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문헌정보학]][[분류:사학]][[분류:학제간 연구]] [include(틀:토막글)] [목차] == 개요 == || 한자 記錄學 || || 영어 Archival Studies, Archival science, [br]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al Science || 기록관리학이라고도 하며 [[문헌정보학]]과 [[사학]]을 근간으로 발전했으며 이름 그대로 자료의 가치를 평가하여 후대에 전달할 역사적 가치가 있는 기록물을 선별하고, 일정한 표준과 법률에 따라서 보존하고, 소실된 [[기록]]을 복원하고, 그것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 역사 == 한국의 기록학은 [[1999년]] [[https://www.law.go.kr/법령/공공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며 독립된 학문이 [[https://m.hani.co.kr/arti/society/schooling/947724.html#ace04ou|되었으며]], [[2000년]] [[7월]] 창립한 [[https://ras.jams.or.kr/co/main/jmMain.kci|한국기록관리학회]], [[2000년]] [[12월]] 창립된 [[https://ksas.jams.or.kr/co/main/jmMain.kci|한국기록학회]]가 양대 산맥이자 중심이다. 약 20여년 된 역사가 짧은 학문 치고는 눈부신 발전을 했고, 한국 기록학 초창기에 역사학자들과 문헌정보학자들의 많은 기여가 있었다. 한국기록학회는 역사학자, 한국기록관학회는 문헌정보학 교수가 많이 있지만 같은 기록학 카테고리에 묶여 사이가 나쁘지 않은 편이다. 전문대학원으로는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정보기록학과가 있다. 이외에 서울대학교에도 있다. [[2020년]] 현재 [[대학원]]에서 [[사학과|역사학과]]나 [[문헌정보학과]] 겸임 교수가 많다. == 과목 == [[서지학]](서재 형태의 기록물), 전자기록학(전산 형태의 기록물), [[정보학]][* 주로 [[기록]]을 분류하고 검색 및 서비스를 제공할 때 이용한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전자기록과 전자문서,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이 발달하였고, [[전자정부]]의 등장으로 더욱 중요해졌다.] ,[[역사학]], [[행정학]]([[국가기록원]]), [[법학]]([[행정법]][* 기록학의 중요 부분이 [[공공기관]]의 [[기록]]을 다루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앙대학교 대학원처럼 [[대학원]]에서 문헌정보학과, 사학과, 행정학과 이외의 타 전공자들은 학부에서 [[행정학|행정학개론]]과 같이 [[행정법]]을 선수과목으로 수강할 것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기록법), [[지역학|지역학(향토학)]], [[경영학]](기록관 경영), [[컴퓨터공학]][* 문서의 경우 자필로 문서를 생산하는 경우는 없으며, 컴퓨터를 이용해 생산한 전자기록물 문서인 경우가 많다. 그리고 전자기록물의 증가로 전자기록물 검색, 보관, 활용, 전자 아카이브 구축, 관리, 기록관리시스템 구축, 뿐만 아니라 웹기록, 동영상과 사진 기록의 폭발적 증가, 행정정보 데이터 세트, 이메일 기록, SNS 기록 등 컴퓨터 공학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었다.] 등이 포함된다. == 기록물의 이해 == == 기록물 관리 제도 == === 표준 원칙 === === 법률 === === 관리 기관 === === 전자적 기록물 관리 수단(정보시스템) === === 서지와 문헌 === === 기록물 관리의 전문 자격 === == 기록관리 운영 == === 절차 === === 분류 === === 평가 === === 기술 === === 관리 === === 보존 === ===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