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탈리아의 자동차 브랜드)] ---- ||<-2>
{{{#000000,#FFFFFF {{{+1 '''Gruppo Bertone'''}}} [br] 그루포 베르토네}}} || ||<-2> [[파일:bertonelogo.webp|width=150]] || || {{{#000000 '''정식 명칭'''}}} ||Gruppo Bertone || ||<:> '''{{{#000000 한국어 명칭}}}''' ||그루포 베르토네 || ||<:> '''{{{#000000 설립일}}}''' ||[[1912년]] || ||<:> '''{{{#000000 설립자}}}''' ||지오반니 베르토네 || ||<:> '''{{{#000000 소재지}}}'''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 '''{{{#000000 업종}}}''' ||자동차 제조업 || ||<:> '''{{{#000000 링크}}}''' ||[[https://bertone.i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의 [[코치 빌드|자동차 디자인 전문 업체]]. == 상세 == === 역사 === 1912년에 마차/수레 공방[* 이탈리아어로 [[카로체리아]](Carrozzeria), 영어로는 [[코치빌더]](Coachbuilder)라고 부르며, 자동차 업종으로 전환하면서 카로체리아와 코치빌더는 자동차 디자인 전문업체들을 이르는 표현이 되었다.] 출신인 지오반니 베르토네(Giovanni Bertone)가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설립하였다. 또한 자동차 경주에 참여해 온 아들 누치오 베르토네(Nuccio Bertone)가 1952년부터 디자이너로서 활약하면서[* 미국 사업가 스탠리 H. 아놀트(Stanley H. "Wacky" Arnolt)의 의뢰 하에 아버지 지오반니, 아들 누치오, 그리고 지오반니 미켈로티가 디자인한 아놀트-[[MG]] 쿠페를 토리노 모터쇼에 출품하면서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다.] 베르토네는 더더욱 번성했다. 또한 알파 로메오 줄리에타 스프린트를 출시, 생산한 1954년[* 토리노 모터쇼 출품 후 수백 건의 수주가 들어와서 양산으로 이어졌고, 베르토네에서 11년간 총 4만 대를 생산했다.]을 기점으로 토리노의 그룰리아스코(Grugliasco)에 대량생산 대행을 위한 자체 생산시설도 갖추었다. 덕분에 베르토네에서는 1960년대부터 각종 특별차와 컨셉트카를 포함해 약 3만 대 규모를 생산, 제작하기도 했으며, 디자인 업무도 번성하여 1950년대에 누치오와 초창기부터 일하던 프랑코 스카글리오네(Franco Scaglione)를 비롯해 마르첼로 간디니, [[조르제토 주지아로]] 같은 차기 디자이너들도 양성, 배출하여 1970~1980년대 이탈리아의 자동차 산업이 번성하는 데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조르제토 주지아로는 베르토네에서 독립한 뒤 [[이탈디자인 주지아로]]를 차려 피아트, 란치아 등이 있던 자국 이탈리아를 넘어 독일, 영국, 일본같은 해외에서도 활동했으며 대한민국, 세르비아 같은 각종 개발도상국의 자동차산업에도 한 몫 기여했다.] 생산외주도 활발하게 맡아 누치오가 사망한 1997년에는 7만 대 생산능력을 갖추면서 피아트 푼토, 오펠 아스트라 컨버터블의 생산계약을 통해 2만 1천 대의 차를 생산하기도 했고, [[제너럴 모터스]]에서도 지분을 인수하려고 했을 정도였다.[* 잭 스미스 당시 GM 회장은 약 5~30% 가량의 지분을 사려고 했지만, 누치오 베르토네의 반대로 지분 인수는 무산되었다.] 누치오가 사망한 후에는 배우자 릴리 베르토네(Lilli Bertone)와 두 딸[* 건축학과 출신의 첫째인 마리-장르(Marie-Jeanne)와 경영학과 출신의 둘째인 바바라(Barbara)가 각각 디자인 파트의 부사장, 그리고 생산 파트의 재무감독을 담당했고 각 배우자들도 회사 경영진으로 임명되었다.]이 회사를 이어받았고, 100주년을 맞는 2012년까지 회사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경영을 이어 갔다. 하지만 경영진들 간의 내부갈등이 생겨 회사 경영에 차질을 빚었으며,[* 생산 파트만 해도 1976년부터 베르토네에서 근무하던 경영진 파올라 카카모(Paolo Caccamo)가 베르토네 가와의 갈등([[BMW X3]]의 생산외주를 두고 바바라의 배우자가 감정적으로 반대의사를 표한 것이 결정적이었다)으로 2000년 말에 퇴사했고, 후임인 브루노 세나(Bruno Cena)[* 전직 F1 드라이버이며 [[아일톤 세나]]의 조카인 [[브루노 세나|브루노 세나(Bruno Senna)]]가 아니다.]도 베르토네의 생산 파트를 바로잡았지만 새로운 생산외주 계약을 맺지 못한데다가 베르토네 가에서 권한 이상으로 부담을 지우려고 하자 2003년 말에 퇴사했다. 이후 릴리가 직접 생산 파트를 관할했으나 2005년에 [[오펠]]이 비용 및 품질을 이유로 계약을 종료하자 생산 파트의 가동불능으로 이어졌다. 또한 릴리가 생산 파트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점에 바바라 부부도 불만을 느끼고 2006년 3월에 회사를 그만두었다. 결국 몇 차례 매각 시도 끝에 생산 파트는 [[피아트]] 그룹이 인수, [[마세라티 콰트로포르테]]를 생산하는 공장으로 전환했다.