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그리스 관련 문서)] [include(틀:멕시코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그리스계 멕시코인(Ελληνομεξικανοί)은 조상 중 그리스인이 있는 멕시코인 혹은 그리스에서 멕시코로 귀화한 경우를 의미한다. == 이민사 == 멕시코 이민국 통계에 의하면 1897년부터 1919년 사이 기간동안 그리스 국적 남성 43명과 여성 3명이 입국하였고, 1920년부터 1930년까지는 232명의 그리스인이 입국하였으며, 1931년부터 1942년까지 19명의 그리스인이 멕시코에 입국하였다 한다. 1919년부터 1922년 당시 그리스는 [[그리스-튀르키예 전쟁]] 중이었기 때문에 해당 기간에 비교적 이민 인구가 많았다. 그리스인들의 멕시코 이민 귀화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멕시코 정부의 적극적인 이민 유치에도 불구하고 두 가지 이유로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했다. 첫 번째로 2차대전 종전 이후 [[호주]]나 [[뉴질랜드]] 등에서 이민 정책을 바꾸어 그리스인들의 이민을 환영하기 시작했다.[* [[그리스계 호주인]] 문서 참조] 호주/뉴질랜드는 그리스인들에게 익숙한 온대 기후를 중심으로 도시와 농장이 발달했고, 근로 소득은 여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을 앞질렀다. 그리스인들이 라틴아메리카 대신 이들 지역을 이민 목적지로 선택한 것이 당연했다. 두 번째는 그리스의 경제 성장이었다. 1950년부터 1973년 동안 그리스 경제가 이른바 그리스의 기적이라 불리는 고도의 경제 성장을 이룩했던 것이다. 2차 대전 당시 호황을 누리던 라틴아메리카 여러 국가들은 그리스에게 생활수준이나 1인당 국민소득 등에서 추월당하기 시작하면서 그리스인들의 라틴아메리카 이민도 감소할 수 밖에 없었다. == 문화 == 그리스인 이민자들은 [[멕시코 시티]]나 [[과달라하라(멕시코)|과달라하라]]를 중심으로 [[그리스 정교회]] 교회를 세우고 운영하기도 했으나, 그리스계 이민자들이 워낙 소수였던 데다가 미국의 그리스 정교회 대주교구에서 이들을 방치한 이유로 대부분 가톨릭으로 개종하고 현지인들과 동화되었다.[* 마찬가지로 동일한 전례로 예배를 드리던 [[아랍계 기독교인]] 정교회 신도들 역시 상당수가 멕시코에서 정교회를 버리고 가톨릭으로 개종한 바 있다.] 2005년부로 [[그리스 정교회]]의 대주교구가 멕시코 시티에 설치되어 있는데,[*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 산하] 이는 멕시코에 체류하는 그리스 정교회 신도들을 위한 시설로 오늘날의 그리스계 멕시코인들과는 그닥 관계는 없다. 주로 멕시코에 비즈니스 목적으로 체류하는 그리스인이나 그리스계 미국인들을 위해 운영된다고 할 수 있다. == 유명인물 == * 오메로 아지드지스(Homero Aridjis) - 외교관 겸 작가 * 펠리페 무뇨스 카파마스(Felipe Muñoz Kapamas) - 멕시코 올림픽 위원장 == 관련 문서 == * [[그리스인]] / [[멕시코인]] [[분류:그리스계 인물]][[분류:멕시코의 민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