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사)] [목차] == 개요 == [[權]][[溥]][* '권보'라고도 한다.] (1262 ~ 1346) [[고려]] [[원 간섭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권씨]]. 처음 이름은 권영(權永)이고 자는 기경(耆卿)이었는데 이후 이름을 권부, 자를 제만(齊萬)으로 고친다. 시호는 문정(文正). == 생애 == 15세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18세인 충렬왕 5년(1279) 염전시(簾前試)에 급제한다. 고려사 권부 열전에서는 충렬왕 5년에 급제한 뒤 그 다음해에 전시(殿試)에 합격했다고 한다. 첨사부녹사, 국학학유, 박사, 우정언 등을 지냈다가 첨의사인에 오른다. [[충렬왕]]의 양위로 [[충선왕]]이 잠시 즉위(1298)하고 사림원(詞林院)을 두니 사림학사 비서감으로 임명되며 곧 우부승지 판예빈시사로 임명된다. 권부(당시 권영)는 [[박전지]] 등과 함께 충선왕의 총애를 받았기에 홍정(紅鞓, 붉은 띠)을 하사받기도 한다. 충렬왕 복위(1299) 후에는 좌부승지로서 우사의 조간, 총랑 김태현, 전사간 김호와 함께 [[정방]]에서 인사를 담당한다. 곧 밀직학사로 승진하며 판밀직사사, 지도첨의사사를 역임한다. 충렬왕 27년(1301)에는 지공거로서 좌부승지 조간과 함께 진사를 선발한다. 충선왕 원년(1309) 김이용과 함께 [[참지정사|평리]]에 오른다. 충선왕 2년(1310) 찬성사 판총부사에 올라 정방에서 7품 이하 무신의 인사를 맡으며, 충선왕 5년 영가군(永嘉君) 작위를 받는다. [[충숙왕]] 원년(1314) 정승으로 은퇴했던 민지와 함께 [[고려실록]]을 더 간략하게 편찬한다. 충숙왕 7년(1320) 마침내 [[문하시중|첨의정승]] 판총부사에 임명되고 수문전대제학 영도첨의사사가 더해진다. 품계는 삼중대광, 관직은 대우문(大右文) 감춘추(監春秋), 작위는 영가부원군으로 올랐으며 추성익조동덕보리공신호를 받는다. 한편 [[정동행성]]의 원외낭중, 왕부단사관을 지내기도 하며 한번도 외직에 나가거나 탄핵되지 않는다. 충혜왕이 즉위했다 쫓겨나고 충숙왕이 복위한 뒤 8년(1339) 3월, 충숙왕이 죽으니 충혜왕이 다시 왕위에 오른다. 그러나 원에서 바얀이 충혜왕의 계승을 인정하지 않았으니, 고려에서는 노신들과 재추가 모여 회의한다. 6월에 권부 등이 [[정동행성]]에 가서 충혜왕의 복위를 상소했고, 이것이 원 중서성에 전달되기를 기다린다. 심왕의 농간으로 가짜 사절이 와서 복위를 인정하는 것처럼 꾸민 사건이 있기도 했지만 결국 11월 충혜왕이 복위에 성공한다. 권부는 늙은 뒤에도 독서를 계속했는데, 『은대집』 20권에 주석을 달 정도로 배움에 깊이가 있었다. [[주자(철학자)|주자]]의 [[성리학]]에 주목해 그가 주석을 단 『사서집주』를 간행할 것을 건의했고, 아들 권준, 사위 [[이제현]]과 함께 『효행록(孝行錄)』을 짓는 등 초기 성리학자의 한 명으로서 성리학의 길을 닦는다. 고려사 권부 열전에서는 '동방의 성리학이 권부로부터 나왔다.'[* 東方性理之學, 自溥倡.]라고 밝히고 있다. [[충목왕]] 2년(1346) 10월 25일(음력) 병사한다. == 평가 == >정방에서 13년을 임했고 재상으로 22년 있었으나 이에 스스로 만족하지 않았다. 대개 후하고 삼가는 것이 만석군과 같았고 공정하고 청렴함이 [[노회신]][* [[당나라]]의 재상.]과 같았으니, 오복을 마주하는 것이 또한 마땅하지 않겠는가.[* 任政房十有三年, 位宰相二十有二年, 而不以是自滿. 盖惇謹若萬石君, 公廉若盧懷愼, 嚮用五福, 不亦宜哉.] >---- >「권부묘지명」. >사람됨은 모남이 없었으나 오랫동안 인사를 맡아 관직을 팔고 재산을 늘렸으니, 당대 사람들이 말하기를, "그 아비 [[권단]]의 청렴함과는 현저히 거리가 있다."라고 했다.[* 爲人無圭角, 久典銓衡, 鬻爵營産, 時人以爲, “視其父㫜之淸, 懸遠也.” ] >---- >『고려사』 권107, 권부 열전. 권부의 사위 [[이제현]]이 묘지명에서 그 장인 권부의 청렴하고 공정한 인사를 칭찬하는데, 당대의 평가는 그와는 상반된다. == 가족관계 == === 조상 === * 증조부: 권수평 * 조부: [[권위(고려)|권위]] * 부: [[권단]] * 모: 노씨 권부의 증조부는 상서좌복야를 지낸 권수평이고, 조부는 한림학사를 지낸 권위, 부친은 찬성사 판전리로 은퇴하고 문청공(文淸公)의 시호를 받은 권단이다. 외조부는 좌간의대부 노연이다. === 자녀 === * 처: 변한국대부인 류씨[* 문화 류씨] * 아들: '''길창부원군''' [[권준(고려)|권준]] * 아들: '''광복군''' 권종정 * 아들: '''문화군''' 권고 * 손자 : 권희 * 증손: [[권근]] * 아들: '''계림부원군''' [[왕후(고려)|왕후]][* 본명은 권재였다.] * 아들: '''복안부원군''' [[권겸]] * 딸 * 사위: '''○○군''' 안유충 * 딸 * 사위: '''계림부원군''' [[이제현]] * 딸 * 사위: '''순정대군''' 왕도 * 딸 * 사위:''' 회안대군''' 왕순 [[문화 류씨]]인 정신공 류승의 장녀와 결혼해 5남 4녀를 둔다. 다섯 아들과 네 사위는 출가한 차남을 포함해 모두가 [[군(작위)|군(君)]]으로 봉해졌다. 이는 전례 없는 일이었기에 '''일가구봉군(一家九封君)'''[* '한 집안에서 아홉 군(君)이 봉해졌다'라는 뜻이다.]이라고들 하였다. 또한 넷째 아들 [[왕후(고려)|왕후]](王煦)와 둘째 사위 [[이제현]](李齊賢)은 [[공민왕]]의 묘정에 함께 배향된 [[배향공신#s-2.1.1|배향공신]]이기도 하다. [[분류:고려의 성리학자]][[분류:고려의 공신]][[분류:안동 권씨 추밀공파]][[분류:1262년 출생]][[분류:1346년 사망]]