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1 권중석}}}[br]權重錫'''}}} || || '''창씨명''' ||[[이시카와]] 쥬샤쿠(石川重錫) || || '''본관''' ||[[안동 권씨]] || ||<|2> '''출생''' ||[[1926년]] [[2월 1일]] || ||[[경상북도]] [[안동시|안동군]] 안동면 법상동[* 1931년 안동면이 안동읍으로 승격되면서 기존의 법상동은 1~5정목으로 나뉘어져 그 일부가 법상정2정목으로 분리되었는데, 이 행정구역이 곧 지금의 대석동이다.[[https://www.andong.go.kr/csc/seogu/contents.do?mId=0300000000|#]]][br](현 [[경상북도]] [[안동시]] 대석동) || ||<|2> '''사망''' ||[[1994년]] [[7월 25일]] || ||[[인천광역시]]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510호 || || '''상훈''' ||대통령표창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11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926년 2월 1일 경상북도 안동군 안동면 법상동(현 안동시 대석동)에서 태어났다. 그는 고향 안동군에서 권영동(權寧東)·이준택(李準澤) 등과 함께 체육교사로 근무하던 중, [[한국생명과학고등학교|안동공립농림학교]] 학생들의 권유로 교내 비밀결사 '조선독립회복연구단'에 가입했다. 조선독립회복연구단은 1945년 4월경 [[연합군]]이 일본 본토에 상륙할 것을 예상하고, 국내 주둔 일본군의 전력에 타격을 입히기로 계획했다. 이들은 야음을 틈타 경찰서와 헌병파견대의 무기고를 장악하여 우체국 교환대, 읍사무소 등 일제 관공서를 파괴하고 악질 일본인을 처단하는 등 교통과 통신을 마비시키기로 하였다. 이들은 당초 1945년 2월 17일 안동경찰서에 있는 일본 경찰과 일본인 학교에 주둔하고 있는 일본군을 습격하려는 계획을 세웠으나, 계획의 일부가 발각됨으로서 어쩔 수 없이 거사일을 연기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3월 10일 안동공립농림학교 학생조직이 완전히 드러나면서 단원들이 모두 일제에 체포되고 말았다. 이때 권중석도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안동경찰서 유치장에서 모진 고문을 당하다가, 그해 8월 15일 [[8.15 광복]]이 되면서 이튿날인 8월 16일 기소유예로 1945년 8월 16일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청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기소유예]]로 [[불기소처분]]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975&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2761&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받고]] 출옥하였다. 이후 [[인천광역시]]로 이주하여 살다가 1994년 7월 25일 별세했다. 2011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그리고 그의 유해는 2012년 5월 12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에 이장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안동시 출신 인물]][[분류:안동 권씨]][[분류:1926년 출생]][[분류:1994년 사망]][[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