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게임화/2012년]][[분류:기동전사 건담 SEED 시리즈]][[분류:비우주세기/게임]][[분류:액션 게임]][[분류:PlayStation Vita 게임]] ||<-2>
{{{#000000,#dddddd '''{{{+1 기동전사 건담 SEED BATTLE DESTINY}}}'''[br]機動戦士ガンダムSEED BATTLE DESTINY[br]MOBILE SUIT GUNDAM SEED BATTLE DESTIN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30%]]}}} || || '''개발''' ||[[아트딩크]] || || '''유통'''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크기=20)] [[반다이 남코 게임스]][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크기=20)] [[인트라링스]] |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코리아|반다이남코 파트너즈 코리아]] || || '''플랫폼'''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padding: 4px 3px 6px;" [[PlayStation Vita|[[파일:PlayStation Vita 로고.svg|height=16]]]]}}} || || '''장르''' ||건담 배틀 액션 || || '''출시'''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크기=20)]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크기=20)] [[2012년]] [[6월 7일]] || || '''한국어 지원''' ||미지원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12세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12세 이용가}}}''']] [[https://www.grac.or.kr/Statistics/Popup/Pop_ReasonInfo.aspx?ae6060256d6f9a49bb133f7d1d815e80cecd98f227eaeaf17ed258610ac557e8|#]] || || '''해외 등급''' ||'''[[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000000,#dddddd CERO A}}}]]''' [[http://www.cero.biz/search/search.cgi?name=%B5%A1%C6%B0%C0%EF%BB%CE%A5%AC%A5%F3%A5%C0%A5%E0SEED+BATTLE+DESTINY&txtCP=|#]] || || '''관련 사이트'''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크기=20)] [[http://gbd.channel.or.jp/|공식 사이트 (폐쇄)]] || [목차][clearfix] == 개요 == [[일본]]의 [[비디오 게임]]. == 특징 == TV방송 10주년을 맞이하는 [[기동전사 건담 SEED]]와 그 속편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및 관련 작품들을 소재로 한, 3D 액션 슈팅게임이며 [[건담 배틀 시리즈]]나 마크로스 트라이앵글 프런티어를 제작한 아트딩크가 개발하였다. 시리즈 첫 PS Vita용이며 플랫폼 변경에 맞게 그래픽이 크게 향상되었다. 2개의 아날로그 스틱이나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으로 조작성도 향상되었다. 본작의 메인이 되는 캠페인 모드에는 지구연합군,ZAFT, 아크엔젤의 3개의 노선이 있고, 플레이어는 좋아하는 세력의 병사로서 전란을 싸워 가게된다. 통신 기능을 사용하여 두 사람의 협력 플레이와 4인 대전 플레이도 가능. 또한 지령 이벤트는 다른 플레이어와 연결하는 요소가 추가된다. 게임 시스템은 기존의 배틀 시리즈에서 호평이었던 기체의 사용자 정의 위로 조정 요소는 계승되고, [[기동전사 건담 SEED]]시리즈를 소재로 하는 것으로 페이즈 시프트 장갑[* 이게 말이 많은게 바주카 기체들은... 