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산성]][[분류:성채/대한민국]][[분류:신라/건축]][[분류:상주시의 문화재]][[분류:대한민국의 문화재자료]] [include(틀:대한민국의 산성)] ---- ||<-2> [[파일:경상북도 휘장.svg|width=28]] '''{{{#008837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31호}}}''' || ||<-2> {{{#fff {{{+1 '''금돌성'''}}}[br]{{{-1 今突城}}}}}}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산98번지, 너비=100%, 높이=200px)]}}}|| || '''소재지'''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산98번지 ||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 || '''수량 / 면적''' || 3,227,107㎡ || || '''지정연도''' || 1985년 8월 5일 || || '''건축시기''' || [[삼국시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금돌성2.jpg|width=100%]]}}} || || {{{#fff '''금돌성'''}}}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금돌성.jpg]] 今突城.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백제정벌 때 전진기지로 활용된 [[성곽]], [[산성]]. '백화산성(白華山城)' 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1985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31호로 지정됐다. == 역사 == >또 태자와 대장군 유신, 장군 품일과 흠춘 등에게 명하여 정예병사 5만 명을 거느리고 응원하도록 하고, 임금은 금돌성에 가서 머물렀다 >----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5 태종무열왕 7년조''' 삼국시대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전략적 중요성의 감소로 방치되었다가 붕괴된 것으로 보인다. 1978년 국방유적 보수사업에 따라 무너진 성벽에 대해 보수가 이루어졌다. 지리적 지형을 이용하여 쌓은 천연 요새이며 길이는 2~3㎞, 너비(폭)는 약 4m이다. 골짜기를 내려오는 성벽의 일부는 약 30㎝ 정도의 아랫부분만 남아있다. 백화산 정상부의 능선과 골짜기를 따라 쌓은 성으로, 신라 김유신 장군이 백제군과 격전한 곳이라고 전한다. 역사·지리적으로 고구려·백제·신라의 세력이 서로 맞부딪친 곳에 있으며, 삼국시대의 역사적 상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성이라 할 수 있다.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금돌성|한국어 위키백과: 금돌성]]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88453&cid=46620&categoryId=46620|한국민족문화대백과: 금돌성]]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96578&cid=40942&categoryId=33375|두산백과: 금돌성]]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57323&cid=46656&categoryId=46656|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백화산성]]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00417&cid=40942&categoryId=33084|두산백과: 백화산성]]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31호 ==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31,01310000,37&pageNo=1_1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금돌성 (今突城)]] >백화산 정상부의 능선과 골짜기를 따라 쌓은 성으로, 신라 김유신 장군이 백제군과 격전한 곳이라고 전한다. > >성은 완전하게 무너진 것을 1978년에 국방유적 보수사업으로 80m의 성벽을 복원하였다. 무너진 성벽은 약 4m 폭으로 쌓여 있었으며, 총 연장 둘레는 2∼3㎞이다. 골짜기를 내려오는 성벽의 일부는 약 30㎝ 정도의 아랫부분만 남아있다. 복원된 성벽은 밑부분의 폭이 360㎝이며, 150㎝ 정도의 높이에 군사들이 서서 활동할 수 있는 단을 설치하고, 거기서 다시 아랫폭 125㎝, 윗폭 85㎝의 성벽을 150㎝ 높이로 쌓아 올렸다. > >역사·지리적으로 고구려·백제·신라의 세력이 서로 맞부딪친 곳에 있으며, 삼국시대의 역사적 상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성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