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분류:교통]] [[분류:금강산선]] ||<-2> ''' {{{+1 금강산 전철}}} [br] 金剛山 電鐵 | Kŭmgangsan Electric Line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chi-Kongo_Station.jpg|width=100%]]}}}|| || '''분류''' ||[[사유철도]], [[국철]](1945~1950) || || '''기점''' ||[[철원역]] || || '''종점''' ||[[내금강역]] || || '''역수''' ||28개|| || '''개업일''' ||1924년 8월 1일(철원-김화 개통일) || || '''운영자''' ||금강산전기철도주식회사[* 1924~1942] -> 경성전기주식회사[* 1942~1945] -> 국영철도[* 1945~1950] [* 이 국영철도는, 남한 국영철도가 아니라 북한 국영철도를 말하는 것이다.]|| || '''사용차량''' ||'''불명''' || || '''노선연장''' ||'''116.6km'''|| || '''궤간''' ||1,435mm || || '''선로구성''' ||[[단선]] || ||'''급전방식''' ||1.500v 가공전차선|| ||'''폐업''' ||[[1950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철원군]]과 [[금강산]]을 잇는 철도 노선. 관광의 목적으로 일본인이 운영했던 노선이다. 철원역에서 시작하여 내금강역까지 약 116.6 킬로미터 구간을 이었다. 1924년에 철원-김화 구간이 개통된 뒤, 구간별로 개통하여 1931년에 전구간 개통하였다. 일제강점기 이후, 5년간 북한 국영철도에 의해 운영된 뒤, 1950년 9월까지 열차운행을 하였다. 금강산선은[[ 6.25 ]]때 많이 파괴되었고, 53년에 휴전으로 노선이 반으로 갈라졌다. 전쟁 이후 북측 부분(강원선)은 복원되었지만, 금강산선 전구간은 복원되지 않았다. == 현재 상황 == 현재는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로 나뉘어져 쉽게 접근하기는 어렵다. 다만, 1926년에 건설된 금강산선 철교(한탄강)는 여전히 건재하다. 금강산선 철교는 현재 [[등록문화재 112호]]로 지정되어 있다. == 여담 == *금강산선에서 '''[[데로형 전기기관차]]'''의 시운전을 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