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사성어]] [목차] ||<-4><#000> '''[[고사성어|{{{#FFF 고사성어}}}]]''' || || {{{+5 '''[[今|{{{#000,#fff 今}}}]]'''}}} || {{{+5 '''[[時|{{{#000,#fff 時}}}]]'''}}} || {{{+5 '''[[初|{{{#000,#fff 初}}}]]'''}}} || {{{+5 '''[[聞|{{{#000,#fff 聞}}}]]'''}}} || || 이제 금 || 때 시 || 처음 초 || 들을 문 || == 뜻 == 이제야 비로소 [[처음]]으로 들음. [[지금]]까지 들어보지 못 한 것을 들었다는 뜻이다. == 출전 == 1924년 불교사(佛敎社)이라는 곳에서 나온 잡지 불교제9호(佛敎第九號)에서 처음 등장한다. 내용은 간략하게 이렇다. ||(생략)반가운마음으로 낫을거의다할듯하면서 두말할것업시「바가」하엿다 丙(병)은今時初面(금시초면)으로(생략)|| [[https://kabc.dongguk.edu/content/view?dataId=ABC_BM_00013_0009_T_001&rt=T|출전]] == 예시 == "금시초문이다."라고 쓰인다. == 여담 == 가끔 금초시문이라고 잘못 쓰는 사람이 있는데, 금초시문은 인터넷 밈이다. === 영어 표현 === news to (some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