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 '''[[고사성어|{{{#white 고사성어}}}]]''' || || {{{+5 '''[[金]]'''}}} || {{{+5 '''[[枝]]'''}}} || {{{+5 '''[[玉]]'''}}} || {{{+5 '''[[葉]]'''}}} || || 쇠 금 || 가지 지 || 구슬 옥 || 나뭇잎 엽 || == 겉 뜻 == 금 가지에 옥 잎사귀. == 속 뜻 == 옛날에는 '임금의 자손이나 집안'을 말했으나 오늘날에는 '귀한 자식'이라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비슷한 말로 금이야 옥이야가 있다. 여성에게만 한정해서 사용하는 어휘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제법 있지만 남녀 모두에게 사용할 수 있는 단어다. == 유래 == [[서진#s-1|진(晉)]]의 최표(崔豹)[* 생몰년대 미상. 진 혜제(惠帝)때 상서좌병중랑(尙書左兵中郞)을 지냈다 한다.]가 쓴 고금주(古今注)[* 물건들의 유래를 수래, 옷, 도읍, 음악, 동물, 식물 등으로 분류하여 엮은 책이다.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가 실린 책이기도 하다.] 화개(華蓋)[* 지금은 부처님을 모셔둔 절집에 있는 닫집을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수래를 덮는 장식 덮게를 말한다.] 의 유래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黃帝與蚩尤戰于涿鹿之野 常有五色雲氣 '''金枝玉葉'''止於帝上 有花葩之象 故因作華蓋也 >[[황제(중국 신화)|황제]]와 [[치우]]가 탁록[* [[한서]] 지리지에는 상곡군(上谷郡) 탁록현(涿鹿縣)이라고 하였으나, 현재의 어디를 말하는 것인지는 모른다.]벌판에서 싸울 때, 그 위에 오색 구름 기운이 '''금가지에 옥이파리'''처럼 머물렀는 데 꽃같은 모양이라 이에 화개를 만들었다. 고 하였다. 더 자세한 내용은 [[http://blog.ohmynews.com/atmdig/155902|여기를 참조]] == 영화 금지옥엽(1994) == [[첨밀밀]] 등으로 알려진 [[진가신]] 감독이 연출을 맡고 [[장국영]], 원영의, 유가령, [[증지위]] 등이 출연한 1994년작 홍콩영화. 1996년에는 속편인 금지옥엽 2가 제작되었다. == [[연희공략: 금지옥엽]] == 2019년 공개된 드라마. [[연희공략]]의 외전격이지만, 원제는 그냥 금지옥엽이다. [[분류: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