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C001B, #BC0021 20%, #BC0021 80%, #9C001B)" {{{#ffffff '''前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br]{{{+1 권영진}}}[br]權永進 | Kwon Yong Ji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북한 권영진.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54년]] || ||[[평양시]]?|| ||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 || {{{#ffffff '''학력'''}}} ||미상|| || {{{#ffffff '''최종 계급'''}}} ||[[대장(계급)|대장]] || || {{{#ffffff '''정당'''}}} ||[include(틀:조선로동당)]||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군인, 정치인. == 생애 == 1954년 평양시 출생설이 있다. 2006년 4월 14일, 최고사령관 명령에 따라 소장으로 진급한 것을 보아 직업군인 출신으로 보인다. 2015년 11월, [[리을설]] 장의위원, 2018년 8월, [[김영춘(북한)|김영춘]] 장의위원을 지냈다. 2020년 5월 23일, 중앙군사위원장 명령 0015호에 따라 상장으로 진급하였으며, 2020년 6월 7일, [[조선로동당 제7기 제13차 정치국회의]]에서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보선되었다. 2021년 1월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에서 정치국 위원 및 군사위원회 위원에 선출되었으며 [[김수길]]의 뒤를 이어 총정치국장에 임명되었다. 이후 조용히 대장으로 진급하였다가, 2021년 2월 24일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제8기 제1차 확대회의]]에서 [[김정관]]과 함께 [[조선인민군 차수]]로 진급하였다. 노동당 제8차대회에서 처음 등장하였을 때는 권위가 그리 크지 않은 총정치국장이라고 평가가 있었다. 이는 [[박정천]] 총참모장, [[김정관]] 국방상, [[리영길]] 사회안전상보다 계급이 한 단계 더 낮았다가 늦게 진급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2021년 7월 [[리병철]] 원수와 [[박정천]] 원수가 코로나 방역관리실패 및 군량미조달 차질로 인해서 동시에 차수로 강등되고 김정관은 해임되면서, 권영진의 권위가 어느 정도 살아나게 되었다. 6월 4일, [[조선로동당 제8기 제1차 정치국회의]]에 참석했다. 다만 2021년 9월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5차 회의에서 총정치국장임에도 [[국무위원회]] 위원이 되지 못해 권위가 다소 낮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10월의 조선로동당 창건 76주년 기념식에선 무력기관 일군들을 대표해서 주석단에 앉는 등 권위가 높은 것 같은 징후도 보인다. ~~정은이가 진짜 나무위키 읽나?~~ 국방발전박람회에서도 리영길보다 먼저 호명되었다. 2021년 11월, 제5차 3대혁명선구자대회에 무력기관 책임일군을 대표해서 참석했다. 2021년 12월 1일 [[조선로동당 제8기 제5차 정치국회의]]에 참석했다. 12월 17일, 김정일 사망 10주기 중앙추모대회 주석단에 포함되었다. 2022년 1월 19일, [[조선로동당 제8기 제6차 정치국회의]]에 참석하였으며 1월 28일, 조용원, 김덕훈, 박정천, 리일환, 권영진과 함께 김정은의 [[리용무]] 조문에 동행했다. 2월 6일, 최고인민회의 14기 6차 회의 주석단에 포함되었다. 그런데 대장으로 강등된 것이 확인되었다. 이 강등 조치는 전부터 [[김정은]]이 수시로 군 인사를 단행하여, 간부들의 충성 경쟁을 유도하면서 군 기강을 잡고 군 장악력을 더욱 강화하는 동시에 조선인민군을 [[조선로동당]]의 영도와 통제 속에 가두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4월 15일, 김일성 탄생 110주년 중앙보고대회 및 평양시 군중대회 주석단에 포함되었으며 [[2022년 4월 25일 북한 열병식]] 주석단에 포함되었다. 김정은의 열병식 참가 부대 지휘관을 초대해서 연 연회에도 조용원, 김덕훈, 박정천, 리병철, 리영길, 림광일 오일정, 강순남과 함께 참석하였으며, 4월 28일, 최룡해, 조용원, 김덕훈, 박정천, 리병철, 리영길, 림광일과 함께 열병식 참가자들과의 기념사진 촬영식에 동행하는 등 김정은 정권의 중핵으로 남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4월 29일 이후로 북한 보도에서 나타나지 않더니 5월에 열린 [[현철해]] 장의위원회에서 [[리영길]]과 함께 빠지는 이변이 일어났다. 이후 정치국 회의에는 참석한 [[리영길]]과 달리 8기 9차 정치국 회의에도 불참하면서 불안한 징후를 보이더니, 2022년 6월 8일, 8기 5중전회에서 정치국 위원 및 총정치국장, 군사위원에서 해임되었다. 그나마 정치국 위원들로 구성된 주석단에 포함되면서 직위 자체는 유지하고 있었음이 밝혀졌으나 8기 5중전회가 이례적으로 회의 첫날에 조직문제부터 처리하면서 금방 주석단에서 쫓겨났다. 후임 총정치국장에는 [[정경택]]이 임명되었다. 정확한 해임 사유는 불분명하지만, 군정지도부장 오일정이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좌천되고 국방상 리영길도 현철해 장의위원에 위촉되지 못하는 등 군에 이상 징후가 보였던 것을 감안하면 경질일 가능성이 있다. == 경력 == ||<#FF0000> {{{#ffffff '''임기시작'''}}} ||<#FF0000> {{{#ffffff '''임기종료'''}}} ||<#FF0000> {{{#ffffff '''비고'''}}} || ||<-3>'''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 || || 2021년 1월 10일 || 2022년 6월 8일 ||8차 당대회에서 임명[br]8기 5중전회에서 해임 || ||<-3>'''조선로동당 8기 정치국 위원''' || || 2021년 1월 10일 || 2022년 6월 8일 ||8차 당대회에서 선출[br]8기 5중전회에서 소환 || ||<-3>'''조선로동당 8기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 || 2021년 1월 10일 || 2022년 6월 8일 ||8차 당대회에서 임명[br]8기 5중전회에서 해임 || == 여담 == * [[시진핑]] 중국 주석과 매우 닮았다. [[분류:조선인민군 차수]] [[분류: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 [[분류:조선로동당 7기 중앙위원회 위원]] [[분류:조선로동당 8기 정치국 위원]] [[분류:조선로동당 8기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분류:1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