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그리스 관련 문서)] ---- [include(틀:역대 그리스 총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b5197 0%, #0d5eaf 20%, #0d5eaf 80%, #0b5197)" '''[[파일:그리스 국장.svg|width=45]][br]{{{+1 그리스 공화국 총리}}}[br]Πρωθυπουργός της Ελληνικής Δημοκρατίας[br]Prime Minister of the Hellenic Republic'''}}}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PP_Zagreb_Congress_in_Croatia,_20-21_November_2019_(49099472986)_(cropped)_2_(cropped).jpg|width=100%]]}}} || || '''현직'''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 제189대,, || || '''취임일''' ||[[2023년]] [[6월 26일]] || || '''정당''' ||[include(틀:신민주주의당)] || || '''관저''' ||메가로 막시모(Μέγαρο Μαξίμου) || [목차] [clearfix] == 개요 == [[그리스]]의 [[정부수반]]. [[오스만 제국]]에 맞서는 [[그리스 독립전쟁]]이 진행 중이던 [[1822년]]에 수립된 [[그리스 제1공화국]]에서 처음으로 정부수반에 해당하는 [[직위]]가 생겼으나, 그 당시에는 정식 명칭이 [[총리]]는 아니었고 [[국가원수]] 직위와 명확히 구분되지 않았다. [[1832년]]에 수립된 [[그리스 왕국]]에서 총리는 [[바실레프스|국왕]]을 보좌하는 [[재상]]에 불과할 때도 있었고, 실질적 정부수반일 때도 있었으며, [[그리스 제2공화국]]에서는 테오도로스 팡갈로스 [[그리스 대통령|대통령]]의 [[군사독재]] 시기를 제외하면 실질적 정부수반이었다. [[왕정복고]] 시대와 [[그리스 군사정권]]을 거친 후 수립된 제3공화국 시대에 이르러 총리는 확고한 정부수반이 되었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과거에는 국가원수의 총리 내정으로 취임할 수 있었지만, 오늘날의 제3공화국 체제에서는 [[총선]]에서 승리한 다수당에서 총리 내정자의 신임투표를 열고 투표에서 찬성이 되면 대통령의 재가로 취임할 수 있다. == 여담 == * 과반수를 넘는 당이 없을 때는 대부분 연정을 시도하여 그리스의 총리를 배출한다. 대통령이 그 연정을 시도할 당에 차례대로 의사를 전달하는데 자세한 내용은 [[그리스/정치]] 문서 참조. == 둘러보기 == [include(틀:총리 및 수상 일람)] [각주] [[분류:그리스 총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