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C The Max의 앨범)] [목차] == 개요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cthemaxost7.png|width=60%&align=center]]}}} || ||<-6><#222021> {{{#ffffff '''냄새를 보는 소녀 OST Part 5'''}}} || ||<-3><#222021> {{{#ffffff 총 7분 06초}}} ||<-3><#222021> {{{#ffffff 2015년 04월 23일 발매}}} || || {{{#ffffff 트랙}}} || {{{#ffffff 곡명}}} || {{{#ffffff 러닝타임}}} || {{{#ffffff 작사}}} || {{{#ffffff 작곡}}} || {{{#ffffff 편곡}}} || || 1 || '''그 남잔 말야'''^^{{{#red TITLE}}}^^ ||<|2> 03:33 || 미친감성 ||<-2><|2> 미친감성 || || 2 || '''그 남잔 말야 (inst.)''' || - || == 앨범 소개 == ||
<#222021><:><-2> {{{#ffffff 앨범 소개}}} || ||<#ffffff,#1f2023><-2> 최고의 밴드 '엠씨더맥스' 상반기 최고의 화제 드라마 SBS [냄새를 보는 소녀 OST] 로 돌아온다... [냄새를 보는 소녀 OST Part.5] 의 주인공 은 최고의 음원 강자 밴드 '엠씨더 맥스' 이다. "그 남잔말야" 는 또 한번 '엠씨더 맥스' 보컬 '이수' 의 경이로운 보컬 능력을 느낄 수 있는 또 하나의 곡이다. 곡의 초반부 에선 잔잔하며 감미로움을 후렴에서는 폭발적인 느낌을 모두다 한곡안에서 들어 볼 수 있는 '엠씨더 맥스' 만의 종합 선물 세트이다. "그 남잔 말야" 의 곡 구성 역시 독특한 편곡을 자랑한다. 화려하며 절제있는 전민혁의 깔끔한 드럼 연주와 튀지 않으면서 절제의 미를 충분히 갖춰 곡과의 조화를 잘 이룬 제이윤의 베이스 플레이, 그리고 마지막 후렴에서 왈츠 느낌의 화려한 오케스트레이션으로 편곡 되어 다소 반주에 집중이 될 수도 있으나, 마지막 후렴을 듣는 순간 그 어떤 화려한 편곡도 이수의 목소리를 이길수 없다는걸 느낄 수 있게 하듯이 아무도 흉내낼 수 없는 그의 폭발적인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곡 "그 남잔 말야" 는 'M.C THE MAX' 만의 발라드의 계보를 이을 또 하나의 명곡이 될 것이다. OST 제작사인 (주)도너츠 뮤직은 갈수록 극의 흐름이 깊어지고 최고의 가창자들로 라인업을 갖춘 명품 OST "냄새를 보는 소녀" 는 상반기 최고의 히트작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박유천, 신세경, 남궁민, 윤진서가 주연을 맡은 SBS 수목드라마 "냄새를 보는 소녀" (연출 백수찬 작가 이희명)는 3년 전 바코드 살인사건으로 여동생을 잃은 무감각적인 한 남자와, 같은 사고를 당하고 기적적으로 살아났지만 이전의 기억을 모두 잃은 초감각 소유자인 한 여자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이다. || == 뮤직 비디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U5AWFh52Bk, width=100%, align=center)]}}} || || '''▲ 뮤직비디오''' || == 가사 == ||
<:> {{{#fff '''{{{+3 그 남잔 말야}}}'''}}}|| ||<:>바람 부는 이런 날엔 넌 어디서 뭘 하는지 오늘따라 오늘따라 궁금해 너무 쉽게 잊혀지면 흩날리는 저 꽃잎처럼 그 거리에 널 부르며 서 있어 미'''{{{#green 치도록 널}}}''' '''{{{#yellowgreen 사}}}'''랑한 남자'''{{{#yellowgreen 가}}}''' 있었어 그 '''{{{#green 남잔 말야 아}}}''''''{{{#yellowgreen 직}}}'''도 네 '''{{{#yellowgreen 추}}}''''''{{{#green 억}}}'''에 '''{{{#yellowgreen 살}}}''''''{{{#green 아}}}''' 네가 너무 그리워 '''{{{#yellowgreen 네}}}'''가 '''{{{#yellowgreen 너}}}'''무 '''{{{#yellowgreen 그}}}'''리'''{{{#yellowgreen 워}}}''' 정'''{{{#yellowgreen 신}}}''' '''{{{#green 못}}}''' '''{{{#orange 차}}}''''''{{{#green 릴}}}''' '''{{{#yellowgreen 만}}}''''''{{{#green 큼}}}''' 느'''{{{#yellowgreen 껴}}}''''''{{{#green 지}}}'''니 느'''{{{#yellowgreen 껴}}}''''''{{{#green 지}}}'''니 내 '''{{{#yellowgreen 맘}}}''''''{{{#green 이}}}''' 혼자 걷는 밤거리가 이렇게나 쓸쓸한지 이별 후에 이별 후에 배웠어 미'''{{{#green 치도록 널}}}''' '''{{{#yellowgreen 사}}}'''랑한 남자'''{{{#yellowgreen 가}}}''' 있었어 그 '''{{{#green 남잔 말야 아}}}''''''{{{#yellowgreen 직}}}'''도 네 '''{{{#yellowgreen 