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통치 기구]][[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Include(틀:개화기 조선의 개혁 기구)] ---- [목차] == 개요 == [[조선]] 말기에 [[근대|근대식]] [[무기]]와 [[기계|기기]]를 만들기 위해 설치한 관서. 한국 최초의 근대식 [[공장]]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 상세 == 1883년(고종 20년) 5월에 설립했다. [[http://sillok.history.go.kr/id/kza_12005023_002|#]] 그 전에는 [[통리기무아문]] 산하에 군물사(軍物司)와 기계사(機械司)란 [[관청]]에서 무기 및 관련 기계 등을 만들어냈다. 1881년(고종 18년) 9월에 [[조선]] 정부에서는 [[김윤식(조선)|김윤식]]을 대표로 한 [[영선사]]를 [[청나라]] [[톈진시|톈진]]에 파견했다. 영선사는 신식 무기를 배우고 수입 루트를 트기 위한 목적을 띈 일종의 유학 사절이었다. 이들은 임무대로 톈진에 있는 기계 및 무기 제작소인 톈진기기국을 시찰하면서, [[탄약]], [[화약]] 등 신식 무기 제조법과 [[화학]], [[기계|기계학]], [[전기]], [[외국어]] 등 다양한 신문물을 배웠다. 한편, 영선사 일행이 청나라에 가있던 1882년(고종 19년) 5월에, 당시 통상사당상이었던 [[김홍집]]은, 기기 공장을 세우기 위한 [[차관]] 및 기계 구입 조건 등을 협상하려 청나라의 마건충과 접촉했다. 그리고 톈진 기기국에서 관련 내용을 접수했지만, 얼마 뒤 [[임오군란]]이 일어나면서 계획이 미뤄졌다. [[임오군란]]이 어느 정도 진정된 그 해 10월에 [[조선]] 측에서는 근대식 [[과학]] [[기계]]와 [[책|서적]]들을 각각 62종과 33종 씩 [[청나라]]에서 가져왔다. 또한 그해 말에 영선사 일행이 귀국하면서 청나라 기술자들도 같이 조선으로 같이 데려왔고, 이들을 통해 톈진기기국 같은 신식 [[무기]]를 전문으로 만드는 [[공장]]을 세우려 했다. 이듬해인 1883년(고종 20년) 4월에 [[고종(대한제국)|고종]]은 기기 생산 [[공장]]과 이를 다룰 관서를 설치하기로 하고, 군국아문에 이와 관련한 시행 규칙 등을 마련하여 보고하도록 지시했다. 그리고 [[훈련도감]] 소속의 재정 관서인 양향청에 기기 관서를 세우라는 명을 내렸다. 기기 관서가 들어설 자리는 [[삼청동]]에 있던 화약도감 소속 북창 터였다. 마침내 그 해 5월 23일에 기기 관서를 정식으로 세웠고, 이름을 '기기국(機器局)'이라 했다. 단, 업무 시작일은 약 일주일 뒤인 6월 2일이었다. 총판에는 [[박정양]]과 김윤식을, 방판에는 김명균을 임명했다. 다음 해인 1884년(고종 21년)에는 기존의 전통적 무기를 제작했던 군기시(軍器寺)를 합병하여 명실상부한 [[조선]]의 대표 병기 양성소로 자리매김했다. 그리고 기기국 산하 [[공장]]인 기기창(機器廠)은 그 해 8월에 [[공사]]를 시작하여 1887년(고종 24년) 10월에 완공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2410029_005|#]] 기기창에서는 주로 증기기관을 이용한 병기들을 많이 만들었다. 초반에는 [[구리]]로 만든 [[군모]]와 [[소총]] 위주로 제작 및 생산했고 나중에는 [[화약]]까지 만들었다. 운동기기, [[조총]], 내찬혈기, 조포기, 세포기 등도 청나라에서 구입하여 생산했지만, 정확하게 제작한 무기의 수가 얼마나 되는지는 확실하게 알 수 없다. 과거 일부 서적에서 이를 두고 별 쓸모 없다고 폄하를 했었는데, 실제론 소총과 회선포(개틀링건)에 쓸 탄약은 물론 [[암스트롱 포]]의 탄약과 최소 2문 이상의 복제품을 자체 생산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 정부에서 정부 재정 수입원인 공조를 통해 자금을 댈 정도로 야심차게 세운 [[공장]]이었으나, [[1890년대]] 초에는 재정난과 경영난에 허덕여 제 기능을 온전히 발휘하지 못했다. 그러다 1894년(고종 31년)에 [[청일전쟁]][* 이때 청군에게 약탈당했다. 때문에 일본군의 경복궁 장악 과정에서의 무장 해제 및 파기와 함께 을미사변 당시 탄약 부족으로 수비대가 10여 발의 탄약만 가지고 교전해야 했던 상황을 빚어냈다.]과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면서 사실상 유명무실해졌다. 1895년(고종 32년) 3월에 '포공국(砲工局)'이란 이름으로 재설치했고 [[군부(대한제국)|군부]] 산하로 흡수시켰다. [[러일전쟁]] 이후인 1905년([[광무]] 9년) 3월에는 '군기창(軍器廠)'으로 다시 개칭했다가 [[http://sillok.history.go.kr/id/kza_14203001_002|#]] 1907년([[융희]] 원년) 8월에 [[대한제국군]]이 [[일본 제국|일제]]에게 [[대한제국 군대 해산|강제로 해산당하면서]] 사라졌다. == 건물 == === 번사창 ===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50호 ||<|2> ← || '''51호''' ||<|2> → || 54호[* 52호 승가사승가굴관음보살상은 1989년 4월 10일에 해제되어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1000호로 재지정받았고, 53호 [[덕수궁 중명전|중명전]]은 2007년 2월 7일에 해제되어 [[대한민국의 사적|사적]] 124호 [[덕수궁]]과 통합되었다.] || || [[정의공주#s-6|양효공 안맹담과 정의공주 묘역]] || '''기기국 번사창''' || [[창빈 안씨#s-4|창빈 안씨 묘역]]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호}}}]]''' || ||<-2> {{{#fff {{{+1 '''기기국 번사창'''}}}[br]{{{-1 機器局 飜沙廠}}}}}}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금융연수원,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118 (삼청동)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 || '''{{{#fff 수량 / 면적}}}''' || 건물 1棟, 토지 231.2㎡ || || '''{{{#fff 지정연도}}}''' || [[1982년]] [[12월 17일]] || || '''{{{#fff 시대}}}''' || [[1884년]] ([[고종(대한제국)|고종]] 21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번사창.