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3년 방송 프로그램]] [[분류:한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3>
{{{#fff [[빅하우스 엔터테인먼트|[[파일:BHE-LOGO_가로.png|height=60]]]] [br]{{{+5 '''[[귀족식당]]'''}}} }}} {{{#000000 '''(2023)''' [br] 고품격 매거진 다큐멘터리}}}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포스터귀족식당_출연자_세로540*780.png|width=100%]]}}} || ||<-2> '''{{{#fff 장르}}}''' ||고품격 매거진 [[다큐멘터리]] || ||<-2> '''{{{#fff 채널}}}''' ||[[MBN|[[파일:MBN 로고.svg|width=45]]]] || ||<-2> '''{{{#fff 방송일}}}''' ||[[2023년]] [[5월 13일]][* 한국편][br][[2023년]] [[5월 20일]][* 프랑스편] [br][[2023년]] [[5월 27일]][* 튀르키예편]|| ||<-2> '''{{{#fff 방송 횟수}}}''' ||3부작 (추가제작예정) || ||<-2> '''{{{#fff 기획}}}''' ||[[빅하우스 엔터테인먼트|[[파일:BHE-LOGO_가로.png|height=30]]]]|| ||<-2> '''{{{#fff 총괄}}}''' ||이선영|| ||<-2> '''{{{#fff 내레이션}}}''' ||[[한고은]], [[홍후백]]|| ||<-2> '''{{{#fff 연출}}}''' ||[[이욱정]][* 한국편 연출], 장정혜[* 프랑스편, 튀르키예편 연출 ]|| ||<-2> '''{{{#fff 촬영}}}''' ||안형준[* 프랑스편, 튀르키예편 촬영]백상훈[* 한국편 촬영], 진민규[* 한국편 촬영], 김예원[* 한국편 촬영], 김정환[* 한국편 촬영] 최웅진[* 한국편 촬영], 정상헌[* 프랑스편, 튀르키예편 촬영], 이준호[* 프랑스편, 튀르키예편 촬영]|| ||<-2> '''{{{#fff 작가}}}''' ||김미림[* 프랑스편, 튀르키예편 작가], 박우주[* 한국편 작가]|| ||<-2> '''{{{#fff 스태프}}}''' ||허은혜, 임혜미, 문도현, 김주경, 허성은, 이주안|| ||<-2> '''{{{#fff 출연}}}''' ||[[한고은]], 한복려 선생님[* 한복려(韓福麗, 1947년 5월 13일 ~ )는 대한민국의 조선왕조 궁중음식 연구가이다. 1947년 궁중 음식 연구가인 황혜성의 장녀로 태어나 서울시립대학교 원예과와 고려대학교 식품공학과 석사과정을 거쳐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박사학위를 받았다. 궁중 음식의 체계화에 힘썼던 어머니의 뒤를 이어 궁중 음식의 재현 및 현대화에 공헌한 것이 인정되어 문화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2000년 남북정상회담 만찬의 메뉴개발과 지원에 참여했으며, 드라마 대장금의 요리자문을 맡기도 했다. 현재 궁중음식연구원 원장이며 한식당 ‘지화자’와 ‘궁연’을 운영하고 있다. 2007년 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 궁중 음식 기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미셸 뷜뮤르 (Michèle Villemur)[* 프랑스 최고의 푸드 칼럼리스트이자 프랑스 왕실 요리의 세계적인 권위자인 미쉘 뷜뮤르 국방과학연구, 미식·와인 전문 칼럼니스트·정보원, 초콜릿 크로커 클럽 회원인 그녀는 프랑스 왕실 음식 전문가이자 맛 칼럼리스트로 잘 알려져 있다], 기 마탱 (Guy Martin) [* 독학으로 요리를 배워 26살에 미쉐린 스타를 받은 입지전적인 셰프이다. 그랑 베푸르에서 2000년부터 2008년까지 미쉐린 가이드 3스타에 등극하였지만 더 많은 이들이 프랑스 미식을 경험할 수 있도록미쉐린 스타를 스스로 반납하였다.] 아흐멧 귀네슈테킨 Ahmet Güneştekin[* 튀르키예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예술가 아흐멧 귀네슈테킨 독창적인 기법과 신화적인 주제, 그리고 회화부터 조각, 영상, 설치미술까지 장르의 한계를 뛰어넘는 독보적인 작품세계로 그는 전 세계의 사랑을 받고 있다]|| ||<-2> '''{{{#fff 방송 스트리밍}}}''' ||[[MBN|[[파일:MBN 로고.svg|width=40]]]] || ||<-2> '''{{{#white 링크}}}''' ||[[https://www.bighouseent.com/work|공식 홈페이지]]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609/0000723164|관련 