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보)]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국보|{{{#f39100 대한민국 국보 제200호}}}]]''' || ||<-2> {{{#fff {{{+1 '''금동보살입상'''}}}[br]{{{-1 金銅菩薩立像 }}}}}}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부산광역시 남구 부산시립박물관,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 [[유엔평화로(부산)|유엔평화로]] 63, [[부산시립박물관]] ([[대연동]], 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 || '''{{{#fff 분류}}}''' ||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보살상 || || '''{{{#fff 수량/면적}}}''' || 1구 || || '''{{{#fff 지정연도}}}''' || 1979년 4월 30일 || || '''{{{#fff 건축시기}}}''' || [[통일신라]] || [[파일:금동보살입상(국보 제200호)1.jpg|width=565]] [목차] == 개요 == 金銅菩薩立像. [[통일신라]] 초기에 만들어진 [[한국]]의 [[금동보살입상]]. 현재 [[부산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의 국보|대한민국 국보]] 제200호로 지정되어 있다. == 내용 == [[파일:금동보살입상(국보 제200호)2.jpg]] 높이 34㎝. [[통일신라]] 초창기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조성 연대는 8세기(서기 700년대)로 추정되는 불상이다. 삼국을 통일한 [[신라]]는 기존 적국이었던 [[백제]], [[고구려]] 문화를 배척하거나 파괴한 것이 아니라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고, 거기에 동시에 [[중국]] [[당나라]] 및 [[인도]], [[서역]]과의 문화교류를 활발히 진행하면서 예술계 전반에 걸쳐 중흥기를 이룩하였다. 특히 [[불교]]미술은 기존 삼국의 문화를 조화롭게 유지하는 한편 해외 각국과 교류하면서 국제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불교조각의 경우 이전 고[[신라]] 시대에 비하여 더욱 신체 비례에 균형이 잡히고 얼굴의 세부 표현이나 몸체의 양감 및 옷주름 처리 등에서 한층 뛰어난 작품들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이 보살상 또한 당시 삼국의 문화 통합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비록 1,300년의 오랜 세월이 지나며 대좌(臺座)와 [[광배]](光背)가 없어지고 일부분은 [[도금]]이 벗겨지기도 했으나 전체적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한 금동보살입상의 우수한 조형 기술을 담고 있다. [[파일:금동보살입상(국보 제200호)3.jpg]] 훗날 통일신라가 멸망한 후 [[한반도]]에서는 금동불 제작이 줄어들고 금속 조각수법이 이전 시기보다 쇠퇴하면서 대신 석불, 마애불, 철조불상의 조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현존하는 금동불의 수는 그리 많지 않다. 이 불상은 사실에 충실하면서도 육체의 관능적인 미에 흐르지 않고 자비와 위엄을 갖추고 있는 작품으로서, 통일신라 초기 신라인들의 정신력과 완숙한 기법을 보여 준다. [[파일:금동보살입상(국보 제200호)4.jpg|width=600]] 1979년 4월 30일 대한민국 국보로 지정되었다. == 외부 링크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0832&cid=46659&categoryId=46659|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금동보살입상]]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63956&cid=40942&categoryId=33380|두산백과 : 금동보살입상]] * [[https://ko.wikipedia.org/wiki/금동보살입상_(국보_제200호)|한국어 위키백과 : 금동보살입상 (국보 제200호)]]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15509&cid=55776&categoryId=56078|향토문화전자대전 : 금동보살입상]]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19310&cid=51293&categoryId=51293|e뮤지엄 : 금동보살입상]]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75531&cid=46705&categoryId=46705|미술백과 : 금동보살입상]] * [[http://tour.busan.go.kr/board/view.busan?menuCd=DOM_000000105004001001&boardId=TOUR_ASSET&dataSid=9334|부산시 문화관광 홈페이지 :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 * [[http://simjeon.kr/xe/31079|부산의 문화유산 : 국보 제200호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 == 국보 제200호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1,02000000,21&pageNo=5_1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 금동보살입상 (金銅菩薩立像)]] >부산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이 불상은 정면을 향해 가슴을 펴고 당당하게 서 있는 금동보살상으로,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는 없어졌지만 비교적 잘 보존된 작품이다. >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육계)이 높이 솟아 있으며, 이마에는 작은 구멍이 있어 예전에 관(冠)을 쓰고 있었던 것 같다. 이마의 머리카락은 사실적으로 표현하였으나 뒤에는 머리카락 표현이 없다. 풍만한 얼굴에는 반쯤 뜬 눈, 반달모양 눈썹, 오똑한 코가 새겨져 있으며, 잔잔한 미소가 번져 아름답고 자비로운 인상을 준다. 귀는 어깨까지 길게 내려오고 있으며, 목에는 굵은 3줄의 삼도(三道)가 있다. > >신체는 탄력성있게 묘사되었으며, 풍만한 가슴에서 가는 허리로 이어지는 곡선이 아름답다. 상체는 옷자락이 양 어깨에 걸쳐 발 아래까지 늘어져 있는데 왼쪽 일부가 끊어져 없고, 하체의 옷은 U자형 주름을 좌우대칭으로 표현하였다. 양 팔 아래위로 팔찌를 하고 있을 뿐 신체에는 아무런 장식을 하지 않았다. 오른손은 옆으로 올려 손바닥을 위로 하고, 왼손은 아래로 내려 가운데 손가락을 구부리고 있는데, 손모양으로 보아 정병(淨甁)을 들고 있었던 듯하다. > >당당한 신체표현에 품위와 자비를 갖추고 있는 이 불상은 통일신라 초기의 아름다운 작품이다. [[분류:대한민국의 국보]][[분류:신라의 금제유물]][[분류:금동 불상]][[분류:부산박물관 소장품]][[분류:부산광역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