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eb.archive.org/1%EB%A9%B4%20%EA%B0%80%EB%A1%9C%2018===.jpg|width=100%]]}}}|| || 금정터널 관통식 행사 || 금정터널(金井터널 / Geumjeong Tunnel)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노포동|노포동]][* 정확히 말하면 [[경부고속도로]] 금정1교, [[노포IC]] 및 [[노포JC]] 근처. [[금정공영차고지]], [[노포차량사업소]],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이 매우 가깝다.]에서 시작해서 [[동구(부산광역시)|동구]] [[수정동(부산)|수정동]]에 있는 [[부산진역(경부선)|부산진역]][* 정확히 말하면 부산진역과 [[부산동부경찰서]] 사이 횡단보도의 연장선. 여객영업이 중지된 [[부산진역(경부선)|부산진역]] 승강장 일부를 철거한 후, 지하철로 뚫었다.]까지 이어지는 부산광역시 시가지 전체를 남북으로 종단하는 '''총 연장 20.323km'''의 고심도 터널이다. 이름은 [[금정산]]에서 따 왔다. [[영동선]] [[솔안터널]](16km)과 [[천성산]]의 [[원효터널]](13.28km), [[경기도]]의 [[일직터널]](10.3km)은 이 터널 앞에서는 아무것도 아니다. 그러나 [[2015년]] [[6월 23일]]에 [[수서평택고속선]] [[율현터널]](50.3km, 금정터널의 약 2.5배)이 관통되면서 1위 자리를 넘겨주었고, [[경강선]] [[대관령터널]](21.755km)이 관통되어 3위로 밀려났다. ||[[파일:attachment/gumjungt.jpg|width=100%]]|| || 사진의 빨간 선이 바로 금정터널[* 중간에 삐져나온 선들은 아래에서 설명할 사갱의 위치다.] || 통과하는 데 약 10분이 소요된다. [youtube(styj7ZeOtkU,start=84,end=631)] [[경부고속선]] 구간이지만 직선이 아닌데다 부산광역시 시가지 지하를 관통하는 터널이기에 제 속도를 낼 수 없어서 통과 소요시간이 길다. 이 터널이 만들어진 이유는 '''부산광역시 시내인 [[동래]] 구간으로 [[경부고속선]]을 집어넣기 위해서다.''' 고가로 지나가자니 부지 확보 문제가 있었으며 가뜩이나 땅값이 비싼 데다 주민들의 반대가 예상될 수밖에 없었고, 건물이 많은 부산광역시 시내를 지나가기 위해 지하로 뚫은 것이다. 대략적으로 볼 때 [[금정구]] [[청룡노포동|노포동]]부터 시작해서 [[동래구]], [[연제구]], [[부산진구]]를 지나 [[동구(부산광역시)|동구]] [[수정동(부산)|수정동]]까지 간다. 말 그대로 [[부산광역시|부산]] 중심가를 거의 뚫은 셈이다. [[부산역]]에서 출발하여 [[부산진역(경부선)|부산진역]] 승강장 자리에 있는 이 터널로 들어간 다음 반대편으로 나오면 바로 부산을 떠나 [[양산시|양산]]으로 넘어간다. 반대로 [[울산역]]을 지나서 달리던 열차 왼편으로 [[노포차량사업소]]가 잠깐 보이고 터널을 들어갔다면 부산에 들어왔다는 뜻이 되며, 반대쪽 터널로 나오게 되면 거의 바로 부산역이 나오므로 내릴 준비를 해야 한다. 터널을 나오자마자 거의 바로 부산역 플랫폼이 살짝살짝 보일 것이다. 또한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연선과 비슷한 선형으로 나 있는 터널이다. 상술했듯 입구 쪽과 출구 쪽 모두 1호선과 멀지 않은 위치인데, 북쪽 입구에서 노포차량기지가 보이고 남쪽 입구는 부산진역이며, 중간에 서면을 지나간다는 점이 공통점. 가장 큰 차이점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금정산]] 구간. 경부고속선의 금정터널은 금정산 밑을 그대로 뚫고 가지만, 1호선은 [[도시철도]]인 만큼 금정산 동편의 시가지를 따라간다. == 건설, 개통 == [[경부고속철도]] 1단계 공사가 거의 마무리되어 가던 [[2002년]]부터 착공했으며[*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ifemain&logNo=220123632363&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해당 블로그]]에 의하면 노포동~구서동간 14-1공구는 2002년 7월 8일에 착공하였고, 구서동~양정동의 14-2공구는 2002년 11월 18일, 마지막으로 양정동~부산진역간 14-3공구는 2004년 11월 11일에 착공하였다고 한다.], 터널 굴착 착수는 [[2004년]]~[[2005년]]경 시작되었다. [[연제구]] [[거제동]]과 [[북구(부산광역시)|북구]] [[화명동]]에 사갱[* 차량 진입도 가능하므로 개통 후에는 터널 유지보수 및 재난대비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화명동 사갱 출입구 위치는 대략 [[화명수목원]] 정류장앞([[부산 버스 금정1]]이 유일하게 경유한다), [[거제동]] 출입구는 [[연제공용차고지]],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뒤편으로 있는 [[중고차]] 시장 사직오토랜드건물 사이에 있다. 