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 [include(틀: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權五乘 [[1950년]] [[1월 2일]][* 음력 1949년 11월 14일.]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법학자]]. 본관은 [[안동 권씨|안동]](安東)[* 부정공파 우정(又正)계 35세 오(五) 항렬.]. 경제법을 전공한 법학 교수로 [[참여정부]]에서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한 인물이자 현재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이다. == 생애 == 1950년 1월 2일 [[경상북도]] [[안동시|안동군]]에서 아버지 권영두(權寧斗)와 어머니 [[안동 김씨]] 김정호(金貞鎬)의 딸 사이의 5남 4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안동중학교를 졸업한 뒤, 서울로 유학, [[용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1975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법 전공으로 법학 석사 학위[*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75441|農地所有權에 關한 硏究 : 特히 所有權 制限을 中心으로]](농지소유권에 관한 연구 : 특히 소유권 제한을 중심으로).]를 취득했으며, 1987년 동 대학원에서 법학 박사 학위[*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30791|企業結合 規制法에 관한 硏究 : 獨逸法과 韓國法의 比較]](기업결합 규제법에 관한 연구 : 독일법과 한국법의 비교).]를 취득했다. 석사 학위 취득 후 육군 제3사관학교 법학 교관으로 3년간 군 복무를 마치고 1979년 3월 동아대학교 법대 교수(민법)로 임용되어 1980년 8월까지 재직하였으며 1980년 9월부터 1992년 2월까지 경희대학교 법대 교수(민법)를 지냈으며[* 1984년 9월부터 1986년 8월까지 독일유학으로 2년 휴직] 1992년 3월부터 2015년 2월까지 모교인 서울대학교 법학과 교수(경제법)로 재직했다. 전문 분야는 경제법으로, 그러한 전문성을 인정받아 참여정부에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참여정부가 끝난 뒤 교수로 돌아갔고, 2015년 정년퇴직 이후 현재는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로 있다. 제자로, 박승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 교수, 차성민 한남대학교 법학부 교수, 한병영 서울디지털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신영수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홍명수 명지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이호영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정재룡 전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 김권회 변호사, 홍대식 서강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조성국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최승재 세종대학교 법학부 교수, 최길자(崔吉子) 화동정법대학법률학원(华东政法大学法律学院) 교수, 조혜신 한동대학교 법학부 교수, 이민호 변호사 등이 있다. 2022년에 《법학교수의 삶》이라는 자서전을 출간했다. == 여담 == * [[들어올 때는 마음대로였겠지만 나갈 때는 아니란다|자신의 수업을 수강신청한 학생은 절대로 수강철회를 허락하지 않았다고 한다]](...). * 수업시간에 자신이 보기에 특이한 사항을 설명할 때면 "재미있는 것은 ..."이라고 운을 떼는 말버릇이 있었다. 재미있는 것은, 정작 그렇게 운을 떼고 설명하는 내용은 정작 학생들이 보기에는 하나도 재미없는 내용이었다는 것(...). [[분류:1950년 출생]] [[분류:대한민국의 법학자]] [[분류:대한민국의 사회과학 교수]][[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안동 권씨 부정공파]][[분류:안동시 출신 인물]][[분류: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분류:용산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재직]][[분류:경희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