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56년 출생]][[분류:스페인의 축구감독]][[분류:레알 바야돌리드 CF/역대 감독]][[분류:라요 바예카노/역대 감독]][[분류:RCD 마요르카/역대 감독]][[분류: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역대 감독]][[분류:말라가 CF/역대 감독]][[분류:세비야 FC/역대 감독]][[분류:베이징 궈안/역대 감독]][[분류:상하이 선화/역대 감독]][[분류:구이저우 FC/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2A3C 2%, #F09C68 2%, #F09C68 4%, #5F5596 4%, #5F5596 6%, #E62A3C 6%, #E62A3C)" {{{#FFEC4B '''그레고리오 만사노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대표팀'''}}} || || || || || || ||<-4> {{{#333333,#cccccc '''클럽'''}}} || || [[틀:아틀레티코 마드리드 감독|[[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2017~2024).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a81f29; font-size: 0.9em" [[틀:아틀레티코 마드리드 감독|{{{#ffffff '''A. 마드리드'''}}}]]}}}[br]{{{-2 91대, 99대}}} || [[틀:세비야 FC 감독(41대~80대)|[[파일:세비야 FC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f; font-size: 0.9em;" [[틀:세비야 FC 감독(41대~80대)|{{{#eb2626 '''세비야'''}}}]]}}}[br]{{{-2 71대}}}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000000,#e5e5e5 {{{+1 '''스페인의 축구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nzano.jpg|width=100%]]}}} || ||<-2> '''이름''' || {{{+1 '''그레고리오 만사노'''}}}[br]'''Gregorio Manzano''' || ||<-2> '''본명''' ||그레고리오 "고요" 만사노 바예스테로스[br]Gregorio "Goyo" Manzano Bellestros || ||<|2><-2> '''출생''' ||[[1956년]] [[3월 11일]] ([age(1956-03-11)]세) || ||[[스페인국]] [[아스투리아스]]주 바일렌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2> '''신체''' ||미상 || ||<-2> '''직업''' ||[[축구감독]] || || '''소속''' || '''감독''' ||[[산티스테반 CF]] (1983~1985)[br][[빌라카릴로]] (1985~1986)[br][[일리투르기 CF]] (1986~1988)[br][[빌라누에바]] (1988~1989)[br][[FC 우베다]] (1989~1990)[br][[하엔]] (1990~1991)[br][[마르토스]] (1991~1993)[br][[탈라베라]] (1996~1998)[br][[CD 톨레도]] (1998~1999)[br][[레알 바야돌리드 CF]] (1999~2000) [br] [[라요 바예카노]] (2001~2002) [br] [[RCD 마요르카]] (2002~2003) [br]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03~2004) [br] [[말라가 CF]] (2004~2005) [br] [[RCD 마요르카]] (2006~2010) [br] [[세비야 FC]] (2010~2011) [br]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1) [br] [[RCD 마요르카]] (2013) [br] [[베이징 궈안]] (2014~2015) [br] [[상하이 뤼디 선화]] (2015~2016) [br] [[구이저우 헝펑 즈청]] (2017~2018)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페인]]인 축구 감독이다. [[라 리가]]에서 활동하다가 2014년 이후 [[중국 슈퍼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 지도자 경력 == === 초기 경력 === 처음에는 축구선수를 꿈꿨으나 선수경험이 없는 특이한 경력의 소유자인데 이는 한국나이로 중학생 무렵 큰 부상을 당했기 때문이다. 