추}}}''''''{{{#green 억}}}'''에 '''{{{#yellowgreen 살}}}''''''{{{#green 아}}}''' 네가 너무 그리워 '''{{{#yellowgreen 네}}}'''가 '''{{{#yellowgreen 너}}}'''무 '''{{{#yellowgreen 그}}}'''리'''{{{#yellowgreen 워}}}''' 정'''{{{#yellowgreen 신}}}''' '''{{{#green 못}}}''' '''{{{#orange 차}}}''''''{{{#green 릴}}}''' '''{{{#yellowgreen 만}}}''''''{{{#green 큼}}}''' 느'''{{{#yellowgreen 껴}}}''''''{{{#green 지}}}'''니 느'''{{{#yellowgreen 껴}}}''''''{{{#green 지}}}''''''{{{#orange 니}}}''' '''{{{#green 내}}}''' '''{{{#yellowgreen 사}}}''''''{{{#green 랑아}}}''' 바람부는 이'''{{{#yellowgreen 런}}}''' '''{{{#green 날}}}'''에 그리운 사'''{{{#yellowgreen 람}}}''' '''{{{#green 너}}}''''''{{{#yellowgreen 야}}}''' [* '''전조 : A♭ → A'''] 미'''{{{#blue,#dodgerblue 치도록 널}}}''' '''{{{#green 사}}}'''랑한 남잘 '''{{{#green 넌}}}''' 잊었니 그 '''{{{#blue,#dodgerblue 남잔 말야 아}}}''''''{{{#green 직}}}'''도 너'''{{{#green 오}}}''''''{{{#blue,#dodgerblue 길}}}''' 기'''{{{#green 다}}}''''''{{{#blue,#dodgerblue 려}}}''' 네가 너무 그리워 '''{{{#green 네}}}''''''{{{#yellowgreen 가}}}''' '''{{{#green 너}}}''''''{{{#yellowgreen 무}}}''' '''{{{#green 그}}}''''''{{{#yellowgreen 리}}}''''''{{{#green 워}}}''' 정'''{{{#green 신}}}''' '''{{{#blue,#dodgerblue 못}}}''''''{{{#red 차}}}''''''{{{#blue,#dodgerblue 릴}}}''' '''{{{#green 만}}}''''''{{{#blue,#dodgerblue 큼}}}''' 느'''{{{#green 껴}}}''''''{{{#blue,#dodgerblue 지}}}'''니 느'''{{{#green 껴}}}''''''{{{#blue,#dodgerblue 지}}}''''''{{{#red 니}}}''' '''{{{#blue,#dodgerblue 내}}}''' '''{{{#green 사}}}''''''{{{#blue,#dodgerblue 랑아}}}''' || ||2옥타브 솔(G4) 구간은 '''{{{#yellowgreen 연두색}}}''', 2옥타브 솔♯(G♯4) 구간은 '''{{{#green 초록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blue,#dodgerblue 파란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orange 주황색}}}''', 2옥타브 시(B4) 구간은 '''{{{#red 빨간색}}}'''|| == 곡 분석 == * 조성 : 내림가장조(A♭) → 가장조(A) * 최고음 : '''2옥타브 시(B4)''' 엠씨더맥스 노래 치고는 옥타브가 높지 않은 편이나 역시 웬만한 3옥타브 발라드 이상의 난이도를 가진 헬곡. 중음부 연타가 잡아먹는 호흡량이 꽤 큰 편이다. 그냥 크면 다행인데 중음을 계속 늘어뜨리며 연타하고 끝마다 한 호흡으로 2옥타브 후반대의 음을 수 초간 이어야 한다는 게 심히 고역. 어택을 줘야 하는 발음이 많아 음이탈이나 샵이 날 위험이 높으니 주의. 의외로 저평가된 감도 있는데 [[사랑을 외치다|사치다]], [[모래시계(M.C The Max)|모래시계]]가 더 알려져서 묻힌 감이 있지만 이 곡도 '''엠맥의 2옥시 모든 곡들 중에서 최상단의 난이도'''를 가진 곡이다. 만만해 보여서 완창에 도전하려다 미친 호흡량 때문에 쉬면서 하거나 중도에 끊는 게 태반이다.[* 실제로 이수의 라이브를 보면 중음역대로 도배된 하이라이트를 상당히 버거워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https://youtu.be/4cJUYqJSAeY|#]] 물론 이건 이수의 음역대가 너무 높아서 중음역대로 도배된 하이라이트가 고음보다 힘들게 느껴지는 거에 가깝다. 컨디션이 매우 좋지 않은 15이수인 점도 감안해야 하고.] == 기타 == * 가수 [[반하나]]가 이 노래를 2020년 [[https://www.youtube.com/watch?v=avwbUOtWgWA|리메이크]]하였다.[* 하지만 [[이수(가수)|원곡가수]]가 너무 넘사벽이라는 반응이 있다..] * 이 노래가 OST인줄 몰랐다는 사람이 은근히 많다. * 가이드 보컬이 [[임한별]]이었다. == 관련 문서 == * [[M.C The Max]] * [[이수(가수)]] * [[고음/노래 목록]] [[분류:M.C The Max/노래]][[분류:록 발라드]][[분류:2015년 노래]][[분류:한국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