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그때그때 달라요'''는 [[2004년]] [[10월 14일]]부터 [[2005년]] [[4월 14일]]까지 방영한 [[웃음을 찾는 사람들]]의 코너다. [[컬투]]가 출연하였다. 영어강사 컨셉의 미친소가 영어 문장을 엉터리로 해석한다. 예를 들면 'I wish a happy new year.'라는 문장을 '아이(I)가 자기성이 위씨여(wish a)라고 해피(happy)라는 개에게 말하는데 그 개는 누워(new year)있다'라는 의미로 해석하는 식.[* 이외에도 특정 단어에 'ㅇㅇ접속사/대명사'로 정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개 대명사 해피(happy).아니면 담배 상표명=>[[니코틴]]대명사] '''[[여러분 이거 다 거짓말인 거 아시죠|또한 대한민국의 영어 만능주의와 교육 실태를 풍자하였다.]]''' == 등장인물 == * 미친소 - [[정찬우]] 분.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고 머리에 [[해바라기]] 꽃을 단 영어강사다. 정찬우가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고 튀어나오는 모습이 ‘미친소’ 같아서 김태균이 '미친소'라고 불렀다가 그대로 ‘미친소’가 되었다. 나중에는 아예 옷의 등에 소 그림을 붙여놓았다. 명대사는 "지금부터 저의 해석에 대해서 절대로 충격받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인 거죠?", "그건 그때그때 달라요", "쌩뚱맞죠~" 등.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고 등장할 때 나오는 음악은 [[Bee Gees]]의 [[Stayin' Alive]].[* 첫 2회는 오프닝 음악인 ABC Song이 나왔다. 1회는 전주만 나온 뒤 방청객과 함께 무반주로 합창했으며, 2회는 음악이 그대로 나왔다.] 인기가 상당했기에 [[https://bbs.ruliweb.com/family/211/board/300075/read/1682000?search_type=subject_content&search_key=%EB%AF%B8%EC%B9%9C%EC%86%8C&page=2|미친소 브라더스]]라는 고전 짤방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다만 억지스러운 부분도 있다는 평이 있다. * 김태발 조교 - [[김태균(방송인)|김태균]] 분. 특유의 짜증나는 목소리가 특징. 미친소의 해석에 맞장구 치며 보조하고 마지막에 해석한 내용을 정리한다. 정말 말도 안 되는 해석엔 "이 미친소야, 그게 말이 돼?", "무슨 접속사랑 대명사밖에 없어!" 라고 일침을 가하기도 한다. == 기타 == 당시 웃찾사의 인기를 개콘에 견줄만한 반열에 올렸던 인기 코너들 중에서도 최고의 인기를 누렸다. 컬투는 이 코너를 계기로 정상급 개그맨으로 발돋움했다. 이 컨셉으로 광고도 여러 개 촬영하고 웃찾사가 한국인이 선호하는 개그 프로그램 1위로 뽑히는 등 전성기에 들어서게 된다. 코너 종료 몇 달 뒤에 시즌2로 다시 돌아오기도 했다. 이번에는 국어강사로 한국어 문장을 엉터리로 해석하는 식. 하지만 5화만에 막을 내렸다. 2014년 정찬우가 [[Let It Go(겨울왕국)|Let It Go]]를 그때그때 달라요 식으로 [[https://www.youtube.com/watch?v=tsJLxjcgNFU|해석하기도 했다.]] 이후 [[두시탈출 컬투쇼]]에서 정식으로 [[https://www.youtube.com/watch?v=XHAVBsH1I4w|방송하였다.]] 2015년 [[룸메이트(방송)|룸메이트]]에서 [[마룬5]]의 Moves Like Jagger를 [[https://www.youtube.com/watch?v=EMCnsWxTZtw|해석하였다.]] 2017년에 [[http://kdtj.kipris.or.kr/kdtj/grrt1000a.do?method=biblioTMFrame&masterKey=4020160116205&index=12&kindOfReq=A&valid_fg=|상표로 등록되었다.]] [[분류:2005년 종영/웃음을 찾는 사람들 코너]][[분류:컬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