둘다 입구 혹은 입구로 들어가는 도로변에 경부고속철도 사갱 #1, #2입구라고 표시되어있으며 다른 수직갱들도 마찬가지로 안내판이 존재한다. [[https://m.blog.naver.com/oj10606/220914483470|사갱 위치]] ]을 뚫고 해당 위치에서부터 앞뒤로 동시굴착하는 방식을 썼다. 오차가 엄청날 줄 알았으나, GPS 등의 최신 기술로 단 몇 cm 단위로 줄여 버렸다. 그리고 [[2008년]]에 마침내 관통했다! 이후 레일 부설 등을 거쳐서 [[2010년]] [[11월 1일]] [[경부고속선]] 2단계가 운행을 개시하게 되어 일반에 공개되었다. 화명동과 거제동 두 곳의 사갱 이외에 네 곳의 수직구(차량 진입 불가)이 있으며, 구난 대피소도 4곳이 있다. 카카오맵 스카이뷰나 네이버지도 위성지도로 어느 정도 윤곽이 보인다. 노포동 입구 기준 부산역 방향 아래와 같은 순서대로 있다. 수직구 #1 금정구 청룡동 173-3 , 청룡동 161-2 에서 표지판 확인 가능 사갱 #1 북구 화명동 산 59-3 표지판 확인 가능 사갱 #2 연제구 거제동 산 115-5 , 거제동 산 102-4 에서 표지판 확인 가능 수직구 #2 부산진구 양정동 300-4 추정 수직구 #3 부산진구 부암동 697-7 추정 수직구 #4 동구 범일동 62-780 표지판 확인 가능 대피소는 수직구 #1과 사갱#1 사이에 2곳 , 사갱#1과 사갱#2 사이에 2곳 총 4곳이 있으며 사갱 #2 이후로 출구(부산진역)까지 약 8.3Km 구간에는 수직구 #2,#3,#4 3곳이 있어 대피소는 없다. == 중간역 추가 계획 == 이 터널은 [[동해선]] [[부전역(동해선)|부전역]] 바로 밑으로 통과한다. 부전역에 [[KTX]]가 정차한다면 터널 옆 승강장으로 잠시 나왔다가 부전역을 지나가면 다시 터널로 진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쉽게 말해 [[동탄역]]을 생각하면 된다. ||[[파일:attachment/bujeon.jpg]]|| || 금정터널 [[부전역(동해선)|부전역]] 구간 || [[https://gwanbo.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319074000512000&tocId=00000000000000001319074002510000&isTocOrder=N&name=%25EA%25B1%25B4%25EC%2584%25A4%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06-337%25ED%2598%25B8(%25EA%25B2%25BD%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6%258D%25EC%25B2%25A0%25EB%258F%2584%25EA%25B1%25B4%25EC%2584%25A4%25EA%25B8%25B0%25EB%25B3%25B8%25EA%25B3%2584%25ED%259A%258D%25E3%2580%25882%25EB%258B%25A8%25EA%25B3%2584%25E3%2580%2589)|2006년 8월 26일]], 건설교통부는 경부고속철도 건설 기본계획(2단계)을 고시할 때, 부전역을 공식 정차역으로 지정하지 않았으나 [[https://gwanbo.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319079694782000&tocId=00000000000000001319079698638000&isTocOrder=N&name=%25EA%25B1%25B4%25EC%2584%25A4%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07-459%25ED%2598%25B8(%25EA%25B2%25BD%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6%258D%25EC%25B2%25A0%25EB%258F%2584%25EA%25B1%25B4%25EC%2584%25A4%25EA%25B8%25B0%25EB%25B3%25B8%25EA%25B3%2584%25ED%259A%258D%255B2%25EB%258B%25A8%25EA%25B3%2584%255D)|2007년 11월 1일]], [[부산광역시]]가 '''지방비 또는 민자'''로 역사 신설을 추진하는 것에 대비하여 분기시설 설치비용 236억원을 경부고속철도 2단계 건설 예산에 반영하여 승강장과 선로, 분기기까지는 이미 완공되어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805681?sid=101|#]] 이후, 부산광역시는 부전역 복합환승센터 건설 사업을 추진했으나, 국비 지원을 조건으로 내걸고 있어 현재까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20802.22001215700|#]] == 기타 사항 == [[부산진역(경부선)|부산진역]]에서 지하로 들어가고 나서는 [[동해선]]을 지하로 따라 [[부전역(동해선)|부전역]] 밑으로 통과한다. [[https://www.bdi.re.kr/program/periodical/periodicalitem/outPeriodicalItem.asp?pididx=795&pdlidx=3387&idx=35660&pidx=795&didx=&cate=&SType=PdI_Title&SString=&page=|KTX 부전역 정차를 통한 역세권 개발]] 연구관련 논문의 10쪽을 참고하면 부전역 부근에서의 심도는 지하 55m이다. 