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코미디언 출신 가수, rd1=영기(1985), other2=GM 시리즈 등장인물, rd2=서울 게이터스/등장인물, paragraph2=3.3.13, anchor2=권영기 - No. 33)] [include(틀:제2작전사령관)] || {{{#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국방대학교의 총장)] [include(틀:제3군단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52775, #2e3192 20%, #2e3192 80%, #252775)" '''[[제2작전사령관|{{{#fff 제34대 제2야전군사령관}}}]][br]{{{#ffffff {{{+1 권영기}}}[br]權泳基 | Kwon Young-gi}}}'''}}}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05032920340330003700-001.jpg|width=100%]]}}} || || '''본관''' ||[[안동 권씨]][* 복야공파-감정공(監正公)-빈(鑌)계 36세 영(泳)자 항렬을 쓴다. 다음은 출처 사진이다. [[파일:감정공세손 항렬자.png]]] || ||<|2> '''출생''' ||[[1947년]] [[12월 15일]] ||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 성리 평학마을[* 인근의 상천리·장단리와 함께 [[안동 권씨]](安東 權氏) 복야공파(僕射公派) 빈(鑌)계 집성촌이다.][[https://www.hc.go.kr/04960/05111/07319.web|#]] || || '''학력''' ||[[진주고등학교]] {{{-2 (졸업)}}}[br][[경일대학교|경북산업대학교]] {{{-2 (학사)}}}[br][[경일대학교|경북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 ([[토목공학]][* 수공 및 국토개발 전공]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4661489|流域特性因子를 고려한 未計測 中小河川流域의 設計洪水量算定]](유역특성인자를 고려한 미계측 중소하천유역의 설계홍수량산정).])}}} || ||<-2> '''군사 경력''' || || '''임관''' ||[[갑종간부후보생]] {{{-2 (222기)}}} || ||<|2> '''복무''' ||대한민국 육군 || ||[[1966년]] ~ [[2006년]] || || '''최종 계급''' ||[[대장(계급)|대장]] {{{-2 (대한민국 육군)}}} || || '''최종 보직''' ||제2야전군사령관 || || '''주요 보직''' ||[[제39보병사단]] [[제118보병여단|제118보병연대장]][br][[제13공수특전여단|제13공수특전여단장]][br][[제7보병사단|제7보병사단장]][br][[제3군단|제3군단장]][br][[국방대학교]] 총장||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군인]]. 제2야전군 사령관 (現, [[제2작전사령관]])을 지냈다. 마지막 [[갑종장교]] 출신 대장이었으며, [[사병 출신 장성]]이기도 하다. 본관은 [[안동 권씨|안동]](安東), [[종교]]는 [[불교]]이며, [[법명]]은 득생이다. 초명은 권영호(權泳浩)이며, 일명 권기대(權基大)이다. 권복경(權福慶) 제12대 치안본부장은 그의 5촌 당숙이다. == 생애 == 권영기는 1947년 12월 15일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 성리 평학마을[* 인근의 상천리·장단리와 함께 [[안동 권씨]](安東 權氏) 복야공파(僕射公派) 집성촌이다.][[https://www.hc.go.kr/04960/05111/07319.web|#]]에서 아버지 권용점(權龍點)[* 족보명 권용현(權龍鉉).]과 어머니 [[광산 김씨]] 김용만(金容滿)의 딸[* 다음은 출처 사진이다. [[파일:권영기 권용현 부자 족보.png]]] 사이의 2남 6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진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6년]]에 [[대한민국 육군]] [[병(군인)|병]]으로 입대했다. [[1968년]]에 [[갑종간부후보생]] 222기 [[소위]]로 [[임관]]했고[* 갑종장교는 1969년 230기를 끝으로 사라졌다.] [[1970년]]부터 [[1971년]]까지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 이후 [[경일대학교|경북산업대학교]]를 졸업하고 1992년 8월 [[경일대학교|경북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에서 수공 및 국토개발 전공으로 [[토목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 뒤에는 [[육군대학]]을 졸업했다.[[http://m.blog.daum.net/007nis/1881524|#]] [[대령]] 시절 [[제39보병사단]] [[제118보병여단|118연대장]], [[준장]]으로 진급한 뒤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 [[제13특수임무여단|13공수여단]]장 및 [[교육사령부]] 지원부장, [[소장(계급)|소장]]으로 진급하여 [[제7보병사단]]장,[[제1야전군사령부]] [[참모장]], [[중장]]으로 진급하여 [[제3군단]]장 및 [[국방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국방대 총장이 대장으로 진급한 몇 안 되는 사례다. 중장 보직 중에서도 한직으로 꼽힌다.] 2005년 3월 [[대장(계급)|대장]]으로 진급하여 [[제2작전사령관|2군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2군사령관을 지내던 [[2006년]]에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으로도 거론됐으나 [[박흥렬]]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이 진급하자, 병 생활을 합쳐 40년 군생활을 마치고 [[전역]]했다. 아무래도 당시 신규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인 [[김관진]]보다 4년이나 선임일 정도로 짬이 오래됐기 때문에 더 이상 [[영전]]하기 어려웠던 듯하다.[* 1968년 임관자인 권 대장이 2군사령관으로 재직할 당시 합참의장 [[이상희(육군)|이상희]]는 육사 26기로 1970년 임관자였고 육군총장 [[김장수]]는 27기로 1971년 임관자였다.] 그나마 [[육군사관학교]] 출신이 아니기 때문에 합참의장이나 육군총장보다 기수 선임임에도 전역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2006년 11월 17일에 권 대장이 전역하여 육군에 갑종장교는 완전히 사라졌다. 같은 갑종 출신인 [[조영길]] 전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장관]]과 함께 [[2012년]]에 [[안철수]] 캠프에 잠시 참여했다. [[2005년]] 2군사령관 재직 시절, [[대한민국 육군/특공대|육군 특공대]] 특공[[여단장]] 신모 준장(3사 9기)이 [[공관병]]을 지속적으로 괴롭히고 폭행하다가 언론에 보도된 사건이 있었다.[[http://news.joins.com/article/1711127|중앙일보 보도 기사]] 권영기는 이 사건에서 징계위원장이 되어 공관병은 근신 징계하고 여단장에겐 감봉 징계를 내렸으나, 징계유예 후 관할관 확인조치권으로 형을 감경하여 서면 경고만 내려 문제가 되기도 했다.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5062401010923033001|관련기사]][* 위 두 언론보도에서는 사건을 일으킨 여단장을 중앙일보에서는 '신모', 문화일보에서는 '심모'라고 보도했는데 신씨가 맞다고 한다.]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제2작전사령관]][[분류:1947년 출생]][[분류:안동 권씨 복야공파]][[분류:합천군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군인 출신 정치인]][[분류:진주고등학교 출신]][[분류:경일대학교 출신]][[분류:국방대학교 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