술보증기금법 제2조 제4호). * 신기술사업금융업자 또는 금융회사(이하 "금융회사등"이라 한다)로부터 자금의 대출·급부 등을 받음으로써 금융회사등에 대하여 부담하는 금전채무 *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금전채무 "신기술사업자"란 기술을 개발하거나 이를 응용하여 사업화하는 [[중소기업]] 및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업과 산업기술연구조합을 말한다(같은 조 제1호). === 신용보증 === "신용보증"이란 상시 사용하는 종업원이 1천명 이하이고 총자산액이 1천억원 이하인 기업이 부담하는 다음 각 목의 금전채무를 보증(기술보증은 제외한다)하는 것을 말한다(기술보증기금법 제2조 제5호). * 금융회사로부터 자금의 대출·급부 등을 받음으로써 금융회사에 대하여 부담하는 금전채무 *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금전채무 === 보증연계투자 === "보증연계투자"란 기술보증기금이 기술보증 관계가 성립한 신기술사업자의 유가증권을 인수하는 것을 말한다(기술신용보증기금법 제2조 제10호). === 재보증 === "재보증"이란 기술보증기금이 원보증자(原保證者)(신용보증재단)가 보증(이하 "원보증"이라 한다)한 보증채무 이행금액의 범위에서 이를 보전(補塡)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기술신용보증법 제2조 제6호). === 유동화회사보증 === "유동화회사보증"이란 기술보증기금이 [[유동화전문회사]]가 신기술사업자의 회사채([[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를 포함한다), 대출채권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재산권을 유동화자산으로 함에 따라 부담하는 금전채무를 보증하는 것을 말한다(기술신용보증법 제2조 제9호). == 여담 == [[혁신도시]] 사업의 일환으로 부산으로 이전한 기관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기보는 부산에서 태동한 기관으로 혁신도시 사업 이전부터 부산에 본사를 뒀다.([[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10419000042|출범 당시의 일화]]) [[문현금융단지]]에 자체 사옥을 마련해 이전하기 전에는 [[중구(부산)|중구]] [[중앙동(부산)|중앙동]]에 본사가 있었다. 보통 공공기관, 특히 금융공기업은 절대다수가 서울에 있었음을 생각하면 나름 특이한 점. [[러시아]]의 게임 회사인 소셜 퀀텀에서 만든 도시 건설 게임인 [[메가폴리스]]에서 2018년 9월 11일부터 15일까지 행운의 상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건물 중 하나이다. 게임 상에 등장하는 이름은 '부산 금융 센터'이다. [[대구광역시]]로 이전한 [[신용보증기금]]과 통합이 거론된 적이 있었지만 무산되었다. 상술되었듯이 기술보증기금은 신용보증기금에서 독립한 기관이다. == 자회사 == * [[기보메이트]] * 기타 - 동양엔지니어링, 새연에스엔에스, 아이컨택트, 코아에이스, 앨리스에프엑스, 코베리, 트로젝트, 보경판넬, 희광에너지, 케이에스니켈, 에스에스테크, 아루카 농업회사법인, 신아금속, 티에스테크, 드림비전스, 핸섬피쉬 == 노동조합 현황 == *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기술보증기금지부: [[한국노총]] 소속. * 기술보증기금 기술평가전문노동조합:미가맹. * 기술보증기금 노동조합: 50+금융노동조합연대회의 소속. == 관련 문서 == * [[신용보증기금]] [[분류:기술보증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