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번사창2.jpg|width=100%]]}}} || || {{{#F0AD73 '''번사창[* [[https://ko.wikipedia.org/wiki/%EB%B2%88%EC%82%AC%EC%B0%BD#/media/%ED%8C%8C%EC%9D%BC:Beonsachang_01.JPG|첫 번째 사진 출처 - 위키백과.]][br][[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2514#modal|두 번째 사진 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 [clearfix] ==== 개요 ==== 기기국의 건물 중 하나이다. '번사(飜沙)' 뜻은 '[[흙]](沙)으로 제작한 거푸집에 [[금속]]을 녹인 액체를 부어(飜) 만든다'이다. 현존하는 [[근대|근대식]] [[벽돌]] 건물 중 가장 오래되었으며, 1982년 12월 17일에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호로 지정받았다. ==== 역사 ==== 기기국 창립 1년 뒤인 1884년(고종 21년)에 세웠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에서 세균실험실로 사용했고, [[8.15 광복|광복]] 이후 [[미군정]] 시기에는 중앙방역연구소로 썼다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국립사회복지연구원으로 기능했다. 그러다 1970년부터 [[한국은행]]에서 소유하여 관리하고 있다. 현재 번사창 건물은 한국금융연수원 경내에 있다. ==== 구조 ==== * 전반적으로 [[한국]]식을 바탕으로 하되, [[중국]]과 [[서양]]의 양식을 섞은 건물이다. 연면적 217.58㎡(약 66평)에, 길이 33m, 폭 8.5m로, 1층이다. 장대석과 사괴석으로 [[기단]]을 만들고 그 위에 회색 [[벽돌]]로 벽체를 쌓았다. 벽체 벽돌의 크기는 가로 25cm, 세로 5cm로, 현재 건축 자재로 사용하는 벽돌과는 크기가 다르다.[* 사실 대부분 근대나 전통 건축에 사용한 대부분 벽돌들 크기가 현재와 다르기 때문에, 보수나 복원 공사할 때 수급이 힘들다고 한다.] * 출입문은 총 3개로, 정면에 2개 있고 우측면에 1개 있다. 정면 가운데에 있는 문이 [[정문]]이고, 다른 정면의 문은 정면 좌측 끝에 있다. 형태는 [[아치(건축)|아치]]인데, 정면 가운데 문의 아치는 [[화강암]]으로 만들었고 나머지 문들의 아치는 붉은 [[벽돌]] 띠를 두른 회색 벽돌로 조성했다. 창은 정면에 5개, 우측면과 좌측면에 각각 2개 씩 있다. 창의 모양은 수평아치가 대부분이나 정면 우측 2개와 우측면 2개는 세그멘탈 아치이다. 문짝은 나무문이며 출입문은 붉은 색, 창문은 청녹색이다. 창에는 창살을 설치했다. * [[지붕]] 형태는 맞배지붕이고 재질은 한국식 [[기와]]이다. 지붕 위에는 삼각형 형태의 이중 지붕과 환기구를 설치했는데, 이는 [[무기]]를 만들 때 생기는 열기와 [[오염]] 물질들을 배출하기 위해서이다. 좌측면 박공 중앙에는 원형으로 생긴 작은 환풍구가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번사창 내부.jpg|width=100%]]}}} || || {{{#F0AD73 '''번사창 내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2514#modal|사진 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지붕 하부에는 서까래와 서양식 쌍대공 지붕트러스를 함께 두었는데, 이는 전통적인 지붕 형태가 서서히 근대적으로 바뀌어가는 흐름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 여담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번사창 상량문.jpg|width=100%]]}}} || || {{{#F0AD73 '''번사창 상량문[*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199&ccbaKdcd=21&ccbaAsno=0051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1984년 보수공사를 하던 도중에 대들보에서 번사창 상량문을 발견했다. 기기국의 사사를 지냈던 이응익이 지은 것으로, 이를 통해 번사창을 지은 목적 및 건축 연도 등을 상세하게 알 수 있게 되었다. * 2015년 2월에 한국금융연수원에서 번사창 옆에 합숙소를 짓기 위해 매장 문화재 조사를 하다가 기기국의 옛 건물 터를 발견했다. 건물의 길이(27.8m)와 폭(10.1m)이 번사창과 거의 비슷했고 기반 축조 방식 역시 번사창과 매우 유사했다. 그래서 [[서울특별시]]에서는 건물 터를 포함한 관련 유적을 같은 해 5월 29일에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지정고시했다.[[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50612/718215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