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지역사랑상품권)]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그래서울.jpg|width=100%]]}}}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0]] {{{+1 {{{#fff '''그래서울'''}}}}}} || || 운영 대행사 ||[[코나카드|코나아이]] || || 주관 ||[[서울특별시]] [[자치구]](현재는 강동구만) || || 사용처 ||서울 각 자치구 소재 모든 사업장[* 당연히 온라인 결제는 안되고 백화점,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사행성업소, 일부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은 제외한다.] || ||<-2>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gov.seoul.yesseoul|[[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width=27]]]] [[https://apps.apple.com/us/app/%EA%B7%B8%EB%9E%98%EC%84%9C%EC%9A%B8/id1523582061|[[파일:App Store 아이콘.svg|height=30]]]]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의 카드형 [[지역화폐]]이다. 기존 [[서울사랑상품권]]에 이어 카드형으로 추가 출시하는 지역화폐로 앱은 2020년 7월 28일 출시했으나, 30일부터 서울시 강동구를 시작으로 기존 모바일 지역화폐인 [[서울사랑상품권]]에 이어서 추가로 카드형을 출시한다면 이쪽으로 출시가 될 가능성이 높다. == 자치구 카드 목록 == === 강동빗살머니 (강동구) === ||<-2>
{{{#0000ff 강동빗살머니}}} || ||<-2> [[파일:강동빗살머니.jpg|width=100%]] || || 주관 || 서울특별시 강동구 || || 출시일 || 2020년 7월 30일 || || 사용처 || 서울특별시 강동구 소재의 모든 사업장 || || 링크 || [[https://www.gangdong.go.kr/nodong/site/main/board/notice/312|강동구청 공지사항]] || 서울특별시 강동구 주관의 카드형 지역화폐로 강동빗살머니의 명칭 유래는 암사동 ‘빗살무늬 토기터’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서울특별시 자치구 주관의 최초 카드형 상품권으로 최초 그래서울 앱 소속이다. 강동구는 우선 블록체인 기반 [[노원구]]의 [[노원]]과 [[서울사랑상품권|노원사랑상품권]]처럼 2가지 방식 통용 지역이 된다.[[https://cm.lawissue.co.kr/view.php?ud=202007131303121782204ead0791_12|기사 참조]] 상시 7% 할인으로 구매 가능하며 최초 구매는 50만원으로 앱 회원은 상향시 200만원까지 구매 가능하다. == 출시 예정 자치구 == 아직 타 자치구는 도입 의사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다른 서울시 자치구가 카드형을 코나아이로 도입할 경우 그래서울 앱 소속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 --마침 인지세를 같은 서울 자치구인 영등포구의 영등포세무서에 내고있다.-- == 지역화폐 혜택 == *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 매장의 할인정보를 알려준다. *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된 할인혜택을 알려주기도 한다. == 단점 == * 디자인이 다양하지 않다. 특히 인천광역시의 [[인천e음 카드]]와는 다르게 어린이 용돈카드로도 활용이 가능한 6~13세 어린이용 디자인이 없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인천e음카드의 경우에는 점박이물범 친구들 디자인이 유일한 어린이용 디자인이고 고양시 고양페이는 교통권종에 한해 어린이들도 함께 사용 가능하다.] * 서울시 전체가 아닌 해당 자치구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범위가 좁다. 그러나 이는 애초 [[지역화폐]]의 유통 목적이 각 지역사회 내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므로, 자치구 구역의 가장자리 부근에 거주하여 사실상 생활권이 타 자치구에 위치하는 일부 인구가 아닌 이상 단점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 같이 보기 == * [[코나카드/지역사랑상품권]] [[분류:서울특별시]][[분류:선불형 지불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