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호랑이의 털 색에 따른 명칭)] ||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daaefc70a9a4c86292fedab461cf266a.jpg|width=350]] || [[파일:60FA4E3D-A1CC-4066-92B5-948D9CE14DDA.jpg|width=350]] || [[파일:attachment/4_29.jpg|width=350]] || [목차] == 개요 == [[금호]](金虎)는 [[금색]] 털과 금색 무늬를 지닌 [[호랑이]]를 의미한다. --치즈태비-- [[영문]]으로는 '''Golden Tabby Tiger''', '''Golden Tiger''', '''Strawberry Tiger''' 등의 표기가 주로 사용되며, 국내에서는 금호, 금호랑이, 금색 호랑이등의 표기가 주로 사용된다. == 상세 == 금색 털을 지닌 [[호랑이]]인 금호는 백색 털을 지닌 [[호랑이]]인 [[백호(동물)|백호]]처럼, 별도의 [[호랑이]] [[아종]]이 아닌 '''[[벵골호랑이]]가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금색 털 인자가 발현된''' 호랑이이다. 19세기에서 20세기 초에 [[야생]]에서 발견된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32년 [[인도 반도]]의 마이소르(Mysore) 지역에서 야생 개체가 목격된 뒤, 2018년 인도 카지랑가(Kaziranga) 국립공원에서 야생 개체가 발견됐다. 이 금호는 2020년, 2022년에도 카메라에 포착됐다.[[https://twitter.com/ParveenKaswan/status/1281671030830817280?t=3W5KkbWNSnrH6rKG6l38ZA&s=19|#]] 사육상태에서 태어난 최초의 금호랑이는 1983년에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오늘날 금호의 계보 == [[파일:external/messybeast.com/chart-3p1a3b.png]] 백호 빔과 인디라의 계통도. 오늘날 금호랑이들의 시조가 정확히 누구인지는 알 수 없으나, 그 시조로 꼽히는 이들 중 하나는 오늘날 최초로 사육된 백호인 '[[모한(호랑이)|모한]]'의 [[http://messybeast.com/genetics/chart-03.png|증손자 뻘인]] 수컷 백호 '빔'(Bhim)과 정상색 암호랑이 '키만티'(Kimanthi) 사이에서 [[http://messybeast.com/genetics/chart-3p1a3.png|태어난 딸]]인 '인디라'(Indira)와 아버지인 빔 사이의 [[근친]]교배를 통해 1986년 11월 2일, 미국의 신시내티 동물원(Cincinnati Zoo)에서 태어난 수컷 금호랑이''' '소나' '''(Sona,Sonar)[* Sona와 Sonar라는 표기가 혼용되는 것으로 추정됨.]이며, 최종적으로는 다른 여타의 금호들 대부분도 '''결국 [[모한(호랑이)|모한]]의 후예로 여겨진다.''' == 금호 생산과 논란 == [[파일:external/messybeast.com/tiger-colour-genes.jpg]] 백호(White Tiger), 금호(Golden Tiger), 은호(Stripeless tiger)의 형질이 후대에 유전되는 경우를 나타낸 그림. [[http://messybeast.com/genetics/tigers-genetics.htm|이미지 출처]] 오늘날 동물원에서 사육되고 있는 [[백호(동물)|백호]]를 생산하는 방식처럼 금호들의 금색 털인자도 정상색 호랑이의 황색 털 인자에 비해 열성이기 때문에, 금호도 같은 '''금색 털 인자를 지닌 호랑이들간의 [[교배]]'''를 통해서만 태어날 수 있다. 그러나 금호 역시도 [[모한(호랑이)|한마리 호랑이]]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지며, 현존하는 수 또한 매우 적어 결국 금호의 생산은 백호의 생산 방식처럼 '''[[혈연]]관계인 호랑이들 사이의 [[근친상간]]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다.'''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5fd0635e01ec2e90c27cb6343a4e86cf.jpg]] [[사시(질병)|사시]]를 지닌 금호의 모습. [[https://de.pinterest.com/pin/568227677954694195/|이미지 출처]] 지속되는 선택적 [[근친]]교배는 결과적으로 '''[[장애]]를 지닌 [[호랑이]]들을 태어나게 하는데''', [[백호(동물)|백호]]와는 달리 장애를 지닌 금호가 적은 것은 금호의 숫자가 백호보다도 적으며, 생산을 위한 계획적인 근친교배의 역사가 백호에 비해 비교적 짧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밖에도 백호 생산에 가해지는 비판과 일맥상통하게도, 오늘날 사육되는 금호 중에는 [[시베리아호랑이]]와 [[벵골호랑이]]의 교잡종 호랑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교잡종 호랑이의 탄생은 '''서로다른 호랑이 [[아종]]간의 보전을 어지럽히는 일이다.''' == 기타 == 국내외적으로는 금호에 대하여 "전세계에 30마리 밖에 없고, 야생에서 멸종하여 동물원에만 있는 멸종위기 동물"이라는 잘못된 이야기가 퍼져있는데, 금호의 숫자가 적은 것은 사실이나 전술했듯, 금호는 별도의 [[종]](種)이 아닌 [[벵골호랑이]]의 [[열성]]인자가 발현된 [[호랑이]]로 여겨지는 만큼 "멸종했다"라는 표현이 사용될 수 있는 동물이 아니다. == 참고 문헌 == * [[http://messybeast.com/genetics/tigers-golden.htm|MUTANT BIG CATS - GOLDEN TIGERS]] [[분류:호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