이는 3호선에서 깊은 역 중 하나인 [[배산역]] 수준의 심도다. [[거제동]] 하마정교차로까지는 동해선 교각을 지하로 따라가다가 화지산으로 꺾는다. 이후 거제동 부산의료원,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과 보조경기장 사이로 관통한다.], 사직동 쇠미로를 지나면 [[금정산]] 구간을 지하로 지나간다. [[금정산]] 중간에 [[제2만덕터널]]의 하부와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을 [[http://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080626000431|상부]]로 교차해서 통과하고 산성터널과 금정구 [[금성동]]에 있는 [[공해마을]]을 관통한다. 도심에는 크고 작은 곡선 구간이 5곳[* 하마정교차로, 송공삼거리, 부암역 북동쪽, 범내골역 북서쪽, 좌천역 동쪽]이 존재하여 사실상 금정산 구간이 실질적인 고속 운행의 시종점. [[청룡노포동|노포동]] 출구 인근에 [[금정구]]청에서 역을 신설할 것을 요구했으나 묵살당했다. 네이버 지도나 구글어스 등에서 항공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역을 신설할 만한 공간이 거의 안 나오는데다 확보한다고 쳐도 역간거리가 지나치게 가까워져서[* 이렇게 되면 [[부산역]]에서 [[청룡노포동|노포동]]에 신설된 역까지의 거리는 길게 잡아도 20km. [[울산역]]은 30km. 더 큰 문제는 부산역 방향은 부전역마저 있어서 부전역까지의 거리는 15km 정도까지 줄어든다는 점이다.] 결국 묵살당하고 말았던 것. 로드뷰 찍어도 터널이 보이는 길을 찾기 어렵다. [[청룡노포동|노포동]] 출구 인근에 이 터널과 작명 기원이 동일한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금정산터널]]의 출입구가 있다. 지금까지 금정터널 내에서 나오는 지하수 유실수를 사용할 곳이 없어서 하수도로 버렸었다. 그런데 최근 동구에서 추진중인 초량천 복원사업이 있는데, 복원 후 초량천에서 사용할 하천물을 금정터널의 유실수를 끌어와서 사용한다고 밝혔다. === 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2011년]] 3월 이 터널 안에서 [[서울역|서울]]행 [[KTX]]가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해서 상행선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사고열차는 신호 오작동으로 멈춰선 것으로 밝혀졌다. 2012년 7월에도 부산행 [[KTX]]가 터널 한복판에서 멈춰서 한시간 반 동안 멈춰섰다고 한다. 일단은 전기가 차단되어 열차가 멈춰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한다. [[http://media.daum.net/society/newsview?newsid=20120727214109434|#]] 2020년 2월에도 부산행 [[SRT]]가 터널 한복판에서 갑자기 멈춰서서 열차 도착이 10분정도 지연되었다. 실제로 이 열차는 대전역 도착 시점에 이미 5분정도 지연된 상태였는데 지연되고 멈춰선 것 치고는 도착 지연 시간이 길지 않았다. 열차 내 방송에서도 신호 대기가 아닌 차량 점검이라고 하고, 열차 내에서 승무원과 기장이 분주히 움직인 것으로 보아 [[과속]]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어디까지나 추정이지만, 지연회복을 위해 무리하게 속력을 냈고 그 과정에서 [[TVM|고속선 ATC]]의 작동으로 인해 자동으로 비상제동이 체결된 상황으로 보인다.] 2022년 12월 10일 오후 11시 4분께 서울발 부산행 [[KTX]](승객 177명)가 고장으로 부산 금정터널 안에 비상 정지했다. 이 사고로 후속 고속열차 6편의 운행이 짧게는 10분, 길게는 1시간 정도 지연되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635092?sid=102|#]] [[분류:부산광역시의 터널]][[분류:경부고속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