시드의 페이즈 떡칠 설정상 싸울수가 없다.], 미라쥬 콜로이드 다중 레이더 추적, 환장 등의 요소가 추가된다. 또한 기체가 격추되는 경우에도 다시 출격이 가능하다. 그래픽이 매우 발전했다. 그전까지 발매된 건담 배틀 시리즈는 우려먹은 그래픽이였으나 이 쪽은 매우 부드러워졌다. 이 게임은 1회차, 2회차 같은 '''회차 개념이 존재 하지 않는다'''. 한 세이브로 스토리를 클리어 했으면 '''그 세이브의 역할은 끝이다'''. 다른 세력으로 하고 싶으면 '''새로 세이브를 파야된다'''. 대신 '''기체 개조 수치, 기체 컬렉션, 각종 패널티 해제, 주인공을 제외한 모든 파일럿들의 육성 수치를 모든 세이브가 공유'''하기 때문에 신경 쓰일 정도는 아니다. 다만 귀찮을 뿐이지... == 시스템 == * 멀티 록온 이번 작에서 추가된 시스템. 상대방 여럿을 록온해서 타격하거나 전함의 각 부위를 각각 한 번씩 공격하게 해주는 시스템이다. 빔 라이플 류를 장비한 상태에서 사격키를 누르고 있으면 발동된다. 다만 활용성은 떨어진다. 빔 라이플을 최대 4번 발사하는데 빔라이플 한 발분의 데미지로 적기체 4대를 공격할 바에야 그 4발로 적 기체 한 기를 섬멸하는게 빠르기 때문이다. 사족을 달자면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의 SP어택은 강제로 멀티 록온이 된다. * 콤비네이션 SP 어택 자신과 파일럿이 특정 파일럿과 그 파일럿의 전용기 조합일 경우 SP어택을 발동시키면 파트너도 SP 어택을 한다.[* 예를 들어서 키라(SEED DESTINY)/스트라이크 프리덤 + 아스란(SEED DESTINY)/인피니트 저스티스)로 패어를 한 경우 스트라이크 프리덤이 풀버스트를 사용하면 인피니트 저스티스는 파툼 돌진을 사용한다.] 이 때 파트너의 SP 게이지는 소모되지 않는다. 다만 파일럿과 전용기가 동일해야하며, 시대도 일치해야한다. 무슨 말이냐면 키라(SEED)/프리덤과 아스란(SEED DESTINY)/인피니트 저스티스 조합으로하면 콤비네이션 SP 어택이 발동되지 않는다. 또 키라(SEED DESTINY)/스트라이크 프리덤과 아스란(SEED)/저스티스 조합으로 해도 콤비네이션 SP 어택이 발동되지 않는다. * 재출격 시스템 멀티 록온과 같이 이번 작에서 추가된 시스템. 격추되면 바로 미션실패인 전작들과 달리 격추되어도 일정 횟수 만큼 재출격이 가능하다. 재출격 횟수는 평균적으로는 사병기 : 5회, 조연기 : 3회, 주역기 : 1회이며, 튜닝 수치에 따라 감소된다. 기체 성능이 딸려서 격추되는 일이 많은 초반 난이도를 낮춰주는 시스템. 이 재출격 시스템 때문에 초반에는 코스트가 낮은 사병기 쪽을 선택하는 플레이어가 많지만, 이 작품 역시 [[건담 배틀 시리즈]]의 전통대로 미션에서 격추되지 않고 단시간에 클리어해 고랭크를 받아야 더 좋은 기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 실력이 붙은 후에는 재출격 횟수가 낮더라도 더 내구도가 높고 화력이 높은 기체를 선택하게 된다. * 튜닝 시스템 전작들에도 있던 튜닝 시스템이며, 각 기체마다 튜닝 상한선이 있다. 튜닝 제한 해제를 언락하면 무제한으로 튜닝이 가능하다. * 명령 시스템 파트너의 AI를 A패턴에서 B패턴으로 바꿀 수 있다. 왼쪽 상단의 캐릭터를 터치하면 명령 목록이 나오며, 해당 명령을 선택하면 파트너의 AI는 그 명령대로 움직인다. == 참전작과 참전기체 [* 이건 일본 위키에서 발췌한 일부 기체이며 전용기는 생략하였고, 위키에 적히지 않은 더 많은 기체가 있다.] == * [[기동전사 건담 SEED]] [[GAT-X]]102 [[듀얼 건담]] 어설트 슈라우드 GAT-X103 [[버스터 건담]] GAT-X105 + AQM-E-X01 에일 [[스트라이크 건담]] GAT-X105 + AQM/E-X02 소드 스트라이크 건담 GAT-X105 + AQM/E-X03 런처 스트라이크 건담 GAT-X105 + AQM/E-M1 스트라이크 건담 + IWSP GAT-X207 [[블리츠 건담]] GAT-X303 [[이지스 건담]] GAT-X131 [[캘러미티 건담]] GAT-X252 [[포비든 건담]] GAT-X370 [[레이더 건담]] ZGMF-X09A [[저스티스 건담]] ZGMF-X10A [[프리덤 