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양자역학)] [include(틀:항성 및 은하천문학)] [목차]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youtube(p_8yK2kmxoo)]}}} || || '''우주에서 가장 위험한 존재 - 기묘한 별'''[* [[쿠르츠게작트]]의 영상.] || == 개요 == {{{+1 Strangelet}}} '''기묘체'''는 [[천체물리학]]과 [[입자물리학]]에서 예견하는 미지의 물질이다. 일반 물질이 평균적으로 [[쿼크#s-4.1.1|위 쿼크]]와 [[쿼크#s-4.1.2|아래 쿼크]]로 이루어진 것과는 달리, [[쿼크#s-4.2.2|기묘 쿼크]](Strange Quark)를 지니고 있는, 위 쿼크와 아래 쿼크, 기묘 쿼크가 모인 집합체다. 그 크기는 작게는 수 펨토미터에서 크게는 수 미터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1984년 [[에드워드 위튼]]과 파리와 재프가 처음 제안하였다.[* E. Farhi and R. Jaffe, "Strange Matter", Phys. Rev. D30, 2379 (1984) E. Witten, "Cosmic Separation Of Phases" Phys. Rev. D30, 272 (1984)] 쿼크 너겟(quark nuggets), 뉴클리어라이트(nuclearite) 혹은 strange quark matter (SQM) 라고도 불린다. == 상세 == 질량이 큰 [[중성자별]]의 [[철(원소)|철]]로 된 지각 아래에 존재할 것으로 추측되지만, 어디까지나 예측에 지나지 않는다. 일단 위 쿼크와 아래 쿼크, 기묘 쿼크가 1:1:1로 모인 [math(\Lambda^0)] [[바리온]]으로 예측해 보면 [math(\Lambda^0)]의 특성상, 그 전기전하는 중성(위 쿼크의 +2/3, 아래 쿼크와 기묘 쿼크의 -1/3이 전기전하를 상쇄), 기묘도는 -1이지만, 고온고압상태인지라, [math(\Lambda^0)]끼리가 서로 반쯤 융합한, [[쿼크]]와 [[글루온]]의 바다에 가까운 상태라고 추측된다. 이론적으로는 중성자별의 초고온고압 상황에서, 일반 물질들의 위 쿼크와 아래 쿼크가 높은 에너지에서 안정화 되기 위해서 일부가 기묘 쿼크로 변경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고 한다. 단, 기묘 쿼크의 특성상 [[약력|약한 상호작용]]에 의해서 자연적으로 베타붕괴와 비슷한 과정을 거쳐서 보다 안정적인 위 쿼크로 붕괴하게 되므로 기묘체를 형성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기묘 쿼크는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 정확히는 [math(\Lambda^0)]는 [math(W^-)]를 방출하고 양성자로 붕괴하며, 이때 방출되는 [math( W^- )]는 대부분이 [math(\pi^-)]로 붕괴하는게 예측되어 있다. 또한, 낮은 확률이지만 [math(W^-)]가 베타붕괴와 동일하게 전자와 양전자-중성미자로 붕괴되는 것도 예측되어 있다.] 쿼크끼리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기묘체가 안정적으로 존재하여 [[암흑물질]]을 이루고 있다는 가설도 있다.[* Atreya et al.,"Reviving quark nuggets as a candidate for dark matter", Phys.Rev. D90 045010 (2014)] 이 물질은 이론적으로 예측된 성질이 상당히 위험한데, 접촉한 다른 [[양성자]]나 [[중성자]]의 쿼크와 약력으로 상호작용을 해서, [[좀비|물질을 강제적으로 기묘체로 변경하는 성질]]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생물학에서 연구하는 병원체 중 하나인 [[프리온 단백질|변형 프리온]]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기묘체가 안정하고 음전하를 가지고 있다면 일반 물질을 끌여들어 모두를 기묘체로 만들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그럴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youtube(FeLB7ab91iw)] 2020년 6월 헬싱키 대학 연구원들이 Nature Physics에 이 물질이 실재할 확률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그러나 우주에서 가장 극단적인 환경에서만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접근하거나 육안으로 관찰하는 것은 마치 [[블랙홀]]의 [[특이점]]에 대해 그렇게 하는 것만큼이나 어려울 것이다. [[분류:천문학]][[분류:물리학]][[분류:중성자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