[[https://europe.autonews.com/article/20000925/ANE/9250839/bertone-chairman-quits-to-join-italian-rival|#]]][* 디자인 파트도 상황은 비슷해서 디자인 수주가 급감하자 인력도 반토막났고, 수장이 여러 차레 바뀌는 혼란을 겪는 건 물론 2013년부터는 임금 체불까지 벌어질 정도로 상태가 심각해졌다.] 나아가 2007년을 기점으로 한 디자인 전문업체의 몰락, 그리고 2008년의 경제 위기를 이기지 못하고 2014년에 최종 도산하여 문을 닫았다.[[http://www.iautocar.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76|#]] 2020년, 장-프랑크 리치와 마우로 리치(Jean-Franck and Mauro Ricci)가 회사를 인수했다. 2022년 11월에는 그루포 베르토네 설립 110주년을 기념하는 콘셉트 카의 티저를 공개했다. 람보르기니 쿤타치를 포함하여 그루포 베르토네 계열의 쐐기형 스포츠카 및 슈퍼카를 연상시키는 디자인 큐가 적용되었다.[[https://www.carscoops.com/2022/11/bertone-teases-new-supercar-to-herald-the-brands-revival/|#]] === 디자인한 차종 === * 아놀트-MG * [[아바스(자동차)|아바스]] 1500 비포스토(Biposto) * [[알파 로메오]] B.A.T. 시리즈 * [[알파 로메오 줄리에타]] 스프린트[*C 당시 베르토네에 있던 프랑코 스카글리오네(Franco Scaglione)가 디자인했다.] * 아놀트-[[브리스톨]][*C 당시 베르토네에 있던 프랑코 스카글리오네(Franco Scaglione)가 디자인했다.] * [[NSU 프린츠|NSU 슈포르트 프린츠]][*C 당시 베르토네에 있던 프랑코 스카글리오네(Franco Scaglione)가 디자인했다.] * [[마쓰다 루체]] 1세대[*B 당시 베르토네에 있던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디자인했다.] * [[람보르기니 미우라]][*A 당시 베르토네에 있던 마르첼로 간디니가 디자인했다.] * 피아트 850 스파이더[*B 당시 베르토네에 있던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디자인했다.] * 피아트 디노 쿠페[*B 당시 베르토네에 있던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디자인했다.] * 알파 로메오 몬트리올[*A 당시 베르토네에 있던 마르첼로 간디니가 디자인했다.] * 람보르기니 에스파다[*A 당시 베르토네에 있던 마르첼로 간디니가 디자인했다.] * [[람보르기니 쿤타치]][*A 당시 베르토네에 있던 마르첼로 간디니가 디자인했다.] * 피아트 X1/9와 아우토비앙키 A112 런어바웃 컨셉트[*A 당시 베르토네에 있던 마르첼로 간디니가 디자인했다.] * [[란치아 스트라토스]][*A 당시 베르토네에 있던 마르첼로 간디니가 디자인했다.] * [[인노첸티 미니]] 1974년식 * [[피아트 131]] 아바스 * [[시트로엥 BX]] * [[오펠 카데트]] 6세대 컨버터블 * [[볼보 780]] * [[스코다 파보릿]] * [[시트로엥 XM]] * 시트로엥 ZX * [[시트로엥 잔티아]] * [[대우 에스페로]] * [[대우 차세대트럭]] * [[삼성 야무진]][* 닛산 아틀라스 베이스지만 전면부만 디자인했다.] * [[치제타 V16T]][*A 당시 베르토네에 있던 마르첼로 간디니가 디자인했다.] * [[람보르기니 디아블로]][*A 당시 베르토네에 있던 마르첼로 간디니가 디자인했다.] * [[오펠 아스트라]] 1세대 컨버터블 / 2세대 컨버터블과 쿠페 * [[알파 로메오 GT]] * 치루이 A1 * 리쉬 G5(Riich G5)[* [[체리자동차|치루이기차]] 산하 리쉬 브랜드의 중형 세단으로 2009~2013년 사이 생산.] * 알파 로메오 판디온 컨셉트 * 베르토네 누치오 컨셉트[* 2012년에 그루포 베르토네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출품했다.] * Frecciarossa 1000[* 이탈리아의 고속철도 차량이다.] === 생산한 차종 === * NSU 슈포르트 프린츠 * 피아트 850 스파이더 * 피아트 X1/9 * 볼보 780 * 베르토네 프리클라임버 * [[피아트 푼토]] 카브리올레[*! 생산대행만 담당했다.] * 오펠 아스트라 1세대 컨버터블 / 2세대 쿠페와 컨버터블 * [[BMW 모토라드|BMW]] C1[*! 생산대행만 담당했다.] * [[미니|미니 쿠퍼 GP]][*! 생산대행만 담당했다.] == 참고 자료 == * [[https://en.m.wikipedia.org/wiki/Gruppo_Bertone|위키백과 영문판]] * [[https://www.roadandtrack.com/car-culture/a6361/the-fall-of-the-house-of-bertone/?src=socialflowFB&fbclid=IwAR3LAlRTuEns9EK2X4O4WmIyMO8J7TAKV5IHE2YyPUU5wOWVuEJbRN5ZE0Y|로드 앤 트랙 기사]][* 베르토네의 흥망성쇠, 특히 말년과 당시 상황을 세세하게 정리했다.] [[분류:이탈리아의 자동차 제조사]][[분류:디자인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