기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왕의 이야기와 소중한 인생 이야기가 들어있는 고품격 매거진 다큐멘터리 == 시놉시스 == > '''"오늘 어디서 누구와 한 끼의 식사를 하셨나요?"''' >---- >왕의 음식과 소중한 인생 이야기가 있는 곳으로 당신을 초대합니다 > >조선왕실 궁중 음식, 프랑스 황제의 음식, 술탄이 사랑했던 음식과 그 음식에 얽힌 사연 그리고 인생 > >최상의 식재료와 지극한 정성으로 차려진 왕의 만찬 > >하나의 식탁에 담겨진 무궁무진한 이야기가 2023년 5월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 >'''"우리 하나 하나가 어떠한 신분이나 물리적인 것에 국한되지 않고 그 자신 그 자체만으로만 다 귀족이 아닐까요?"''' == 마케팅 == === 예고편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ZkScY-i2j4)]}}}|| || '''{{{#ffffff [메인 예고편] 귀족식당}}}'''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OSM22HNsCs)]}}}|| || '''{{{#ffffff [Main Trailer] Royal Table}}}''' || === 쇼츠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4a8cRj85Q0)]}}}|| || '''{{{#ffffff 조선시대 왕들은 어떤 마른안주를 먹었을까?}}}'''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l69xiu23dQ)]}}}|| || '''{{{#ffffff 화합과 재창조의 그릇 ‘신선로’}}}''' || == 회차 정보 == === 한국편 === ||
{{{#ffffff '''코스'''}}} || {{{#FFffff '''음식 이름'''}}} || {{{#ffffff '''내용'''}}} || || '''입매요리''' || '''타락죽''' || 우유하고 쌀가루하고 같이 섞어서 만든 죽. 영조가 즐겨먹었다고 알려져 있다 || || '''메인 요리''' || '''신선로''' || 냄비에 각가지 다른 음식을 화합 시켜 재창조가 가능한 음식 각종 궁중 행사에 빠지지 않고 등장한 음식이다 || || '''후식''' || '''약과''' || 꿀과 참기름을 넣고 튀긴 다과 뜻은 약과 같은 효과를 가진 아주 맛있는 과자라는 뜻이다 || || '''빈 그릇''' || '''가치''' || 우리의 인생이라는 그릇에 하루를 귀하게 살아내는 가치들로 채운다면, 우리 모두 귀족이 아닐까요? 인생이라는 그릇에, 귀한 가치들을 채우는 당신이 귀족입니다 || === 프랑스편 === ||
{{{#ffffff '''코스'''}}} || {{{#FFffff '''음식 이름'''}}} || {{{#FFffff '''내용'''}}} || || '''앙트레''' || '''오이와 토마토로 조미한 오리 푸아그라 테린느''' || 프랑스 요리의 문화재이자 미식의 한 축인 푸아그라 푸아그라를 완벽하게 조리하는 것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 || '''플랫''' || '''올리브 캐비어와 방울 토마토,''' '''프와그라드(소금과 후추 양념)를 가미한 바리굴 아티초크''' || 화이트 와인과 닭고기로 만든 소스를 곁드린 요리 아티초크를 익히는 것은 유능한 요리사만이 할 수 있다 || || '''디저트''' || '''부드러운 그래니 스미스 블루애플과 생강 콩피, 유자샤벳 ''' || 칼로 썰어서 속을 확인 하는 재미가 있는 디저트 훌륭한 파티시에가 많은 프랑스에서만 맛 볼 수 있는 요리다 || || '''빈 그릇''' || '''가치''' || 그렇게 어떤 행복은 성공이라는 정점이 아니라 매일 마주하는 식탁에 있음을 안다면 당신이 있는 모든 곳은 귀족식당이 된다 || === 튀르키예편 === ||
{{{#ffffff '''코스'''}}} || {{{#FFffff '''음식 이름'''}}} || {{{#FFffff '''내용'''}}} || || '''MEZE''' || '''바뎀 초르바''' || 술탄 술레이만이 사랑했던 아몬드 사프란 스프 특별히 건강을 위해 즐겼다고 알려져 있다 || || '''메인 요리''' || '''훈카르 베엔디 ''' || 구운 가지와 프랑스식 베샤멜 소스의 새로운 조합이 만들어 낸 요리 || || '''디저트''' || '''바클라바 ''' || 얇은 40개의 유프카를 층층히 쌓아 만든 디저트 튀르크 요리에서 온 유프카 기술이 셰르베트의 단맛을 만나 만들어진 음식 || || '''빈 그릇''' || '''가치''' || 매일의 식탁에서 만나는 그 가능성을 오로지 나를 위한 행복한 자유로 채울 때 당신이 있는 모든 곳은 귀족식당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