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금성백조주택 CI.svg|width=200]] || || {{{#FFFFFF '''정식 명칭'''}}} ||주식회사 금성백조주택 || || {{{#FFFFFF '''한문 명칭'''}}} ||株式會社 錦城白鳥住宅 || || {{{#FFFFFF '''영문 명칭'''}}} ||Kumsung Baekjoe Construction Corp || || {{{#FFFFFF '''설립일'''}}} ||[[1981년]] [[2월 9일]] ([age(1981-02-09)]주년) || || {{{#FFFFFF '''업종명'''}}} ||주거용 건물 건설업 || || {{{#FFFFFF '''아파트[br]브랜드'''}}} ||[[예미지|[[파일:예미지 BI.svg|width=80]]]] || || {{{#FFFFFF '''기업규모'''}}} ||[[중견기업]] || || {{{#FFFFFF '''주소'''}}} ||[[대전광역시]] [[서구(대전광역시)|서구]] [[계룡로(대전)|계룡로]]583번길 9 ([[탄방동]]) || || {{{#FFFFFF '''대표자'''}}} ||김영환 || || {{{#FFFFFF '''도급순위'''}}} ||49위^^(2023)^^ || || {{{#FFFFFF '''홈페이지'''}}} ||[[http://www.ksbj.co.kr|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1981년 [[대전광역시]]에서 창립한 중견 건설사로, [[예미지]] 브랜드로 잘 알려져 있다. 2023년 기준 전국 시공능력평가 49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대전충남지역 바깥 또는 [[예미지]] 아파트가 없는 지역에서는 주로 이 회사의 명칭을 [[예미지]] 브랜드와 함께 야구장이나 스포츠뉴스의 야구경기 장면에서 볼 때 옛날 금성사의 골드스타(Goldstar) 브랜드를 떠올리면서 낡은 옛날 회사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는 전혀 아니다. 창립 당시부터 현재의 [[LG전자]]의 전신인 금성사[* 이름이 똑같은 금성백조세탁기라는 세탁기 제품을 출시한적은 있었다.] 뿐만 아니라 현재의 [[LG그룹]]의 전신인 럭키금성그룹과도 관계없으며, 지금까지 [[LG그룹]]과 한 번도 관련된 회사였던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참고로 현재의 [[GS건설]]이 1995년 럭키금성그룹이 [[LG그룹]]으로 바뀌기 이전의 이름은 럭키개발이었고, [[LG그룹]]계열사였던 시절에는 LG건설이었다. 더구나 금성사와는 한자도 다르다.[* 금성사는 金星, 금성백조는 錦城. 비단 금(錦)은 [[금강]]의 머릿글자이며, [[조선시대|전통적으로]] 충청도를 의미하는 약칭이기도 하다.] == 대표 실적 ==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DL이앤씨|대림산업]], [[계룡건설]], [[화성산업]]와 공동 참여 * [[동구청(대전)|대전 동구청]] 신청사 * [[대전복합터미널]] * 천주교 대전교구청 신청사 * 대전 충남대학교 대전권역 재활병원 * 세종 충남대학교병원 * 대전 으능정이 LED거리 * [[대전 사이언스콤플렉스]] - [[계룡건설]], [[신세계건설]]와 공동 참여 * [[베이스볼 드림파크]] - [[한화건설]], [[계룡건설]]와 공동 참여 (2025년 3월 완공예정) * [[도레이|도레이첨단소재]] 경북 구미공장(GK 5~13Line) * [[서울우유]] 양주 신공장 - 아시아 최대 규모 * 서울 종합의료복합단지 2단계 사업 == 여담 == 대전에서는 어느 정도 알아주는 지역기업이지만, 전국적으로는 인지도 낮은 탓에 '백조씽크'와 혼동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나마 한화이글스와 키움히어로즈 후원과 야구장 펜스 광고 집행 이후 인지도가 향상되는 중이다. [[2014년]] 당시 [[금성백조주택]]이 [[대전광역시]] [[유성구]] [[죽동]]에 짓고 있던 죽동 금성백조 예미지 아파트 108동이 벽체 콘크리트 강도 부실로[* [[콘크리트]]의 기준 강도는 27MPa인데 철거한 아파트의 벽체 콘크리트 강도는 26.84MPa로 나왔다. 안전점검업체를 바꿔 콘크리트 강도를 다시 측정했을 때는 오히려 더 낮게 나왔다.] 철거 후 재시공한 [[https://youtu.be/S-oj20kAG8M00|건축업계에서 극히 드문 이례적인 사례가 있다.]] 사실 콘크리트의 강도가 설계 기준 아래로 나왔는데도 당장 철거하지 않고 거기서 3층이나 더 올리면서 시간을 끌었기에 비판받기도 했지만 만약 철거를 해놓고 봤더니 사실 안전검사가 잘못되었던 것이라면 시공사 입장에서는 멀쩡하게 다 지어놓은 건물을 때려부순 엄청난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이다 보니 혹시라도 진단 결과가 잘못 나온 것은 아닌지 안전점검업체를 여러 번 바꿔서 다시 검사를 해보는 등 신중하게 대응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특히 안전점검 결과에서 기준이 27인데 결과값이 26.84이니 규정과 불과 0.16MPa밖에 차이가 안 났다. 이 때문에 처음에는 일단 금성백조주택에서는 오차범위를 감안하면 기준을 충족한 게 아니냐고 생각했던 것 같다.[* 다만, 국토교통부 규정에 따르면 '코어 공사체 압축강도 시험 결과 3개 이상 평균값이 설계기준 강도의 85%에 도달하고, 그중 하나의 값이 설계기준 강도의 75%보다 적지 않으면 합격으로 한다'는 내용이 있다.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143278|설계기준강도 27Mpa의 85%인 22.95Mpa 이상이므로 국토부 기준에는 부합했던 것이다.]]] 그래도 결국 금성백조주택은 만에 하나 발생할 수도 있는 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손해를 무릅쓰고 자진 철거 및 재시공을 선택했기 때문에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고]]의 원인을 제공한 현대산업개발과는 다르게 시공사로서의 책임과 양심을 지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공사 초반에 철거를 결정하였기 때문에 늦지 않고 입주 시기에 맞추어 공사를 완료했고 분양을 받은 입주민들이 피해를 보는 일도 없었다. == 기타 == [[분류:금성백조주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