부상 이후 축구감독이 되겠다고 다짐하며 라리가의 감독이 된 입지전적인 인물. 심리학 박사 학위까지 취득한 심리학 전공자로 고등학교 교사를 하다가 학교 축구 클럽을 맡으며 축구계에 데뷔했다. 1990-91년 4부리그팀인 레알 하엔(Real Jaén)을 맡으며 본격적으로 전업 감독이 되었다. 이 팀은 시즌을 4위로 마쳤고, 이후 2~3부팀을 맡으면서 지도력을 보여서 팀들을 승격, 프리메라 리가에서 주목을 받게 되었다. === [[프리메라 리가]] === 이렇게 주목을 받아서 1999년 당시 프리메가리가에 있던 [[레알 바야돌리드]]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이후 여러 팀을 맡았는데, 레알 마드리드나 바르셀로나 같은 팀이 아니라 주로 저예산을 쓰는 팀을 맡아 높은 [[가성비]]를 보여주는 감독으로 인정받았다. 그리하여 2002-3년 시즌에서는 [[RCD 마요르카]]를 이끌고 [[코파 델 레이]]에서 우승했다. 이 때 준결승에서 [[레알 마드리드]], 결승에서는 [[RC 레크레아티보 데 우엘바]]를 꺾었다. 하지만 정규리그에서는 좀처럼 상위권으로 올라가지 못했다. 그 이유는 이 감독이 맡는 팀은 주로 저예산팀이었기 때문. 2007-8년에는 [[돈 발론 상]]에서 올해의 감독상을 타기도 했다. 2006-2010년 마요르카를 맡았고, 마지막 시즌은 5위로 마쳤다. 이후 팀을 떠났다가, 2010년 시즌 [[세비야 FC]]의 감독 안토니오 알바레스가 9월에 경질되자 맡아서 5위로 마쳤지만 재계약은 하지 않았다. 2011-12시즌에 라리가 4강중 한 팀인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감독에 선임되었는데, 처음에 [[라다멜 팔카오]]와 [[아르다 투란]]의 활약에 힘입어 잘 나가다가 연패, 14위까지 떨어져 2011년 12월에 중도 해임되는 굴욕을 겪기도 했다. 후임이 [[디에고 시메오네]]였고, 시메오네는 팀을 추스려 5위로 마감한다. 2013년 시즌중 마요르카 감독으로 복귀하였으나, 성적이 신통치 않아서 재계약에는 실패하였다. === [[중국 슈퍼 리그]] === 2014-15년 [[베이징 궈안]]에 부임하였다. 이때 아챔에서 한국 팀들(수원, 전북)과 상대했기 때문에 한국에서도 알려져 있다. 2014년, 2015년 시즌에서 각각 3, 2위를 했고, 상당히 좋은 성적이었으나 재계약에 실패하였다. 베이징에 있을 때는 [[하대성]]을 중용했다. 2016년에는 [[상하이 선화]]를 맡았으나 4위로 리그를 마친 후 다시 해임되었다. 2016년 상하이를 나온 이후, 스페인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선수들은 상명하복에 길들여져 있어서 현대 축구개념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창의적인 플레이를 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사실 구단주의 조급증 때문에 해임되었긴 하지만 성적 자체는 그다지 나쁘지 않았기 때문에, 중국리그에서 다시 기회를 잡았고, 2017년에는 [[중국 갑급 리그]]에서 승급된 [[구이저우 헝펑 즈청]]을 맡아서 중위권을 달리고 있다. 2017년 시즌을 8위로 마쳐 1년 재계약에 성공했다. 2018년 전반기를 꼴찌로 마치는 부진한 성적으로 해임되었다. 후임은 1990년대 후반의 [[첼시 FC]] 전설적인 [[윙백]]출신인 [[단 페트레스쿠]]. == 평가 == 저예산팀을 맡았을 때는 특히 능력을 보여주는 감독이다. [[가성비]]는 끝내주는 감독이지만, 우승을 노린다면 조금 생각해봐야 하는 감독이다. 나름 강팀인 세비야와 아틀레티코를 맡았을 때 죽을 쑨게 이런 평가를 고착시켰다. 그렇기 때문에 [[FC 바르셀로나]]나 [[레알 마드리드]]같은 강팀의 감독이 되지 못하고 중하위권 팀에 머물다가 중국 리그까지 왔는데, 중국리그에서도 괜찮은 성적을 내고는 했지만 역시 우승을 하는데 실패한 감독이다. 이에 대해서는 위기 대처 능력이 부족함이 주요 요인으로 뽑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