건담]] ZGMF-X13A [[프로비던스 건담]] ZGMF-1017 [[진(MS)|진]] TMF/A-802 [[바쿠]] MBF-M1 [[M1 아스트레이]] *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ZGMF-X]]56S / α 포스 [[임펄스 건담]] ZGMF-X56S / β 소드 임펄스 건담 ZGMF-X56S / γ 블래스트 임펄스 건담 GAT-04 [[윈담]] GFAS-X1 [[디스트로이 건담]] TMF/A-802W2 켈베로스 바쿠 하운드 MBF-02 스트라이크 루즈 MVF-M11C [[무라사메(MS)|무라사메]] ZGMF-X23S [[세이버 건담]] ZGMF-X24S [[카오스 건담]] ZGMF-X31S [[어비스 건담]] ZGMF-X88S [[가이아 건담]] ZGMF-X42S [[데스티니 건담]] ZGMF-X666S [[레전드 건담]] ZGMF-X19A [[인피니트 저스티스 건담]] ZGMF-X19A 인피니트 저스티스 건담([[미티어]]) ZGMF-X20A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 ZGMF-X20A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미티어) ZGMF-1000 [[라이브 자쿠 워리어|자쿠 워리어 (라이브 사양)]] ZGMF-1000/A1 건너 [[자쿠 워리어]] ZGMF-1000 자쿠 워리어 (루나마리아 전용) ZGMF-1000 / M 블레이즈 자쿠 워리어 (루나마리아 전용) ZGMF-1000/A1 건너 자쿠 워리어 (루나마리아 전용) ZGMF-1000 / K 슬래시 자쿠 워리어 (루나마리아 전용) ZGMF-1001 / M 블레이즈 자쿠 팬텀 (레이 전용) ZGMF-1001/A1 건너 자쿠 팬텀 (레이 전용) ZGMF-1001 / K 슬래시 자쿠 팬텀 (레이 전용) ZGMF-XX09T [[돔 트루퍼]] * [[기동전사 건담 SEED ASTRAY]] MBF-P02 건담 [[아스트레이 레드 프레임]] MBF-P03 건담 [[아스트레이 블루 프레임]] MBF-P03 건담 아스트레이 블루 프레임 풀 웨폰 * [[기동전사 건담 SEED X ASTRAY]] CAT-X1/3 [[하이페리온 건담]] YMF-X000A [[X 아스트레이]] * [[기동전사 건담 SEED VS ASTRAY]] MBF-P02KAI 건담 아스트레이 레드 프레임 개량형 MBF-P03R 건담 아스트레이 블루 프레임 세컨드 리바이 MBF-P01-Re [[아스트레이 골드 프레임 아마츠]] MBF-P02 건담 아스트레이 레드 프레임 파워 로더 * [[기동전사 건담 SEED C.E.73 STARGAZER]] GAT-X1022 [[블루 듀얼 건담]] GAT-X103AP [[베르데 버스터 건담]] GAT-X105E + AQM/E-X09S [[스트라이크 느와르 건담]] GSX-401FW [[스타게이저]] * 기동전사 건담 시드 MSV GAT-01A12 [[105 대거]] GAT-01A12 건배럴 대거 GAT-02L2 대거 L GAT-X133 [[소드 캘러미티 건담|소드 캘러미티 (초호기)]] GAT-X133 소드 캘러미티 (2 호기) ZGMF-X56S / θ [[데스티니 임펄스]] 건담 (1 호기) ZGMF-X56S / θ 데스티니 임펄스 건담 (3 호기) * 기타 GAT-X105E 어나더 트라이얼 소드 스트라이크 GAT-X105E 어나더 트라이얼 런처 스트라이크 == 평가 == PS VITA 초창기 작품 및 전작인 건담 어설트 서바이브에 비하면 상당히 발전된 그래픽, SEED 시리즈에 나오는[* 설정상 기체 포함] 거의 모든 기체들을 구현 해냈다는 점에서 상당한 호평을 받았다. 하지만 거의 대부분 기체들의 재탕 모션들[* 저스티스와 인피니티 저스티스는 SP 대쉬어택 빼고 모든 모션이 똑같다.], 안드로메다로 간 기체들의 벨런스, '''출시 전부터 제작진이 설레발을 친 주인공 캐릭터의 스토리 간섭여부가 루트 선정 외엔 없다는 점'''. 노가다를 너무 강요하는 점 등 장점보다 단점이 많다. 거기에 함선 플레이에 대한 떡밥을 뿌려놓곤 실상은 함선은 컨트롤 할 수 없다는 점까지 드러나자 일본 내에서는 가루가 되도록 까였다. 결론은 '''지나친 설레발로 안 먹어도 되는 욕을 몽땅 먹은 게임'''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